도시하천교량은 하천변 이용의 증가에 따른 노출빈도가 높아지고 도시경관 이미지 형성에 있어서 중요한 랜드마크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전시 3대하천의 거더교량을 대상으로 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276097
2013
Korean
Landscape Evaluation ; Bridgescape ; Landscape Simulation ; Urban Landscape ; Girder Bridge ; 경관평가 ; 교량경관 ; 경관시뮬레이션 ; 도시경관 ; 거더교
33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9-20(12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도시하천교량은 하천변 이용의 증가에 따른 노출빈도가 높아지고 도시경관 이미지 형성에 있어서 중요한 랜드마크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전시 3대하천의 거더교량을 대상으로 교...
도시하천교량은 하천변 이용의 증가에 따른 노출빈도가 높아지고 도시경관 이미지 형성에 있어서 중요한 랜드마크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전시 3대하천의 거더교량을 대상으로 교량경간장이 도시교량 경관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도시 및 도시하천의 주 경관 형성요소로서 교량경관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방법으로 기존의 연구논문과 이론에 관한 서적들을 통해 교량의 개념과 분류를 고찰하고 교량경관이 가지는 미학이론과 교량의 미적구성요소들을 살펴본 후 교량경관 평가 시 시각적인 요소로서 주의해야할 시점과 구도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경관분석 및 평가방법에 관한 이론을 고찰, 정리하여 교량경관평가 모형을 설정하였다.연구의 결과, 34개의 교량경관 이미지 중 ‘도시적인’ 평균이 가장 높게 나온 이미지는 건물이 전체 경관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았다. 34개의 교량경관 이미지가 ‘도시적인’ 설문을 통해 5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어 졌다. 요인1과 요인4가 ‘도시적인’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요인2가 ‘도시적인’ 평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2개의 변수로 시뮬레이션하여 총 10개의 슬라이드를 가지고 선호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시뮬레이션한 경관 중에서 경간장 3:4:4:3의 비율이 도입된 경관의 선호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하천의 폭과 교장에 따라 다른 선호도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 교량 설계시 교량이 가지는 원래의 기능에 충실한 동시에 교량 형태의 미학적인 측면에서의 아름다움도 중요하지만 교량의 경간장과 주변경관과의 조화를 통해서도 교량의 아름다움을 전달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span length of the bridge according to background landscape on the preference by setting the span length of the bridge as variable. Study methods are as follows: it examined the concepts and classification...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span length of the bridge according to background landscape on the preference by setting the span length of the bridge as variable. Study methods are as follows: it examined the concepts and classification through books related to existing research papers and theories based on the literature surveys to suggest the theoretical basis for case studies, and it explored point of time to be careful and composition as visual factors in the evaluation of bridge landscape after examining aesthetic theory of bridge landscape and the aesthetic composition factors of the bridge. In addition, it set up the bridge landscape evaluation model by examining and organizing theories on the landscape analysis and evaluation method.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the image, which had the highest mean in 'urban-style' in 34 bridge landscape images, the rate of building accounted for a high percentage in the entire landscape. 34 bridge landscape images were classified with five types through 'urban-style' questions. Factor 1 and factor 4 showed the highest mean in 'urban-style,' while factor 2 showed the lowest mean in 'urban style.' As a result of preference surveys with a total of ten slides by conducting simulations with two variables, preferenc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width of streams and a total length of a bridge in contrast to the expectation that the preference of landscape of 3:4:4:3, in which the ratio of the span length of the bridge is wide among simulation landscapes, would be the highest.
참고문헌 (Reference)
1 권니아, "중앙부 버스 정류장의 이미지와 시각적 선호에 관한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36 (36): 85-95, 2008
2 이인성, "시뮬레이션 모형을 이용한 도시 개발형태 및 경관의 변화 예측" 한국조경학회 32 (32): 106-113, 2004
3 서주환, "사장교의 교량경관계획을 위한 최적조망점 선정"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11 (11): 67-75, 2008
4 이상엽, "도시 교량경관의 이미지와 조화성 분석 -서울 한강 교량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 29 (29): 11-20, 2002
5 정성관, "교량경관의 이미지 및 시각적 선호도 분석- 배경경관 및 교량형태를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35 (35): 82-91, 2007
6 정성관, "경관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아치교량의 시각적 특성평가" 한국조경학회 35 (35): 48-56, 2007
7 조용현, "경관 시뮬레이션을 통한 가로 녹시율 증진 방안 및 목표 수준 설정- 서울시를 사례로 -" 한국조경학회 34 (34): 26-35, 2006
8 Ministry of Land, "Yearbook of Road Bridge and Tunnel Statistics" 2010
9 Im, S.B, "Visual Preferences in Enclosed Urban Spaces: An Exploration of a Scientific Approach to Environmental Design" 16 (16): 235-262, 1984
10 Oh, K.S, "Visual Impact Assessment of the Urban Landscape with Public Participation" 3 (3): 43-, 1993
1 권니아, "중앙부 버스 정류장의 이미지와 시각적 선호에 관한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36 (36): 85-95, 2008
2 이인성, "시뮬레이션 모형을 이용한 도시 개발형태 및 경관의 변화 예측" 한국조경학회 32 (32): 106-113, 2004
3 서주환, "사장교의 교량경관계획을 위한 최적조망점 선정"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11 (11): 67-75, 2008
4 이상엽, "도시 교량경관의 이미지와 조화성 분석 -서울 한강 교량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 29 (29): 11-20, 2002
5 정성관, "교량경관의 이미지 및 시각적 선호도 분석- 배경경관 및 교량형태를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35 (35): 82-91, 2007
6 정성관, "경관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아치교량의 시각적 특성평가" 한국조경학회 35 (35): 48-56, 2007
7 조용현, "경관 시뮬레이션을 통한 가로 녹시율 증진 방안 및 목표 수준 설정- 서울시를 사례로 -" 한국조경학회 34 (34): 26-35, 2006
8 Ministry of Land, "Yearbook of Road Bridge and Tunnel Statistics" 2010
9 Im, S.B, "Visual Preferences in Enclosed Urban Spaces: An Exploration of a Scientific Approach to Environmental Design" 16 (16): 235-262, 1984
10 Oh, K.S, "Visual Impact Assessment of the Urban Landscape with Public Participation" 3 (3): 43-, 1993
11 Sim, J.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bservation Distance, Scale of Buildings and the Landscape Preference by the Landscape Types in a Suburban Rural Area" 25 (25): 112-123, 1997
12 Huh, J, "The Case of the Hen River: Difference in the Visual Preference of the Bridges" 30 (30): 1-11, 2002
13 Kaplan, R, "Some Method and Strategies in the Prediction of Preference" Hutchinson&Ross 92-101, 1975
14 Ministry of Land, "River Design Criteria·explanation" 2009
15 Lee, C.S, "Research on River Landscape Design by Analyses of Urban River Design" Ulsan University 2010
16 Feimer, N. R, "Personality and Environment Perception: Alternative Predictive Systems and Implications for Evaluative Judgements"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y 1997
17 Choi. J.D, "Pattern Evaluation and Similarity Analysis against Visual Perceptions of Bridgescape" Pusan National University. 2008
18 Kim, R.K, "Landscape Preference over Single-Spaned Steel Box Girder Bridge by Bridge Shape Parameters" 24 (24): 7-18, 2000
19 Park, M.G, "Landscape Design for the Purpose of Designing Beautiful Bridges" 2448-2451, 2006
20 Yang, S. H, "Landscape Design Method of Bridges and Visual Safely Estimation of Structural Shape" 2 (2): 235-244, 1998
21 Kim, H.Y, "Highway Bridge Design Manual" 2008
22 Joo, S.H, "Domestic and Foreign Trends in the Study of the Landscape Evaluation" 28 (28): 50-, 2000
23 Gottemoeller, Frederick, "Bridgescape: The Art of Designing Bridges" John Wiley&Sons 1998
24 Chang, S.P, "Bridges and beauty" 43 (43): 79-88, 1995
25 Cho, H.N., "Bridge Engineering" Goomibook 2003
26 Orland, B, "Aesthetic Preference for Rural Landscape: Some Resident and Visitor Differences" 364-378, 1992
27 Choi, S.S, "A study on the Aesthetic Design of Bridge" Chungang University 1990
28 Joo, S.H, "A Study on the Visual Simulation Methods : the Effects of Sounds and Videos" 26 (26): 312-320, 1998
29 Oh, K.H, "A Study on the Standard Design for Small Bridge Crossing Stream" 4 (4): 90-92, 2002
30 Kim, D.H, "A Study 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Landscape Simulation : with Modified Photograph Simulation Techniques" Seoul University. 1991
31 Park, K.S, "A Study on the Landscape Simulation in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s" Seoul University 2000
32 Beon, J.S, "A Study on the Complex Effects of Streetscape Components on Visual Preference" 27 (27): 9-18, 1999
33 Kim, D.H,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User's Degree of Satisfaction in Urban Pedestrian Sidewalk-Case Study of Urban Pedestrian Sidewalk in Taejon City-" 22 (22): 29-40, 1994
34 Yoon, J.O, "A Study on the Aesthetic Preference for Rural Landscapes: Urban and Rural Resident Differences" 3 (3): 93-103, 1995
35 Lee, J.H,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Enviromental Planning and Design with Landscape Simulation Techniques" 15 : 41-52, 1994
36 Herzog, T. R, "A Cognitive Analysis of Preference for Waterscapes" 5 : 225-241, 1985
37 Herzog, T. R, "A Cognitive Analysis of Preference for Urban Spaces" 12 : 237-248, 1992
도시공원 벤치 색채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3-0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Journal of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 휴양및경관연구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6-03-1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휴양및경관연구 -> Journal of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4-04-1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논문집 -> 휴양및경관연구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6 | 0.76 | 0.6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9 | 0.54 | 0.407 | 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