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오지 클라크(Ossie Clark) 패션의 디자인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Specialities in Ossie Clark's Fash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42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about the Ossie Clark's fashion design can offers the chance to understand that the changes of the lifestyle and the phenomenon of social construction and needs between 1960's and 1970's. Today, it was often adopted into the fashion design's main concepts as a vintage design. Ossie Clark of fashion design had a tendency that three factors. Firstly, it was presented as a Mods look and Minmal mode with op art into the mini skirt and mini dress design. Second, It was made up the Hippie style with various modes without restraint and individual characters. Third, it was a feminine mode design that the main fabrics were printed floral patterns on the flimsy silk and chiffons. The result of this study on the speciality of his design and value were classified into four things. Ossie Clark designed with the floral and geometric textiles designed by Celia Birtwell. He designed by skillful and experimental tailoring with printed chiffons or satin silks. His experimental designs for Radley proved to be success as a ready-to-wear. And his trousers suits designs were represented the 1960's and 1970's style. He affected broadly while that periods in the fashion. Today, his designs had many values as a vintage design. The effectiveness of this study needs the testification, and need study about the retro design and vintage design in others, and development of various device should be joined for more fashion design concepts planning.
      번역하기

      The study about the Ossie Clark's fashion design can offers the chance to understand that the changes of the lifestyle and the phenomenon of social construction and needs between 1960's and 1970's. Today, it was often adopted into the fashion design's...

      The study about the Ossie Clark's fashion design can offers the chance to understand that the changes of the lifestyle and the phenomenon of social construction and needs between 1960's and 1970's. Today, it was often adopted into the fashion design's main concepts as a vintage design. Ossie Clark of fashion design had a tendency that three factors. Firstly, it was presented as a Mods look and Minmal mode with op art into the mini skirt and mini dress design. Second, It was made up the Hippie style with various modes without restraint and individual characters. Third, it was a feminine mode design that the main fabrics were printed floral patterns on the flimsy silk and chiffons. The result of this study on the speciality of his design and value were classified into four things. Ossie Clark designed with the floral and geometric textiles designed by Celia Birtwell. He designed by skillful and experimental tailoring with printed chiffons or satin silks. His experimental designs for Radley proved to be success as a ready-to-wear. And his trousers suits designs were represented the 1960's and 1970's style. He affected broadly while that periods in the fashion. Today, his designs had many values as a vintage design. The effectiveness of this study needs the testification, and need study about the retro design and vintage design in others, and development of various device should be joined for more fashion design concepts plann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60년대와 70년대를 대표하는 오지 클라크의 디자인에 대한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자주 응용되는 빈티지 디자인의 형성 과정에 대한 생활양식의 변화와 시대의 사회적 구조 현상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여 준다. 오지 클라크의 디자인 경향은 첫째, 당대의 모즈룩과 미니멀리즘 사조에 의한 영향을 받아 단순하고 간결한 미니 스커트와 원피스 디자인이 옵아트적인 감각으로 표현되었다. 둘째, 히피스타일에 의한 자유롭고 개성 있는 특성으로 다양한 모드를 형성하였다. 셋째, 페미닌 모드의 디자인이 주를 이루어 얇고 비춰 보이는 시폰소재나 새틴 실크로 된 소재 위에 화려한 꽃문양이 프린트 된 것이 주를 이루었다. 이러한 오지 클라크의 디자인의 조형적 특징과 의미를 살펴보면 몇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그의 디자인에서는 특별히 그의 아내였던 실라 버트웰의 플로럴 텍스타일로 많이 응용 제작 되었으며 기하학 문양과 더불어 화려하고 섬세한 문양으로 독특한 개성이 표현되었다. 또한 숙련되고 실험적인 테일러링에 의한 디자인이 당대의 다른 디자이너들과 달리 프린트된 시폰이나 새틴 실크 등의 소재로 섬세하고 정교하게 디자인되었다. 그의 혁신적인 디자인은 기성복 산업인 래들리 라인의 사업 성장을 가져 왔으며 특히 여성복의 팬츠 슈트 디자인은 60년대와 70년대를 대표하는 작품으로서 인식되었다. 이처럼 오지 클라크의 디자인은 60년대와 70년대 기류를 형성하는데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오늘날 현대 패션산업에서 빈티지 디자인으로서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에 현대 패션에서 끊임없이 디자인의 영감을 주고 있는 다른 시대의 레트로 디자인 혹은 빈티지 디자인들에 대한 보다 심도 있고 다양한 디자인 접근법에 의한 패션디자인 기획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번역하기

      60년대와 70년대를 대표하는 오지 클라크의 디자인에 대한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자주 응용되는 빈티지 디자인의 형성 과정에 대한 생활양식의 변화와 시대의 사회적 구조 현상에 대한 이해...

      60년대와 70년대를 대표하는 오지 클라크의 디자인에 대한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자주 응용되는 빈티지 디자인의 형성 과정에 대한 생활양식의 변화와 시대의 사회적 구조 현상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여 준다. 오지 클라크의 디자인 경향은 첫째, 당대의 모즈룩과 미니멀리즘 사조에 의한 영향을 받아 단순하고 간결한 미니 스커트와 원피스 디자인이 옵아트적인 감각으로 표현되었다. 둘째, 히피스타일에 의한 자유롭고 개성 있는 특성으로 다양한 모드를 형성하였다. 셋째, 페미닌 모드의 디자인이 주를 이루어 얇고 비춰 보이는 시폰소재나 새틴 실크로 된 소재 위에 화려한 꽃문양이 프린트 된 것이 주를 이루었다. 이러한 오지 클라크의 디자인의 조형적 특징과 의미를 살펴보면 몇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그의 디자인에서는 특별히 그의 아내였던 실라 버트웰의 플로럴 텍스타일로 많이 응용 제작 되었으며 기하학 문양과 더불어 화려하고 섬세한 문양으로 독특한 개성이 표현되었다. 또한 숙련되고 실험적인 테일러링에 의한 디자인이 당대의 다른 디자이너들과 달리 프린트된 시폰이나 새틴 실크 등의 소재로 섬세하고 정교하게 디자인되었다. 그의 혁신적인 디자인은 기성복 산업인 래들리 라인의 사업 성장을 가져 왔으며 특히 여성복의 팬츠 슈트 디자인은 60년대와 70년대를 대표하는 작품으로서 인식되었다. 이처럼 오지 클라크의 디자인은 60년대와 70년대 기류를 형성하는데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오늘날 현대 패션산업에서 빈티지 디자인으로서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에 현대 패션에서 끊임없이 디자인의 영감을 주고 있는 다른 시대의 레트로 디자인 혹은 빈티지 디자인들에 대한 보다 심도 있고 다양한 디자인 접근법에 의한 패션디자인 기획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혜정, "현대 패션&디자이너" 신정 2007

      2 조규화, "패션미학" 수학사 2004

      3 이연희, "패션문화" 예학사 2002

      4 권수애, "패션과 라이프" 교학연구사 2008

      5 김혜경, "패션 트렌드와 이미지" 교문사 2007

      6 정흥숙, "서양복식문화사" 교문사 2001

      7 이재정, "라이프스타일과 트렌드" 예경 2006

      8 "www.vma.ac.uk"

      9 "www.samsungdesign.net"

      10 "www.forums.thefashionspot.com"

      1 전혜정, "현대 패션&디자이너" 신정 2007

      2 조규화, "패션미학" 수학사 2004

      3 이연희, "패션문화" 예학사 2002

      4 권수애, "패션과 라이프" 교학연구사 2008

      5 김혜경, "패션 트렌드와 이미지" 교문사 2007

      6 정흥숙, "서양복식문화사" 교문사 2001

      7 이재정, "라이프스타일과 트렌드" 예경 2006

      8 "www.vma.ac.uk"

      9 "www.samsungdesign.net"

      10 "www.forums.thefashionspot.com"

      11 "www.cft.or.kr"

      12 "http://juliamoorhousefashionsourcebook.blogspot.com"

      13 Tiffany Dubin, "Vintage Style" Harper Colins 2000

      14 Judith Watt, "Ossie Clark 1965/74" V&A Publication 2003

      15 François Baudot, "A Century of Fashion" Thames & Hduson 1999

      16 David Bond, "20세기 패션" 경춘사 2000

      17 Valerie Mendes, "20th Century Fashion" Thames & Hdson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