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글 성경 자료의 표기와 음운 연구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1173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초기 한글 성경을 대상으로 연구한 업적들 중에서 표기와 음운을 주제로 다룬 것을 대략적인 연구사적 검토와 중요하게 논의되었던 내용을 중심으로 흐름과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표기법 연구는 흐름에서 시기별로 3단계 정도로 각각 나눌 수 있었고, 주요 논의 내용은 표기의 일관성을 유지하려는 노력과 천주교계와 개신교계 문헌 등 자료 간에 표기의 차이를 밝히는 것이었다. 된소리를 나타내는 각자병서가 초기 한글 성경에서 천주교 자료에서만 보인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 대표적인 것이다. 음운론 연구는 영성한 가운데 관심이 집중되었던 것은 로스가 만주에서 펴낸 성경 자료가 서북방언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이었다. 서북방언의 반영으로 지적된 주요 음운현상은 구개음화, 원순모음화, 어두 ‘ㄹ, ㄴ’의 표기 등이었다. 이외의 음운적 사실은 개화기 일반의 것과 큰 차이가 없다. 이본 간 번역문의 비교 분석을 통해서는 해당 번역문의 문헌적 특성이 밝혀지거나 표기와 음운의 변화 방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글 성경 자료에 대한 체계적 연구를 위해서는 전체 자료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가 요청된다. 연구자들이 일부의 자료를 바탕으로 인상적으로 기술하는 것으로는 연구의 한계가 있다.
      번역하기

      본고는 초기 한글 성경을 대상으로 연구한 업적들 중에서 표기와 음운을 주제로 다룬 것을 대략적인 연구사적 검토와 중요하게 논의되었던 내용을 중심으로 흐름과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 ...

      본고는 초기 한글 성경을 대상으로 연구한 업적들 중에서 표기와 음운을 주제로 다룬 것을 대략적인 연구사적 검토와 중요하게 논의되었던 내용을 중심으로 흐름과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표기법 연구는 흐름에서 시기별로 3단계 정도로 각각 나눌 수 있었고, 주요 논의 내용은 표기의 일관성을 유지하려는 노력과 천주교계와 개신교계 문헌 등 자료 간에 표기의 차이를 밝히는 것이었다. 된소리를 나타내는 각자병서가 초기 한글 성경에서 천주교 자료에서만 보인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 대표적인 것이다. 음운론 연구는 영성한 가운데 관심이 집중되었던 것은 로스가 만주에서 펴낸 성경 자료가 서북방언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이었다. 서북방언의 반영으로 지적된 주요 음운현상은 구개음화, 원순모음화, 어두 ‘ㄹ, ㄴ’의 표기 등이었다. 이외의 음운적 사실은 개화기 일반의 것과 큰 차이가 없다. 이본 간 번역문의 비교 분석을 통해서는 해당 번역문의 문헌적 특성이 밝혀지거나 표기와 음운의 변화 방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글 성경 자료에 대한 체계적 연구를 위해서는 전체 자료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가 요청된다. 연구자들이 일부의 자료를 바탕으로 인상적으로 기술하는 것으로는 연구의 한계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 and characteristics of notation and phonological study on the texts of the early Korean bible. The notation research could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by the period. early (1971-1981), middle (1982-2000) and later (2001-2016). The main contents of the discussion were the efforts to find the consistency of the notation, and the differences in the notation between the catholic and protestant bible texts. It is typical to confirm that GakJaByeongSeo (각자병서) for fortis appears only in catholic materials in the early Korean bible. The focus of the study on phonology in the early Korean bible was that the bible materials that Ross translated in Manju reflected the north-west dialect. The major phonological phenomena was pointed out in the reflection of the dialect of the north-west. For exemple, the palatalization, the rounded vowelization, and the notation of word-initial ‘ㄹ, ㄴ’. Other phonological facts are not much different from those of the same period. The comparative analysis of another Korean edition of same original bible has revealed the documentary characteristics of the specific Korean bible and confirmed the change direction of the notation and the phonological phenomenon. In order to study systematically on the notation and the phonology of the Korean language of Korean Bible, a database for all the Korean bible is required. There is a limit to the research that researchers describe impressively the notation and the phonology of the Korean language by some partial data.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 and characteristics of notation and phonological study on the texts of the early Korean bible. The notation research could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by the period. early (1971-1981), middle (1982-2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 and characteristics of notation and phonological study on the texts of the early Korean bible. The notation research could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by the period. early (1971-1981), middle (1982-2000) and later (2001-2016). The main contents of the discussion were the efforts to find the consistency of the notation, and the differences in the notation between the catholic and protestant bible texts. It is typical to confirm that GakJaByeongSeo (각자병서) for fortis appears only in catholic materials in the early Korean bible. The focus of the study on phonology in the early Korean bible was that the bible materials that Ross translated in Manju reflected the north-west dialect. The major phonological phenomena was pointed out in the reflection of the dialect of the north-west. For exemple, the palatalization, the rounded vowelization, and the notation of word-initial ‘ㄹ, ㄴ’. Other phonological facts are not much different from those of the same period. The comparative analysis of another Korean edition of same original bible has revealed the documentary characteristics of the specific Korean bible and confirmed the change direction of the notation and the phonological phenomenon. In order to study systematically on the notation and the phonology of the Korean language of Korean Bible, a database for all the Korean bible is required. There is a limit to the research that researchers describe impressively the notation and the phonology of the Korean language by some partial dat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한글 성경과 국어 연구
      • 2. 표기와 음운의 관계
      • 3. 표기법
      • 4. 음운론
      • 요약
      • 1. 한글 성경과 국어 연구
      • 2. 표기와 음운의 관계
      • 3. 표기법
      • 4. 음운론
      • 5. 이본 간 표기와 음운 연구
      • 6. 맺는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길남, "「19세기 국어의 일고찰」-훈 진언과 시편촬요를 중심으로" 21 : 55-75, 1988

      2 그리스도교와겨레문화연구회, "한글성서와 겨레문화" 기독교문사 1985

      3 서정수, "한글성서와 겨레문화" 기독교문사 1985

      4 민영진, "한글 성서 번역 및 발행 관계 연구문헌 목록" 기독교문사 3 : 411-420, 1991

      5 정길남, "한국성서와 겨레문화" 한국성서와 겨레문화 233-268, 1992

      6 이덕주, "한국성경대전집 1" 한국교회사문헌연구원 1-48, 2002

      7 한국교회사문헌연구원, "한국 성경 대전집" 2002

      8 박순란, "표기와 음운현상을 통해 본 『셩경직 광익』 이본 간 선후 관계" 반교어문학회 (35) : 193-224, 2013

      9 김동언, "텬로력뎡과 개화기 국어" 한국문화사 1998

      10 김동언, "텬로력뎡'의 대본과 국어학적 특징" 한국어학회 29 : 1-28, 2005

      1 정길남, "「19세기 국어의 일고찰」-훈 진언과 시편촬요를 중심으로" 21 : 55-75, 1988

      2 그리스도교와겨레문화연구회, "한글성서와 겨레문화" 기독교문사 1985

      3 서정수, "한글성서와 겨레문화" 기독교문사 1985

      4 민영진, "한글 성서 번역 및 발행 관계 연구문헌 목록" 기독교문사 3 : 411-420, 1991

      5 정길남, "한국성서와 겨레문화" 한국성서와 겨레문화 233-268, 1992

      6 이덕주, "한국성경대전집 1" 한국교회사문헌연구원 1-48, 2002

      7 한국교회사문헌연구원, "한국 성경 대전집" 2002

      8 박순란, "표기와 음운현상을 통해 본 『셩경직 광익』 이본 간 선후 관계" 반교어문학회 (35) : 193-224, 2013

      9 김동언, "텬로력뎡과 개화기 국어" 한국문화사 1998

      10 김동언, "텬로력뎡'의 대본과 국어학적 특징" 한국어학회 29 : 1-28, 2005

      11 김동언, "텬로력뎡" 텬로력뎡 58-89, 2010

      12 최태영, "최태영의 우리말 연구" 월인 2002

      13 최태영, "최태영의 우리말 연구" 월인 2002

      14 이응호, "최초의 한글 성경 『예수셩교누가복음젼셔』" 한국어교육학회 44 : 421-455, 1983

      15 지춘수, "초기 성경에 나타난 정서법에 대하여」-서양 선교사들의 국어 연구의 일단" 54 : 19-41, 1971

      16 최태영, "초기 번역 성경의 띄어쓰기" 숭실대학교 사학회 6 : 149-188, 1990

      17 최태영, "초기 번역 성경의 대두법 표기" 숭실어문연구회 7 : 5-14, 1990

      18 최태영, "초기 번역 성경 고" 국어국문학회 89 : 97-106, 1983

      19 전무용, "초기 로스 팀 번역 요한복음의 표기법의 차이와 번역 수정 과정 고찰" 1-36, 2008

      20 정길남, "초기 국역성서의 된소리 표기와 종성 표기에 대하여" (192) : 19-42, 1986

      21 정길남, "초기 국역 성서의 모음 현상에 대한 고찰" 기독교문사 139-164, 1987

      22 조재윤, "초기 국역 성서의 국어학적 고찰" 1 : 45-57, 1982

      23 서정욱, "첫 한글성서의 국어학적 특성연구- 로쓰역 누가복음(1882/87)의 번역론적 고찰" 2 : 5-64, 1986

      24 조영인, "천로역정 이본 간의 표기양상 연구" 서경대학교 대학원 2007

      25 켈핀말테, "중부 방언 'ㅚ, ㅟ, ㅢ'에 대한 통시적 연구 : 19세기 이후의 외국인 전사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2

      26 정길남, "이수정 역 마가복음의 국어학적 고찰" 6 : 155-187, 1992

      27 나채운, "우리말 성경 연구" 기독교문사 1990

      28 김정아, "신약젼셔의 표기법 연구" 안동대 교육대학원 2003

      29 정길남, "성서의 우리말 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4

      30 김윤경, "성서와 한국 근대문화" 대한성서공회 5-41, 1960

      31 이윤재, "성경철자를 개혁하라" 조선어학회 (37) : 152-155, 1936

      32 민영진, "성경원문연구" 성서원문연구소 63-97, 2006

      33 신창순, "서양인 선교사의 ‘성경철자법’" 민족어문학회 44 : 29-58, 2001

      34 유경민, "로스 번역본을 수정한 아펜젤러 『누가복음젼』(1890)의 문법, 음운, 어휘 요소의 수정과 교체" 우리말학회 (36) : 29-57, 2014

      35 김윤경, "김윤경 전집 1" 연세대학교 출판부 1985

      36 최현배, "기독교와 한글" 연세대 신과대학 7 : 51-76, 1962

      37 그리스도교와겨레문화연구회, "그리스도교와 겨레문화" 기독교문사 1987

      38 김충효, "그리스도교와 겨레문화" 기독교문사 11-41, 1987

      39 서정수, "그리스도교와 겨레문화" 기독교문사 97-137, 1987

      40 이덕주, "그리스도교와 겨레문화" 기독교문사 263-301, 1987

      41 나채운, "국역성서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1971

      42 유창균, "국역성서가 국어 발달에 끼친 영향" 계명대학교 동서문화연구소 1 : 59-89, 1967

      43 길미연, "국역 성서에 나타난 시대별 특징 비교 연구 : 구약의 룻기를 대상으로"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44 최태영,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개" 서울대대학원 국어연구회 174-196, 1991

      45 최명옥,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749-763, 1986

      46 정승철,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4 -『개화기 국어』" 국립국어연구원 7-59, 1999

      47 신창순, "국어 근대 표기법의 전개" 태학사 2007

      48 최성규, "구역 《신약젼셔》의 국어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49 김형철, "개화기의 천주교, 개신교 관련 자료" 국어사학회 (13) : 61-109, 2011

      50 박기영, "개화기 한국어의 음운 연구 : 일본에서 간행된 한국어 학습서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51 정길남, "개화기 번역성서의 음운고찰」-Ross의 누가복음을 중심으로" (창간) : 1-22, 1983

      52 정길남, "개화기 국역성서의 표기법에 관한 고찰" 95 : 107-129, 1992

      53 정길남, "개화기 국역성서의 음운론적 고찰" 18 : 169-190, 1992

      54 정길남, "개화기 국역 성서의 표기법과 문법 형태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1986

      55 김형철, "개화기 국어연구" 경남대 출판부 1997

      56 정길남, "개화기 국어 자료 집성" 박이정출판사 1995

      57 한영균, "宗古聖敎會 刊行의 國語史 資料에 대하여" 언어정보연구원 32 : 1-36, 2013

      58 김동언, "『텬로력뎡』의 서지적 고찰" 20 : 27-63, 1995

      59 김동언, "『텬로력뎡』 개정판의 수정에 대하여" 한국국어교육학회 51 : 227-246, 1995

      60 유경민, "『예수셩교젼셔_로마』(1887)와 『보라달로마인셔』(1890)의 표기 및 음운 현상과 어휘에 관한 연구" 국어문학회 54 (54): 77-103, 2013

      61 김충효, "『셩경직히광익』과 『독립신문』의 국어학적 비교고찰" 한양대 한국학연구소 14 : 325-360, 1988

      62 조한건, "『셩경직해광익』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2

      63 박순란, "『셩경직해』의 형성 과정과 텍스트수정 양상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셩경직해광익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5

      64 성문주, "「텬로력뎡」의 표기법 연구" 안동대학교 대학원 2004

      65 박순란, "「예수셩교젼셔」의 표기와 음운 현상"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5

      66 김진주, "「셩경직히」의 국어학적 분석 연구" 延世大學校 敎育大學院 1993

      67 이승희, "《셩경직해광익》에 대한 국어학적 고찰" (재)한국교회사연구소 (41) : 143-178, 2013

      68 김충효, "‘셩경직광익’과 ‘셩경직’의 국어학적 비교고찰" 한양대 한국학연구소 11 : 139-187, 1987

      69 최명옥, "19세기 후기 서북방언의 음운론」- 평북 의주지역어를 중심으로" 영남대 7 (7): 713-746, 1985

      70 최임식, "19세기 후기 서북방언의 모음체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1984

      71 최명옥, "19세기 후기 국어의 자음음운론" 78 : 343-375, 1994

      72 최명옥, "19세기 후기 국어의 연구-『모음음운론』을 중심으로" 13 : 55-90, 1992

      73 송 민, "19세기 천주교자료의 국어학적 고찰" 국어국문학회 72․73 : 291-295, 1973

      74 정길남, "19세기 성서의 우리말 연구" 서광학술자료사 83-91, 1992

      75 정길남, "19세기 성서의 우리말 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2

      76 김형철, "19세기 말 문헌의 표기 연구" 경남대학교 3 : 1988

      77 김도영, "19세기 국역성서의 표기법 연구 : 「시편촬요」를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78 박기선, "'텬로력뎡' 이본의 국어학적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국어사연구(학회지 명칭 변경) -> 국어사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4-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국어사자료학회 -> 국어사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 0.62 1.345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