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타카하시 토오루(高橋亨)의 조선유학사 서술의 문제점을 다룬 것이다. 타카하시 토오루는 일찍이 가학(家學)을 계승하면서 도쿄제국대학에서 신학문(新學問)을 탐구하였다. 졸업 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타카하시 토오루(高橋亨)의 조선유학사 서술의 문제점을 다룬 것이다. 타카하시 토오루는 일찍이 가학(家學)을 계승하면서 도쿄제국대학에서 신학문(新學問)을 탐구하였다. 졸업 후...
이 글은 타카하시 토오루(高橋亨)의 조선유학사 서술의 문제점을 다룬 것이다. 타카하시 토오루는 일찍이 가학(家學)을 계승하면서 도쿄제국대학에서 신학문(新學問)을 탐구하였다. 졸업 후, 구주일보(九州日報) 주필로 활동하다가 인도 연구에 권위자 영국의 메러디스 타운스윈드(Meredith Townswind)의 아시아 그리고 유럽(Asia and Europe)을 번역하며 제국주주의 이상을 실현하려는 의도를 갖는다. 1903년 한국으로 건너와 먼저 조선 국어학을 탐구하고 연구의 방향을 조선사상으로 나아갔다. 이러한 학문적 전이는 조선인의 풍속습관을 파악하고 그 사상사적 관점에서 조선인의 민족적 특성을 간취하여 조선사회를 통제하기 위한 것이었다. 타카하시 토오루는 조선 유학을 사적(史的) 맥락에서 대관(大觀)의 형식을 이용하여 기술하는데 진력하였다. 그의 조선유학에 대한 대관적 연구는, 삼국시대와 고려 유학을 간명하게 기술하고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조선의 유학자 이언적(李彦迪)․이황(李滉)․기대승(奇大升)․이이(李珥)․성혼(成渾) 등을 리기이원론자(理氣二元論者)로 여기다가, 이황과 이이가 사단칠정론에 대한 논지 전개 용어를 가지고 단순히 ‘주리파(主理派)’와 ‘주기파(主氣派)’로 도식화하고, 조선의 유학은 사상적 특징이 없고 그저 주자학의 시험장이라고 여긴 것이다. 하지만 조선의 유학 즉 성리학은 우주론보다는 심성론을 치밀하게 논리적으로 분석하여 심화시켰다. 타카하시 토오루는 조선의 심화 전개된 성리학을 간과하고 그 ‘주리파’와 ‘주기파’ 용어를 가지고 당론으로까지 연결시켰다. 그 당론이란 남인(南人)은 이황의 학설을 존숭하고, 노론(老論)은 이이의 학설을 존숭한다는 것이다. 특히 그는 당론으로 연결시켜 조선의 사상과 종교, 그리고 문화를 강력히 부정하였다. 그 부정이란 변화발전이 없다는 사상의 고착성과 독창적 견해가 없다는 사상의 종속성을 부각시킨 것이다. 그는 이를 적극 이용하여 종국에 일본의 문화와 사상을 주입시키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는 그가 추구한 지식이 식민제국 일본의 욕망과 그 궤를 함께 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본 논문은 타카하시 토오루의 조선유학사 연구경향에 대한 문제점을 다루었으나 부족한 점이 없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일제강점기 동안 그의 연구경향을 지식사회학적 측면에서 재검토하는 데 약간의 보탬은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studing the Pproblems of Takahachi Doloo(1878~1967)’s Depiction on a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As Takahachi Doloo succeeded to the learning of his family, he did research on the new sciences in University of Tokyo. After unive...
This thesis is studing the Pproblems of Takahachi Doloo(1878~1967)’s Depiction on a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As Takahachi Doloo succeeded to the learning of his family, he did research on the new sciences in University of Tokyo. After university, he was intended to realize Japan’s ideal of imperialism as translating Britain sociologist Meredith Townswind’s Asia and Europe into Japanese during acting by the editor in chief. In 1903, he came to Korea, and first make a Korean linguistics. After he moved a research project direction toward Korean thought. Such change of learning was that he aimed to control Korean society after grasping manners and customs of Korean and selecting Korean characteristic in the viewpoint of thought history. He did his best of using a frame of large view in the historic context on studying Confucianism which many scholars developped in Korea. After he, in particular, syudied New-Confucianism of Lee Hwang(李滉: 1501~1570) and Lee Yi(李珥: 1536~1584) of scholar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he divided into two classes with their viewpoint. It is just of Joolipa(主理派) and Joogipa(主氣派). He involved Joolipa and Joogipa of two classes with political party strife. As attaching them to Korean Confucianism, especially he emphatically denied thought, religion, and culture of Korea. This negative study was of the reason that his pursuit of knowledge was with Japanese imperialistic wants. Finally, this research paper is a lack of study to Takahachi Doloo. But this would benefit in reconsideration on his study inclination during the Japanese work in a sociologic aspect of knowledg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다카하시 도오루(高橋亨), "조선의 유학" 소나무 1999
2 趙南浩, "조선에서 주기철학 가능한가, 논쟁으로 보는 한국철학"
3 "오늘의 동양사상"
4 구인모, "식민지 조선인을 논하다" 동국대학교출판부 2010
5 윤사순, "동양사상과 한국사상" 을유문화사 1984
6 조남호, "다카하시 토오루(高橋亨)의 조선불교연구" 한국사상문화학회 (20) : 389-419, 2003
7 이형성, "다카하시 도오루(高橋亨)의 조선 유학사 연구의 영향과 그 극복" 한국사상사학회 14 : 2000
8 다카하시 도루, "다카하시 도루의 조선유학사" 예문서원 2001
9 이하배, "다카하시 도루의 ‘조선 유학’ 읽기 비판" 동양사회사상학회 (10) : 203-245, 2004
10 김기주, "다카하시 도루 朝鮮儒學觀의 의의와 특징?「李朝儒學史に 於ける主理派主氣派の發達」중심으로" 동양철학연구회 (43) : 83-110, 2005
1 다카하시 도오루(高橋亨), "조선의 유학" 소나무 1999
2 趙南浩, "조선에서 주기철학 가능한가, 논쟁으로 보는 한국철학"
3 "오늘의 동양사상"
4 구인모, "식민지 조선인을 논하다" 동국대학교출판부 2010
5 윤사순, "동양사상과 한국사상" 을유문화사 1984
6 조남호, "다카하시 토오루(高橋亨)의 조선불교연구" 한국사상문화학회 (20) : 389-419, 2003
7 이형성, "다카하시 도오루(高橋亨)의 조선 유학사 연구의 영향과 그 극복" 한국사상사학회 14 : 2000
8 다카하시 도루, "다카하시 도루의 조선유학사" 예문서원 2001
9 이하배, "다카하시 도루의 ‘조선 유학’ 읽기 비판" 동양사회사상학회 (10) : 203-245, 2004
10 김기주, "다카하시 도루 朝鮮儒學觀의 의의와 특징?「李朝儒學史に 於ける主理派主氣派の發達」중심으로" 동양철학연구회 (43) : 83-110, 2005
11 윤사순, "高橋亨의 韓國儒學觀檢討" 중앙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2 : 1976
12 최영성, "高橋亨의 朝鮮儒學과 硏究" 대한철학회 74 : 2000
13 박성순, "高橋亨의 朝鮮儒學史 硏究와 그 反應에 대한 檢討" 한국사학사학회 (6) : 97-133, 2002
14 권순철, "高橋亨の朝鮮思想史硏究" 33 (33): 1997
15 裵宗鎬, "韓國思想史에 있어서의 主理와 主氣의 問題" 2 : 1988
16 윤사순, "韓國儒學論究" 현암사 1980
17 川瀨貴也, "植民地期朝鮮における朝鮮仏教観― 高橋亨を中心に" 대진대학교 大巡思想研究所 (17) : 2004
18 李東熙, "朝鮮朝朱子學史에 있어서의 主理․主氣用語使用의 問題點에 대하여" 동양철학연구회 12 : 1991
19 趙南國, "朝鮮朝儒學史에 대한 南北學界의 硏究成果提示" 동양철학연구회 12 : 1991
20 山內弘一, "日本における朝鮮儒敎硏究" 2009
21 李 承 律, "日帝時期 ‘韓國儒學思想史’ 著述史에 관한 一考察" 동양철학연구회 37 : 43-78, 2004
22 최재목, "張志淵과 高橋亨의 ‘紙上論爭’에 대하여" 동아시아일본학회 32 (32): 515-548, 2009
23 李基東, "‘李朝儒學史에 있어서의 主理派․主氣派의 發達’에 대한 分析" 동양철학연구회 12 : 1991
중국 화론에 나타난 동양미학 사상 연구 ― 神과 氣韻 개념을 중심으로
「타카하시 토오루의 조선유학사 서술의 문제점」 그 극복과 방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5 | 0.45 | 0.4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53 | 1.021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