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과 전장』은 1964년 출판되자마자 대중적인 인기를 얻으며, 전쟁과 생활의 현장을 역동성 있게 보여준 소설로 평가받는다. 박경리는 <서문>에서 전쟁이 한국인에게 비극적인 상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시장과 전장』은 1964년 출판되자마자 대중적인 인기를 얻으며, 전쟁과 생활의 현장을 역동성 있게 보여준 소설로 평가받는다. 박경리는 <서문>에서 전쟁이 한국인에게 비극적인 상처...
『시장과 전장』은 1964년 출판되자마자 대중적인 인기를 얻으며, 전쟁과 생활의 현장을 역동성 있게 보여준 소설로 평가받는다. 박경리는 <서문>에서 전쟁이 한국인에게 비극적인 상처를 남겨 준 사건이지만 시적인 아름다움으로 기억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 작품을 썼다고 고백한다. 『시장과 전장』은 ‘시장’과 ‘전장’이라는 공간을 통하여 전쟁의 비극과 생활의 고통을 다각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시원적인 세계를 연상하게 하는 ‘자연 친화적인 공간’이 시적 표현으로 형상화되면서 전쟁의 상처가 예술적 상상으로 아름답게 극복되기를 염원하는 작가의 창작 정신을 보게 된다.
‘시장’, ‘전장’, ‘자연 친화적 공간’은 박경리가 전쟁을 통해서 말하고자 하는 바를 형상화하는 서사의 핵심 화소(話素)이다. 이 공간들은 소설의 배경에 머물지 않고 전쟁에서 기억해야 하는 삶을 표상하는 은유이다. ‘시장’은 생활, ‘전장’은 전쟁 상황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시장’, ‘전장’, ‘자연 친화적 공간’은 전쟁이라는 사건이 사람들의 생각, 의식, 생존 방식을 바꾸는 삶의 현장을 보여주는 공존의 공간이다. 시장의 공간은 환상과 현실의 그물망을 은유하며, 전장의 공간은 이념과 동물성의 그물망은 은유한다. ‘자연 친화적 공간’은 돌봄과 시원성의 그물망을 은유한다.
본 연구는 ‘시장’, ‘전장’, ‘자연 친화적 공간’이 전쟁과 삶의 현장을 보여주는 존재론적 은유로 서사화 되는 방식을 분석한다. 박경리는 서사적 공간을 통해서 전쟁과 삶을 서사화하여 전쟁의 사전적이고 관습적인 기술을 넘어선다. 박경리에게 전쟁은 인간의 다양한 본성을 폭발적으로 보여주는 삶의 이면이며, ‘시장’, ‘전장’, ‘자연 친화적 공간’은 인간의 적나라함과 소망을 동시에 보여주는 은유적인 공간이다. 『시장과 전장』의 특징은 삶으로서의 은유가 다양하게 표현되면서 전쟁의 상흔이 예술적인 방식으로 서사화 된다는 점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ight after the publication in 1964, The Market and War Field attracted a great amount of public recognition, and evaluated as a novel which dynamically portrays vivid scenes of war and life in war field. In preface, the writer explains her wish that ...
Right after the publication in 1964, The Market and War Field attracted a great amount of public recognition, and evaluated as a novel which dynamically portrays vivid scenes of war and life in war field. In preface, the writer explains her wish that even though the war gave a huge damage to Korean people, it needs to be remembered as a kind of poetic beauty. The Market and War Field illustrates the diverse aspects of tragic war and painful lives by the space of market and war field. Expressing poetically Nature-friendly space which echoes the original world, the novelist shows her intention of writing that the damage of war would be overcome in artistic imagination.
‘Market,’ ‘War field,’ and ‘Nature-friendly space’ function as core elements of narrative which forms what Kyongni PAK wants to mention in relation to war. The places are not only backgrounds of the novel but also metaphors which signify memories of war lives. It does not mean that ‘life’ is living, and ‘war field’ is situation of war. ‘Market,’ ‘War field,’ and ‘Nature-friendly space’ are the places of coexistence that people’s ways of thought, consciousness, and survival could not but be changed due to war. ‘The space of market’ mirrors the mapping of illusion and reality, and ‘the space of war field’ metaphors the mapping of ideology and animal nature. ‘Nature-friendly space’ represents the mapping of care and originality.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narrative style that ‘Market,’ ‘War field,’ and ‘Nature-friendly space’ play important roles in the novel as ontological metaphors of war and living. Kyongni PAK’s narrative of war and living by narrative space goes beyond the literal and conventional description of war. War is the other side of life which explosively shows various dispositions of human nature for the novelist. In addition, ‘Market,’ ‘War field,’ and ‘Nature-friendly space’ are metaphoric spaces which simultaneously uncover fragility and hope of human nature. The uniqueness of The Market and War Field lies in the fact that metaphors of lives are portrayed in diverse ways, and damages of war are narrated artistically.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우종, "한국현대소설사" 성문각 1978
2 김양선, "한국 전쟁에 대한 젠더화된 비판의식과 낭만성 -박경리의 『시장과 전장』-" 한국여성연구소 8 (8): 197-222, 2008
3 백낙청, "피상적 기록에 그친 6·25 수난" 동아일보사 1965
4 김복순, "페미니즘 미학과 보편성의 문제" 소명출판 2005
5 오형엽, "인지언어학적 은유론의 수사학적 고찰 - 레이코프와 존슨을 중심으로 -" 한국어문학회 (102) : 499-528, 2008
6 김주식, "은유의 이데올로기 분석" 언어과학회 (56) : 29-52, 2011
7 전병쾌, "은유(Metaphor)에 관한 연구 G. Lakoff 이론을 중심으로" 언어과학회 (13) : 1996
8 정기철, "은유 수사학과 해석학" 국어국문학회 (149) : 661-683, 2008
9 임경순, "유토피아에 대한 몽상으로서의 이념 박경리의 『시장과 전장』을 중심으로" 한국어문학연구학회 45 : 2005
10 김용성, "영적 삶의 미학: 프랑크 베르츠바흐의 『무엇이 삶을 예술로 만드는가』에 대한 서평"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2 (22): 159-175, 2017
1 김우종, "한국현대소설사" 성문각 1978
2 김양선, "한국 전쟁에 대한 젠더화된 비판의식과 낭만성 -박경리의 『시장과 전장』-" 한국여성연구소 8 (8): 197-222, 2008
3 백낙청, "피상적 기록에 그친 6·25 수난" 동아일보사 1965
4 김복순, "페미니즘 미학과 보편성의 문제" 소명출판 2005
5 오형엽, "인지언어학적 은유론의 수사학적 고찰 - 레이코프와 존슨을 중심으로 -" 한국어문학회 (102) : 499-528, 2008
6 김주식, "은유의 이데올로기 분석" 언어과학회 (56) : 29-52, 2011
7 전병쾌, "은유(Metaphor)에 관한 연구 G. Lakoff 이론을 중심으로" 언어과학회 (13) : 1996
8 정기철, "은유 수사학과 해석학" 국어국문학회 (149) : 661-683, 2008
9 임경순, "유토피아에 대한 몽상으로서의 이념 박경리의 『시장과 전장』을 중심으로" 한국어문학연구학회 45 : 2005
10 김용성, "영적 삶의 미학: 프랑크 베르츠바흐의 『무엇이 삶을 예술로 만드는가』에 대한 서평"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2 (22): 159-175, 2017
11 박경리, "시장과 전장" 나남 1993
12 김영미, "시장과 전장』에 나타난 인물의 변화 양상"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3) : 2004
13 장일구, "서사 은유의 문화적 인지 공정: 『혼불』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9 (19): 117-157, 2015
14 공명수, "생태학적 상상력과 사회적 선택" 동인 2010
15 임중빈, "삶 그리고 긍정의 모험" 문학춘추사 1966
16 박주혜, "반공에 대한 검토로서의 『시장과 전장』" 국어국문학회 (185) : 285-310, 2018
17 김미영, "박경리의『시장과 전장』에 나타난 낭만성과 숭고"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52) : 33-60, 2016
18 이나영, "박경리의 『시장과 전장』에 나타난 ‘개인의식’ 연구" 한국문학언어학회 (38) : 2003
19 이상진, "박경리의 「토지」 연구 : 인물형상화를 중심으로"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8
20 김세나, "박경리 소설의 여성성과 의미 구현 양상-<시장과 전장>을 중심으로-" 한국현대소설학회 (55) : 203-224, 2014
21 김인경, "박경리 소설에 나타난 휴머니즘의 회복과 지향점의 모색 - 『시장과 전장』을 중심으로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7 (7): 751-765, 2016
22 김미영, "박경리 소설에 나타난 음식의 문학적 재현과 의미 -『시장과 전장』을 중심으로 -" 우리말글학회 81 : 239-272, 2019
23 한점돌, "박경리 문학사상 연구 -<시장과 전장>과 아나키즘-" 한국현대소설학회 (42) : 563-598, 2009
24 박진영, "명명법과 호명적 담론을 통한 이데올로기의 연구 -박경리의 『시장과 전장』을 중심으로-"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2 : 237-260, 2013
25 허연실, "독백의 서사와 이중구조" 한국근대문학회 (14) : 153-172, 2006
26 알라이다 아스만, "기억의 공간" 그린비 2012
27 이-푸 투안, "공간과 장소" 대윤 2011
28 임지룡, "개념적 은유에 대하여" 한국어의미학회 20 : 29-60, 2006
29 조지 레이코프, "[단행본] 삶으로서의 은유" 서광사 1995
30 박진영, "1960년대 소설에 나타난 ‘광장’, ‘시장’의 토포스 - 최인훈의 『광장』과 박경리의 『시장과 전장』을 대상으로" 인문학연구소 16 (16): 99-119, 2015
1920년대 미래과학소설의 사회구조의 전환과 미래에 대한 기대- <80만년 후의 사회>, <이상촌>, <이상의 신사회>를 중심으로
디지털 아카이브 기술을 활용한 문학사 모형에 대한 연구
2010년대 비디오 게임에서 나타는 서사와 플레이의 결합 방식 연구 - AAA급 게임의 심리스(Seamless) 스타일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3-23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근대문학연구외국어명 :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7 | 0.67 | 0.6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9 | 0.8 | 1.362 | 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