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나말려초 재지성주의 장군칭호의 의미 = The Meaning of the General Title of Local Sung-joo(城主) in the Late Silla(新羅) & Early Koryo(高麗)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567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나말려초 재지 지방통치자의 칭호인 성주와 장군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나말려초 중앙에서 자립한 재지 지방통치자는 지역명을 관칭한 성주나 장군, 혹은 성주 · 장�...

      이 글의 목적은 나말려초 재지 지방통치자의 칭호인 성주와 장군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나말려초 중앙에서 자립한 재지 지방통치자는 지역명을 관칭한 성주나 장군, 혹은 성주 · 장군, 지주제군사로 기록되었다. 이러한 칭호중 공식적인 칭호는 금석문에 기록된 지역명을 관칭한 장군과 지주제군사였다.
      재지 지방통치자가 지역명을 관칭한 성주나 성주・장군으로 기록된 점에서 관칭한 지역명의 성과 지방통치자의 관계가 어떠하였는지 논의가 있었다. 이 논의는 하나의 결론에 이르지 못하고 두 개의 견해로 나뉘었는데 재지 지방통치자가 관칭한 성에서만 세력이 있었다고 본 견해가 있고, 재지 지방통치자가 관칭한 성뿐 아니라 일정군현정도의 영역까지 세력이 있었다고 본 견해가 있었다. 사료를 검토한 결과 지역명을 관칭한 성주 · 장군은 관칭한 지역이 포함된 군현정도의 영역까지 세력을 미치는 존재였다.
      재지성주의 공식칭호인 지역명+장군과 지주제군사 중 지역명+장군은 재지성주가 일차적으로 자칭한 것이다. 이들이 장군직을 자칭한 것은 신라하대부터 골품제와 상관없이 일정부대의 지휘관을 장군으로 경칭한 것의 연속선상에 있었다. 재지장군은 대장군도 자칭하였는데 역시 신라하대의 연속선상에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장군을 칭한 재지장군은 장군을 칭한 재지장군보다 병사가 많았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세력을 대장군이라는 호칭으로 표현하였다.
      재지장군은 후삼국중 고려의 세력이 강해지면서 대부분 고려에 귀부한다. 고려는 재지성주가 자칭한 장군직을 인정하고 고려중앙의 장군으로 받아들였으나 재지성주가 자칭한 대장군직은 받아들이지 않았다. 고려에서 대장군직은 중앙의 군관중 장군직을 맡은 사람이 승진하는 경우 주어졌다. 고려는 장군직과 대장군직을 구분하여 귀부한 재지장군을 중앙의 장군직에 준하여 받아들이고 중앙의 대장군휘하에 두는 통제책을 폈다고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difference of the title of a local general and a local Sung-joo in the Late-Silla & Early Koryo Period. The local ruler had some titles. One was a Sung-joo, another was general, and so on. The local ruler lived a fortress,...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difference of the title of a local general and a local Sung-joo in the Late-Silla & Early Koryo Period. The local ruler had some titles. One was a Sung-joo, another was general, and so on. The local ruler lived a fortress, so most people called him Sung-joo. But the official title of the local ruler was the general.
      The local ruler called himself a general, because he was a military commander, and a general was a title of honor. Since King Shin-moo(神武王) called Chang Po-go(張保皐) a general, the general title was a title of honor regardless of Golpoomje(骨品制). The local ruler who had more soldiers than any other generals, called himself a major general (大將軍).
      Koryo Dynasty was stronger than Silla and the late Baek-je(後百濟), so many local generals made an alliance with Koryo. Koryo Dynasty accepted them and treated them as a general of Koryo. But Koryo did not accept the title of a major general. Koryo Dynasty permited the title of a major general in the only central army. The major general in Koryo controlled the local genera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재지 지방통치자와 성주
      • Ⅲ. 재지성주의 장군자칭
      • Ⅳ. 재지 성주의 장군칭호에 대한 중앙의 통제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재지 지방통치자와 성주
      • Ⅲ. 재지성주의 장군자칭
      • Ⅳ. 재지 성주의 장군칭호에 대한 중앙의 통제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B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채웅석, "한국역사입문②" 풀빛 1995

      2 김갑동, "한국역사입문②" 풀빛 1995

      3 하현강, "한국사 4" 국사편찬위원회 1974

      4 박경자, "청주호족의 이족화" 4 : 1986

      5 강문석, "철원환도 이전의 궁예정권 연구" 한국역사연구회 (57) : 241-271, 2005

      6 浜中昇, "이우성교수 정년기념논총" 창작과 비평사 1990

      7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3" 가락국사적개발연구소 1992

      8 윤희면, "신라하대의 성주・장군" 39 : 1982

      9 정경숙, "신라시대의 ‘장군’의 성립과 변천" 48 : 1985

      10 이현숙, "신라말 어대제의 성립과 운용" 43・44 : 1992

      1 채웅석, "한국역사입문②" 풀빛 1995

      2 김갑동, "한국역사입문②" 풀빛 1995

      3 하현강, "한국사 4" 국사편찬위원회 1974

      4 박경자, "청주호족의 이족화" 4 : 1986

      5 강문석, "철원환도 이전의 궁예정권 연구" 한국역사연구회 (57) : 241-271, 2005

      6 浜中昇, "이우성교수 정년기념논총" 창작과 비평사 1990

      7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3" 가락국사적개발연구소 1992

      8 윤희면, "신라하대의 성주・장군" 39 : 1982

      9 정경숙, "신라시대의 ‘장군’의 성립과 변천" 48 : 1985

      10 이현숙, "신라말 어대제의 성립과 운용" 43・44 : 1992

      11 최병헌, "신라말 김해지방의 호족세력과 선종" 4 : 1978

      12 전기웅, "라말려초의 지방사회와 지주제군사" 4 : 1987

      13 이순근, "라말려초 ‘호족’용어에 대한 연구사적 검토" 19 : 1987

      14 최종석, "나말여초 '성주·장군'의 대두와 변동추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15 최종석, "나말려초 성주・장군의 정치적 위상과 성" 50 : 2004

      16 윤경진, "나말려초 성주의 존재양태와 고려의 대성주정책" 40 : 2001

      17 이현숙, "금석문으로 본 고려후기 어대제의 변화" 한국역사연구회 (91) : 105-146, 2014

      18 조익래, "고려초 청주호족세력의 존재형태 : 고려사회로의 전화과정을 중심으로" 3 : 1993

      19 김주성, "고려초 청주지방의 호족" 61・62 : 1988

      20 김갑동, "고려건국기의 청주세력과 왕건" 48 : 1985

      21 旗田巍, "高麗王朝成立期の<府>と豪族" 10 : 1960

      22 "高麗史"

      23 "新增東國輿地勝覽"

      24 "三國遺事"

      25 "三國史記"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8 0.981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