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태권도 인턴십 프로그램의 인식을 조사하여 개선방향과 발전에 대해 탐색하기 위해 태권도 인턴십 프로그램을 경험한 전공생 총 204명을 대상으로 폐쇄형 설문과 개방형 설문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태권도 인턴십 프로그램의 인식을 조사하여 개선방향과 발전에 대해 탐색하기 위해 태권도 인턴십 프로그램을 경험한 전공생 총 204명을 대상으로 폐쇄형 설문과 개방형 설문을 ...
이 연구는 태권도 인턴십 프로그램의 인식을 조사하여 개선방향과 발전에 대해 탐색하기 위해 태권도 인턴십 프로그램을 경험한 전공생 총 204명을 대상으로 폐쇄형 설문과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SPSS 27.0을 사용하여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ies)을 실시하였다. 또한 개방형 설문은 원자료를 숙독하고 내용과 의미의 유사성에 따라 세부영역으로 구분하고 일반영역으로 범주화하는 분석 과정인 귀납적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태권도 인턴십 프로그램에 참여한 기간은 3개월 미만 121명(59.31%), 1년 이상 43명(21.07%), 3개월 이상 ~ 6개월 미만 26 명(12.75%), 6개월 이상 ~ 1년 미만 14명(6.87%)으로 나타났다. 둘째, 태권도 인턴십 프로그램의 수행 지역은 북미 92명(49.09%), 아시아 42명(20.58%), 남미 31명(15.20%), 유럽 21명(10.30%), 기타 18명(8.83%)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태권도 인턴십 프로그램의 수행 횟수는 1회 143명(69.60%), 2회 45명(21.76%), 3회 이상 16명(8.64%)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태권도 인턴십 프로그램의 참여동기요인은21개의 세부영역으로 구조화하였고, 21개의 세부영역은 물적요인(297), 심리요인(212), 환경요인(96)으로 구성된 3개의 일반영역으로 구분되었다. 3개의 일반영역은 물적요인(49.10%), 심리요인(35.04%), 환경요인(15.86%) 순의 비율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태권도 인턴십 프로그램 수행의 어려움요인은 14개의 세부영역으로 구조화하였고, 14개의 세부영역은 물적어려움(295), 인적・운영적어려움(196), 심리적어려움(172)으로 3개의 일반영역으로 구분되었으며 물적어려움(44.50%), 인적・운영적어려움(29.56%), 심리적어려움(25.94%) 순으로나타났다. 이 연구는 태권도 인턴십 프로그램의 참여동기와 어려움을 파악하고 개선 방향성과 발전에 관련한 기초자료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태권도 인턴십 프로그램이 규정될 필요성이 제기된 만큼 이와 관련하여 더욱 세심하고 깊은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와 같은 주제에 관심을 가진 연구자들의 후속연구가 꾸준히 진행된다면 태권도 인턴십과 관련한 기초자료가 지금보다 확장되고 정립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빙원철 ; 권혁정, "해외진출 태권도 지도자 인턴십 프로그램 사례와 전략에 관한 연구" 국기원 11 (11): 237-254, 2020
2 강은석 ; 곽정현 ; 이재돈, "해외진출 태권도 전공자들의 진출동기와 과정에 대한 문화 기술적 연구" 한국체육과학회 19 (19): 23-37, 2010
3 손민규, "태권도전공 대학생의 학업성취도가 대학생활적응과 진로결정태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4 김주연, "태권도의 미국진출과 미국체육회 가입: 미주 한인무도 사범들의 구술자료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5 이재돈, "태권도산업의 육성방안 연구 : 경제적 파급효과 및 산업분류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7
6 강은석, "태권도 전공자들의 해외진출에 대한 인식과 해외진출을 위한 교육과정" 한국체육과학회 19 (19): 51-64, 2010
7 김하영 ; 강은석, "태권도 전공자들의 해외진출에 대한 시각과 외국인 수련생들에 대한 편견" 한국체육과학회 19 (19): 155-165, 2010
8 윤혜영, "태권도 전공 대학생의 미국 불법인턴사범 경험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적 탐색" 한양대학교 2019
9 박지현, "태권도 시범전공 대학생의 참여 동기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신한대학교 대학원 2020
10 신호철 ; 김종수 ; 차영남, "태권도 시범단 참여 만족이 대학생활적응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2 (22): 44-51, 2020
1 빙원철 ; 권혁정, "해외진출 태권도 지도자 인턴십 프로그램 사례와 전략에 관한 연구" 국기원 11 (11): 237-254, 2020
2 강은석 ; 곽정현 ; 이재돈, "해외진출 태권도 전공자들의 진출동기와 과정에 대한 문화 기술적 연구" 한국체육과학회 19 (19): 23-37, 2010
3 손민규, "태권도전공 대학생의 학업성취도가 대학생활적응과 진로결정태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4 김주연, "태권도의 미국진출과 미국체육회 가입: 미주 한인무도 사범들의 구술자료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5 이재돈, "태권도산업의 육성방안 연구 : 경제적 파급효과 및 산업분류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7
6 강은석, "태권도 전공자들의 해외진출에 대한 인식과 해외진출을 위한 교육과정" 한국체육과학회 19 (19): 51-64, 2010
7 김하영 ; 강은석, "태권도 전공자들의 해외진출에 대한 시각과 외국인 수련생들에 대한 편견" 한국체육과학회 19 (19): 155-165, 2010
8 윤혜영, "태권도 전공 대학생의 미국 불법인턴사범 경험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적 탐색" 한양대학교 2019
9 박지현, "태권도 시범전공 대학생의 참여 동기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신한대학교 대학원 2020
10 신호철 ; 김종수 ; 차영남, "태권도 시범단 참여 만족이 대학생활적응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2 (22): 44-51, 2020
11 Richard, L., "초보자를 위한 길 잡이질적 연구방법" 현문사 2007
12 최희진 ; 조미혜 ; 김선희 ; 김진희, "실천적 전문인 양성을 위한 스포츠 지도자 교육과정 분석" 한국코칭능력개발원 9 (9): 449-468, 2007
13 "세계태권도연맹"
14 고보라 ; 서희정 ; 진승태, "대학교육프로그램 중 태권도 해외인턴십의 중요성" 한국융합학회 9 (9): 253-262, 2018
15 권재혁, "대학 태권도관련학과 학생들의 해외취업 향상을위한 교육프로그램 발전 방안"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6 박영림, "글로벌 인턴십 효과에 관한 연구 : 태권도 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2
17 강은석, "국내 외국인 태권도수련생들의 태권도에 관한 인지도 연구" 경희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3
18 국기원, "국기원 품, 단 응심자 현황 자료"
19 Patton, M. Q., "Qualitative Research & Evaluation Methods" Sage 2002
20 이중만 ; 양해봉 ; 신준우 ; 설정선, "CIPP모형을 활용한 IT분야 산학협업 인턴쉽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한국콘텐츠학회 10 (10): 457-467, 2010
아마추어 골프참여자의 성장마인드셋과 운동지속의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청소년 탁구선수들이 지각한 코칭행동 유형이 자아탄력성과 운동지속 및 포기의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 배드민턴 선수들의 경기스트레스가 운동슬럼프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