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양에서 시민으로-뒤르케임 교육론의 함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415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뒤르케임의 교육 관련 저술을 검토하여 그의 2차교육론의 핵심이 교양 함양이 아닌 시민 교육에 있다는 것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뒤르케임의 교육사회학 관련 3대 저술인 『교육과 사회학』, 『도덕교육론』, 『프랑스에서의 교육 발달』을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이 과정에서 1차적으로 뒤르케임의 교육 연구의 방법적 특징과 그의 교육사 연구의 내용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뒤르케임은 교육을 당대 사회 관계와 구조 속에서 분석하였을 뿐만 아니라 교육 제도 연구에 역사사회학적 방법을 도입하여 제도 변화에 미친 사회적 이상의 영향을 강조하였다. 둘째, 뒤르케임이 실제로 제시한 교육 방법과 내용을 검토하여 그가 실제로 강조한 내용이 제3공화정 시기 프랑스 사회에서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추론했다. 셋째, 『도덕교육론』과『프랑스에서의 교육 발달』에 제시된 뒤르케임의 교육개혁 논의를 통해 관습화된 교양 교육을 넘어서는 시민교육 지향 프로그램의 구체적 내용을 검토했다. 특히, 뒤르케임이 새로운 2차교육 프로그램으로 강조했던 세 영역인 과학, 문학, 역사 교과관련 제안을 검토하여, 전통적인 2차 교육에서 간과되었던 과학교육에 대한 강조를 통해, 현대 사회에서 자연과학의 분석 방법을 익히는 것이 복잡한 사회 문제에 대한 분석력을 키운다는 점에서 시민교육의 주요 대상이 된다는 것을 밝혀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뒤르케임의 교육 관련 저술을 검토하여 그의 2차교육론의 핵심이 교양 함양이 아닌 시민 교육에 있다는 것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뒤르케임...

      이 논문은 뒤르케임의 교육 관련 저술을 검토하여 그의 2차교육론의 핵심이 교양 함양이 아닌 시민 교육에 있다는 것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뒤르케임의 교육사회학 관련 3대 저술인 『교육과 사회학』, 『도덕교육론』, 『프랑스에서의 교육 발달』을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이 과정에서 1차적으로 뒤르케임의 교육 연구의 방법적 특징과 그의 교육사 연구의 내용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뒤르케임은 교육을 당대 사회 관계와 구조 속에서 분석하였을 뿐만 아니라 교육 제도 연구에 역사사회학적 방법을 도입하여 제도 변화에 미친 사회적 이상의 영향을 강조하였다. 둘째, 뒤르케임이 실제로 제시한 교육 방법과 내용을 검토하여 그가 실제로 강조한 내용이 제3공화정 시기 프랑스 사회에서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추론했다. 셋째, 『도덕교육론』과『프랑스에서의 교육 발달』에 제시된 뒤르케임의 교육개혁 논의를 통해 관습화된 교양 교육을 넘어서는 시민교육 지향 프로그램의 구체적 내용을 검토했다. 특히, 뒤르케임이 새로운 2차교육 프로그램으로 강조했던 세 영역인 과학, 문학, 역사 교과관련 제안을 검토하여, 전통적인 2차 교육에서 간과되었던 과학교육에 대한 강조를 통해, 현대 사회에서 자연과학의 분석 방법을 익히는 것이 복잡한 사회 문제에 대한 분석력을 키운다는 점에서 시민교육의 주요 대상이 된다는 것을 밝혀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recent years the problem of `Crisis of Humanities` has caused a controversy in Korean academic community. In this article I tried to make clear that Durkheim`s focus on secondary education is not in restoration of conventional liberal arts but in building new civil education program. Achieving this purpose, I noted Durkheim`s sociological articles, especially his three masterpieces on educational sociology: Education and Society, Moral Education, The Evolution of Educational Thought. Through reading these, I found out three outlines for studying Durkheim`s contribution on civil education. First, He gave emphasis on considerable influence of social ideal, especially it`s ability to change educational system. For elucidating it, He applied sociological method to analyzing French educational history. Second, Durkheim`s educational suggestions were designed to vitalize new morality for reorganizing the 3rd Republic. Third, by analyzing Moral Education and The Evolution of Educational Thought, Durkheim`s focus on secondary education was building civility through teaching new programs: e.g., history, literature, and especially science. Traditional moral education which had taught only `parrot-like morality` was not available on modern society. For Durkheim, building students` ability for critical thinking was a cardinal aspect in new moral education.
      번역하기

      In recent years the problem of `Crisis of Humanities` has caused a controversy in Korean academic community. In this article I tried to make clear that Durkheim`s focus on secondary education is not in restoration of conventional liberal arts but in b...

      In recent years the problem of `Crisis of Humanities` has caused a controversy in Korean academic community. In this article I tried to make clear that Durkheim`s focus on secondary education is not in restoration of conventional liberal arts but in building new civil education program. Achieving this purpose, I noted Durkheim`s sociological articles, especially his three masterpieces on educational sociology: Education and Society, Moral Education, The Evolution of Educational Thought. Through reading these, I found out three outlines for studying Durkheim`s contribution on civil education. First, He gave emphasis on considerable influence of social ideal, especially it`s ability to change educational system. For elucidating it, He applied sociological method to analyzing French educational history. Second, Durkheim`s educational suggestions were designed to vitalize new morality for reorganizing the 3rd Republic. Third, by analyzing Moral Education and The Evolution of Educational Thought, Durkheim`s focus on secondary education was building civility through teaching new programs: e.g., history, literature, and especially science. Traditional moral education which had taught only `parrot-like morality` was not available on modern society. For Durkheim, building students` ability for critical thinking was a cardinal aspect in new moral edu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승학, "질서와 변동" 원미사 2000

      2 뒤르케임, 에밀, "종교생활의 원초적 형태, les Formes elementaires de la vie religieuse: le systeme totemique en Australie" 민영사, Alcan 1992

      3 박영신, "역사사회학자 뒤르케임을 아는가?, 역사사회학의 방법과 전망" 민영사 1986

      4 민문홍, "에밀 뒤르케임의 사회학" 아카넷 2001

      5 박희, "뒤르케임 도덕교육론의 재평가" 서원대 교육대학원 (2) : 147-163, 1998

      6 김신일, "뒤르껨의 교육이론 연구" 교육과학사 1987

      7 이종일, "교육의 사회성에 대한 Durkheim의 역사적 인식" 대구교대 (20) : 131-148, 1984

      8 이 황직, "공동체의 도덕적 기초에 대한 사회이론적 고찰" (24) : 144-180, 2003

      9 Durkheim, Emile, "The Evolution of Educational Thought" Routledge 1938

      10 Durkheim, Emile, "The Determination of Moral Facts ; Sociology and Philosophy" The Free Press 1953

      1 백승학, "질서와 변동" 원미사 2000

      2 뒤르케임, 에밀, "종교생활의 원초적 형태, les Formes elementaires de la vie religieuse: le systeme totemique en Australie" 민영사, Alcan 1992

      3 박영신, "역사사회학자 뒤르케임을 아는가?, 역사사회학의 방법과 전망" 민영사 1986

      4 민문홍, "에밀 뒤르케임의 사회학" 아카넷 2001

      5 박희, "뒤르케임 도덕교육론의 재평가" 서원대 교육대학원 (2) : 147-163, 1998

      6 김신일, "뒤르껨의 교육이론 연구" 교육과학사 1987

      7 이종일, "교육의 사회성에 대한 Durkheim의 역사적 인식" 대구교대 (20) : 131-148, 1984

      8 이 황직, "공동체의 도덕적 기초에 대한 사회이론적 고찰" (24) : 144-180, 2003

      9 Durkheim, Emile, "The Evolution of Educational Thought" Routledge 1938

      10 Durkheim, Emile, "The Determination of Moral Facts ; Sociology and Philosophy" The Free Press 1953

      11 Jones, Robert Allun, "Religion and Realism: Some reflections on Durkheim’s L’Evolution pedagogique en France ; Emile Durkheim: Critical Assessments of Leading Sociologists, vol. 4" Routledge 2001

      12 Oelkers, Jurgen, "Nohl, Durkheim, and Mead: Three Different Types of ‘History of Education’" 23 : 347-366, 2004

      13 Durkheim, Emile, "Les etudes de science sociale" 22 : 1886

      14 Halbwachs, Maurice, "Introduction by Maurice Halbwachs to the French Edition of 1938 ; Emile Durkheim, The Evolution of Educational Thought" Routledge 1938

      15 Walford, Geoffrey, "Introduction ; Emile Durkheim: Critical Assessments of Leading Sociologists, Vol. 4" Routledge 2001

      16 Durkheim, Emile, "Individualism and the Intellectuals ; Emile Durkheim: On Morality and Society" Chicago University Press 1973

      17 버크, 피터, "History and Social Theory" Cornell University Press 1992

      18 Lukes,Steven, "Emile Durkheim:His Life and Work" Allen lane The Penguin Press 1973

      19 Cladis, Mark S., "Emile Durkheim and Moral Education in a Pluralistic Society ; Emile Durkheim: Critical Assessments of Leading Sociologists, vol. 4" Routledge 2001

      20 Cladis, Mark S., "Education, Virtue and Democracy in the Work of Emile Durkheim ; Emile Durkheim: Critical Assessments of Leading Sociologists, vol. 4" Routledge 2001

      21 뒤르케임, 에밀, "Education et Sociologie" Alcan 192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ocial Theory -> Korean Journal of Social Theory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82 1.401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