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안전교육이 사고에 미치는 영향 분석 = The Accidents Analysis for Safety Training in The Container Termin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466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는 수출ㆍ입 물동량의 대부분을 해상수송에 의존하고 있는 입장에서 예기치 못한 안전사고 등으로 컨테이너터미널의 정 상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어렵고 신뢰성에 문제가 되어 신규 물량 유치 및 기존 물량 유지에 타격을 받게 될 가능성도 제기 된다. 이에 컨테이 너터미널에서는 365일 고객에게 최상의 서비스 질을 제공하기 위해서 항만근로자의 적극적인 업무 대처와 역할을 강조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결과 항만근로자들에게 과중한 업무의 부담이 전가되어 안전사고가 매년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광양항 A 컨테이너터미 널의 2012년부터 2015년 재해현황을 분석하고, 안전사고 교육 미비 상태와 안전사고 교육을 꾸준히 실행 했을 때 컨테이너터미널의 안전사고 현황을 분석하였다. 장비별 안전사고 분석결과 GC 경우 교육 전 2012년 45건, 2013년 31건이 발생했으며, 교육준비 과정 2014년 23건, 집중 교육 기간 2015년에는 8건이 발생하였다. TC 경우 교육 전 2012년 13건, 2013년 19건이 발생했으며, 교육준비 과정 2014년 12건, 집중 교육 기간 2015년에는 8건이 발생하였다. YT 경우 교육 전 2012년 9건, 2013년 9건이 발생했으며, 교육준비 과정 2014년 9건, 집중 교육 기간 2015 년에는 4건이 발생하였다. 컨테이너터미널의 안전교육은 법정 교육, 자체 교육과 장비별 안전 수칙 교육이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안전사고에 미치는 영 향이 크게 나타남에 따라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기 위해서 안전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번역하기

      우리나라는 수출ㆍ입 물동량의 대부분을 해상수송에 의존하고 있는 입장에서 예기치 못한 안전사고 등으로 컨테이너터미널의 정 상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어렵고 신뢰성에 문제가 되어 신...

      우리나라는 수출ㆍ입 물동량의 대부분을 해상수송에 의존하고 있는 입장에서 예기치 못한 안전사고 등으로 컨테이너터미널의 정 상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어렵고 신뢰성에 문제가 되어 신규 물량 유치 및 기존 물량 유지에 타격을 받게 될 가능성도 제기 된다. 이에 컨테이 너터미널에서는 365일 고객에게 최상의 서비스 질을 제공하기 위해서 항만근로자의 적극적인 업무 대처와 역할을 강조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결과 항만근로자들에게 과중한 업무의 부담이 전가되어 안전사고가 매년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광양항 A 컨테이너터미 널의 2012년부터 2015년 재해현황을 분석하고, 안전사고 교육 미비 상태와 안전사고 교육을 꾸준히 실행 했을 때 컨테이너터미널의 안전사고 현황을 분석하였다. 장비별 안전사고 분석결과 GC 경우 교육 전 2012년 45건, 2013년 31건이 발생했으며, 교육준비 과정 2014년 23건, 집중 교육 기간 2015년에는 8건이 발생하였다. TC 경우 교육 전 2012년 13건, 2013년 19건이 발생했으며, 교육준비 과정 2014년 12건, 집중 교육 기간 2015년에는 8건이 발생하였다. YT 경우 교육 전 2012년 9건, 2013년 9건이 발생했으며, 교육준비 과정 2014년 9건, 집중 교육 기간 2015 년에는 4건이 발생하였다. 컨테이너터미널의 안전교육은 법정 교육, 자체 교육과 장비별 안전 수칙 교육이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안전사고에 미치는 영 향이 크게 나타남에 따라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기 위해서 안전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ur country, which relies on maritime transport a majority of import and export trade volume and faced with unexpected accidents, it is difficult to operate the normal function of container terminal. It also caused by reliability issue raised is likely to be given a blow to the new volumes to attract and maintain existing volumes. Under this views, the container terminal is a situation that highlights the role of the harbor workers and cope with aggressive work to provide the best quality services to customers 365 days. On these grounds, the heavy work burden is passed on to the harbor workers and caused accidents every year. The study was analyzed the safety status of the container terminal under the real following the conditions as disaster status analysis, insufficient safety training circumstances and safety training from 2012 year to 2015 in the target current K.Y terminal. As a result of equipments safety training analysis, it shows that 2012 year happened 45 cases and 31 cases in 2013 year until not practicing the training over the Gantry Crane equipment. One hand 23 cases took place in 2014 while preparation training and the other intensive training period of 2015, 8 cases occurred. it shows that 2012 year happened 13 cases and 19 cases in 2013 year until not practicing the training over the Transfer Crane equipment. One hand 12 cases took place in 2014 while preparation training and the other intensive training period of 2015, 8 cases occurred. it shows that 2012 year happened 9 cases and 9 cases in 2013 year until not practicing the training over the Yard Tractor equipment. One hand 9 cases took place in 2014 while preparation training and the other intensive training period of 2015, 4 cases occurred. Because safety training of the container terminal was given to greatly impact on the mandatory safety training, self-educational enforcement and specified equipments safety training, hence the container terminal is to strengthen the safety education to prevent accidents in advance.
      번역하기

      Our country, which relies on maritime transport a majority of import and export trade volume and faced with unexpected accidents, it is difficult to operate the normal function of container terminal. It also caused by reliability issue raised is likel...

      Our country, which relies on maritime transport a majority of import and export trade volume and faced with unexpected accidents, it is difficult to operate the normal function of container terminal. It also caused by reliability issue raised is likely to be given a blow to the new volumes to attract and maintain existing volumes. Under this views, the container terminal is a situation that highlights the role of the harbor workers and cope with aggressive work to provide the best quality services to customers 365 days. On these grounds, the heavy work burden is passed on to the harbor workers and caused accidents every year. The study was analyzed the safety status of the container terminal under the real following the conditions as disaster status analysis, insufficient safety training circumstances and safety training from 2012 year to 2015 in the target current K.Y terminal. As a result of equipments safety training analysis, it shows that 2012 year happened 45 cases and 31 cases in 2013 year until not practicing the training over the Gantry Crane equipment. One hand 23 cases took place in 2014 while preparation training and the other intensive training period of 2015, 8 cases occurred. it shows that 2012 year happened 13 cases and 19 cases in 2013 year until not practicing the training over the Transfer Crane equipment. One hand 12 cases took place in 2014 while preparation training and the other intensive training period of 2015, 8 cases occurred. it shows that 2012 year happened 9 cases and 9 cases in 2013 year until not practicing the training over the Yard Tractor equipment. One hand 9 cases took place in 2014 while preparation training and the other intensive training period of 2015, 4 cases occurred. Because safety training of the container terminal was given to greatly impact on the mandatory safety training, self-educational enforcement and specified equipments safety training, hence the container terminal is to strengthen the safety education to prevent accidents in adva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 론
      • 2. 선행연구 고찰
      • 3. 재해현황
      • 4. 안전 교육 및 사고 분석
      • 5. 결 론
      • 1. 서 론
      • 2. 선행연구 고찰
      • 3. 재해현황
      • 4. 안전 교육 및 사고 분석
      • 5. 결 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인환, "해양안전정보서비스를 위한 사용자정의 AIS AtoN확장 및 실험" 한국항해항만학회 33 (33): 423-428, 2009

      2 진호현, "해사안전법상 안전관리책임자 및 안전관리자의 자격요건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 37 (37): 519-526, 2013

      3 이정훈, "항만보안 인력의 전문화를 위한 교육시스템 개선방안" 한국융합보안학회 14 (14): 13-22, 2014

      4 윤창술, "항만내 위험물관리의 안전도 제고를 위한 법적 대응방안" 법학연구소 20 (20): 69-93, 2012

      5 박철호, "항만내 안전사고와 손해배상책임" 법학연구소 20 (20): 181-224, 2012

      6 김진용,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의 교육훈련에 관한 연구 -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를 중심으로 -" 한국항만경제학회 25 (25): 201-230, 2009

      7 권세민, "지역항만 발전을 위한 항만운영기관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 35 (35): 439-444, 2011

      8 강다연, "정보보안정책 준수가 정보보안능력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해운항만조직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 30 (30): 97-118, 2014

      9 남영우, "인천항 항만하역 재해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 6 (6): 1-14, 2004

      10 남영우, "인천항 항만하역 재해분석 및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 8 (8): 27-36, 2006

      1 박인환, "해양안전정보서비스를 위한 사용자정의 AIS AtoN확장 및 실험" 한국항해항만학회 33 (33): 423-428, 2009

      2 진호현, "해사안전법상 안전관리책임자 및 안전관리자의 자격요건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 37 (37): 519-526, 2013

      3 이정훈, "항만보안 인력의 전문화를 위한 교육시스템 개선방안" 한국융합보안학회 14 (14): 13-22, 2014

      4 윤창술, "항만내 위험물관리의 안전도 제고를 위한 법적 대응방안" 법학연구소 20 (20): 69-93, 2012

      5 박철호, "항만내 안전사고와 손해배상책임" 법학연구소 20 (20): 181-224, 2012

      6 김진용,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의 교육훈련에 관한 연구 -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를 중심으로 -" 한국항만경제학회 25 (25): 201-230, 2009

      7 권세민, "지역항만 발전을 위한 항만운영기관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 35 (35): 439-444, 2011

      8 강다연, "정보보안정책 준수가 정보보안능력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해운항만조직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 30 (30): 97-118, 2014

      9 남영우, "인천항 항만하역 재해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 6 (6): 1-14, 2004

      10 남영우, "인천항 항만하역 재해분석 및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 8 (8): 27-36, 2006

      11 배준기, "사고 통계기반 선박사고 예방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 38 (38): 247-252, 2014

      12 남도기,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 현장인력의 교대근무제 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 26 (26): 144-171, 2010

      13 이정원, "미국항만하역근로자의 법적지위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55 (55): 93-118, 2014

      14 "http://jeolla.com/bbs/?tbl=politics&mode=VIEW&num=2555"

      15 Park, Y. W., "Stevedoring operations Environmental Management Improvement" Korea Maritime Institute 2002 : 90-91, 2002

      16 Lee, Y. S., "Stevedoring disaster statistics and case" 28 : 21-29, 2014

      17 Park, Y. W., "Safety issues and measures stevedoring operations step by step" Korea Maritime Institute 2001 : 44-46, 2001

      18 Ministry of patriots, "Port tentative Law (Draft) on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study for the establishment" Ministry of patriots 44-55, 2012

      19 Park, Y. W., "Needs and establish plans of stevedoring safety standards Details"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2001 : 4-15, 2001

      20 Kim, H. S., "Legal status and labor implications of the German workers unloading" 2003 : 347-405, 2003

      21 Lee. J. W., "A study on the Longshoring and harbor workers Legal status" 33 (33): 65-111, 2011

      22 Pak. W. H., "A study on preventive measures of safety accident for harbor workers : focused on Ulsan port's unloading workers" Ulsan University 2013

      23 Kim, W. S., "A study for better management of cargo handling safety" Korea Maritime Institute 16-85, 2012

      24 Kim. G. R., "A Security Plan for the Legal Status of Longshoremen" 16 (16): 65-111,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 0.685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