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산업은 21세기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일 뿐만 아니라 오늘날 우리나라가 선진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중요한 신 성장 동력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다. 오랜 역사의 과정을 통해 찬란한 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871397
2014
-
KCI등재
학술저널
11-19(9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관광산업은 21세기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일 뿐만 아니라 오늘날 우리나라가 선진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중요한 신 성장 동력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다. 오랜 역사의 과정을 통해 찬란한 예...
관광산업은 21세기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일 뿐만 아니라 오늘날 우리나라가 선진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중요한 신 성장 동력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다. 오랜 역사의 과정을 통해 찬란한 예술과 문화유산을 간직한 우리나라의 관광자원은 최근 첨단의 IT 정보기술과 결합하여 새로운 관광 콘텐츠를 창출하고 있다. IT 기반의 관광콘텐츠의 개발은 기존의 수동적 관광행태에서 벗어나 관광객에게 사전에 관광지에 대한 정보 및 지식을 제공하여 선택적 가능성을 확대함으로써 관광의 질과 만족도를 높여줄 수 있다. 이에 본 사례 연구에서는 관광객이 감소추세에 있는 수원화성을 선정하여 가상체험 콘텐츠 서비스모델 적용을 통해 활성화 할 수 있는 개발방안을 도출,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금 까지 진행되어온 단방향적인 리뷰 형식의 체험관광에서 벗어나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라이브카메라의 영상 전송시스템과 SNS로 공유되는 포토맵 서비스 등의 가상체험 스마트 융합콘텐츠는 실시간으로 관광객과 소통하며 상호작용할 수 있는 참여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앱(App)과 웹(Web)이 연계되는 다학제적 기술기반의 융합콘텐츠 서비스는 본 연구를 통해 관광자원으로서의 문화관광 콘텐츠의 위상을 재정립하고 관광객 유치를 위한 선도적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장춘, "최신 관광자원학" 대왕사 2014
2 "창조산업과 콘텐츠, 9/10월호"
3 "창조산업과 콘텐츠, 7/8월호"
4 "창조산업과 콘텐츠, 6월호"
5 "창조산업과 콘텐츠, 5월호"
6 "창조산업과 콘텐츠, 4월호"
7 "창조산업과 콘텐츠, 11/12월호"
8 전효재, "스마트 관광객과 미래 관광산업의 육성"
9 윤민희, "문화의 키워드 디자인" 예경 2003
10 유보현, "관광자원화를 위한 농촌전통 테마마을의 디자인연구" 한국디자인학회 19 (19): 235-242, 2006
1 이장춘, "최신 관광자원학" 대왕사 2014
2 "창조산업과 콘텐츠, 9/10월호"
3 "창조산업과 콘텐츠, 7/8월호"
4 "창조산업과 콘텐츠, 6월호"
5 "창조산업과 콘텐츠, 5월호"
6 "창조산업과 콘텐츠, 4월호"
7 "창조산업과 콘텐츠, 11/12월호"
8 전효재, "스마트 관광객과 미래 관광산업의 육성"
9 윤민희, "문화의 키워드 디자인" 예경 2003
10 유보현, "관광자원화를 위한 농촌전통 테마마을의 디자인연구" 한국디자인학회 19 (19): 235-242, 2006
11 박석희, "관광루트 주변 재래시장의 관광자원화에관한 연구" 43 (43): 1999
12 김성진, "고가·종택·전통마을의 보전적 관광자원화방안" 관광연구원 2001
13 "www.naver.com"
14 "www.kocca.kr"
15 "http://kto.visitkorea.or.kr"
16 조동성, "21세기 뉴 르네상스 시대의 디자인혁명" 한스미디어 2006
무인택배기의 UI디자인 사용성 현황 및 개선에 관한 연구-우체국의 무인우편창구와 편의점의 포스트박스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Korea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Design Critique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s-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17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6-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2-08-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디자인지식저널 [디자인지식저널] -> 디자인지식저널외국어명 : Korea Design Knowledge Journal -> Journal of Korea Design Knowledge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11-0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디자인지식산업포럼 -> 한국디자인지식학회영문명 : Korea Design Knowledge & Industrial Forum -> Korea Design Knowledge Society | ![]() |
2010-11-08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디자인지식포럼 학술지 [디자인지식논총] -> 한국디자인지식저널 [디자인지식저널]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9-09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디자인지식포럼 -> 한국디자인지식산업포럼영문명 : Korea Design Knowledge Forum -> Korea Design Knowledge & Industrial Forum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 ![]() |
2008-04-1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아시아퍼시픽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지식포럼영문명 : Asia Pacific Society of Design -> Korea Design Knowledge Forum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