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고 싶은 섬」의 갯벌과 토양환경 특성(Ⅵ) - 탄도, 우이도 중심으로 - = The Characteristics of Mud Flat and Soil Environment in 「Islands that People Hope to Visit」(Ⅵ) - Focused on Tando & Wooido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075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16년부터 전라남도에서 브랜드 시책으로 추진 중인 「가고 싶은 섬」비교우위 자원인 갯벌과 토양, 농·수산물을 대상으로 유용성물질인 게르마늄, 셀레늄 및 미네랄 함량을 확인하고 토양오염실태를 조사하여 섬 지역 토양의 인위적인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토양 환경 청정성에 대한 과학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올수산물의 유용성 성분 결과를 활용하여 섬 지역 관광산업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탄도의 지질은 중생대 쥐라기의 흑운모화강암과 엽리상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심층풍화로 인해 생성된 황토가 섬 전체를 덮고 있다. 우이도의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 유문암 및 유문암질 응회암과 신생대 제4기 충적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탄도와 우이도에서 생산되는 토양(36개 시료), 갯벌(30개 시료), 농수산물(11개 시료)의 특성과 기능성 성분 함량을 조사 하였다.
      기능성 성분을 고려한 게르마늄과 셀레늄의 함량을 분석 하였다. 게르마늄 토양과 갯벌의 평균 농도는 탄도에서 각각 7.193mg/kg, 9.190mg/kg, 우도에서 7.076mg/kg, 7.551mg/kg이었다. 토양과 갯벌의 셀레늄 평균 농도는 탄도에서 각각 2.441mg/kg, 2.533mg/kg, 우도에서 3.073mg/kg, 2.235mg/kg이었다. 농수산물(15.83∼72.23㎍/kg)의 게르마늄 농도는 탄도에서 참깨(72.23㎍/kg) > 작은 문어(61.89㎍/kg) > 흑두(50.29㎍/kg), 고사리(47.59㎍/kg)를 나타냈다. 우이도 마늘(47.16㎍/kg)과 농수산물(23.21∼598.24㎍/kg)의 셀레늄 농도는 탄도 참깨(598.24㎍/kg) > 탄도 소문어(137.97 ㎍/kg) > 우이도 고사리(23.21㎍/kg)를 나타냈다. 농수산물의 미네랄 함량은 탄도 참깨(칼슘 965.322mg/100g), 탄도 흑두(칼륨 8213.058mg/100g), 우이도 양파(철 30.139mg/100g)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농촌 진흥청에서 권장하는 식품성분표를 고려하면 이러한 식품은 여러 가지 미네랄의 좋은 공급원입니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토양의 토양오염물질에 대한 증거나 연관성은 없었고, 또한 수산물에서 중금속으로 인한 위험을 찾을 수 없었다.
      번역하기

      2016년부터 전라남도에서 브랜드 시책으로 추진 중인 「가고 싶은 섬」비교우위 자원인 갯벌과 토양, 농·수산물을 대상으로 유용성물질인 게르마늄, 셀레늄 및 미네랄 함량을 확인하고 토양...

      2016년부터 전라남도에서 브랜드 시책으로 추진 중인 「가고 싶은 섬」비교우위 자원인 갯벌과 토양, 농·수산물을 대상으로 유용성물질인 게르마늄, 셀레늄 및 미네랄 함량을 확인하고 토양오염실태를 조사하여 섬 지역 토양의 인위적인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토양 환경 청정성에 대한 과학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올수산물의 유용성 성분 결과를 활용하여 섬 지역 관광산업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탄도의 지질은 중생대 쥐라기의 흑운모화강암과 엽리상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심층풍화로 인해 생성된 황토가 섬 전체를 덮고 있다. 우이도의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 유문암 및 유문암질 응회암과 신생대 제4기 충적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탄도와 우이도에서 생산되는 토양(36개 시료), 갯벌(30개 시료), 농수산물(11개 시료)의 특성과 기능성 성분 함량을 조사 하였다.
      기능성 성분을 고려한 게르마늄과 셀레늄의 함량을 분석 하였다. 게르마늄 토양과 갯벌의 평균 농도는 탄도에서 각각 7.193mg/kg, 9.190mg/kg, 우도에서 7.076mg/kg, 7.551mg/kg이었다. 토양과 갯벌의 셀레늄 평균 농도는 탄도에서 각각 2.441mg/kg, 2.533mg/kg, 우도에서 3.073mg/kg, 2.235mg/kg이었다. 농수산물(15.83∼72.23㎍/kg)의 게르마늄 농도는 탄도에서 참깨(72.23㎍/kg) > 작은 문어(61.89㎍/kg) > 흑두(50.29㎍/kg), 고사리(47.59㎍/kg)를 나타냈다. 우이도 마늘(47.16㎍/kg)과 농수산물(23.21∼598.24㎍/kg)의 셀레늄 농도는 탄도 참깨(598.24㎍/kg) > 탄도 소문어(137.97 ㎍/kg) > 우이도 고사리(23.21㎍/kg)를 나타냈다. 농수산물의 미네랄 함량은 탄도 참깨(칼슘 965.322mg/100g), 탄도 흑두(칼륨 8213.058mg/100g), 우이도 양파(철 30.139mg/100g)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농촌 진흥청에서 권장하는 식품성분표를 고려하면 이러한 식품은 여러 가지 미네랄의 좋은 공급원입니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토양의 토양오염물질에 대한 증거나 연관성은 없었고, 또한 수산물에서 중금속으로 인한 위험을 찾을 수 없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sland region's soil by checking the contents of useful substances germanium, selenium and minerals for the comparative advantage resources of the ``Islands that People Hope to Visit'' in Jeollanam-do as a brand policy since 2016, as well as for agricultural and aquatic produc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scientific data on the cleanliness of the soil environment by examining the anthropogenic effects of the island, and to contribute to the vitalizations of the island's tourism industry by utilizing the results of the usefulness of all marine products.
      The geology of the trajectory is composed of biotite granite and foliar granite from the Mesozoic Jurassic period, and the loess produced by deep weathering covers the entire island. The geology of Wooido is composed of the Mesozoic Cretaceous rhyolite and rhyolite tuff and the Cenozoic 4th alluvial layer. In this study, soil(36 samples), tidal flats(30 samples), and in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s(11 samples) produced in Muan Tando and Sinan Wooido And the content of functional ingredients were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Germanium and Selenium which are considered as functional components were analyzed. Mean Germanium concentrations in soil and mud flats were 7.193mg/kg, 9.190mg/kg in Tando and 7.076mg/kg, 7.551mg/kg in Wooido, respectively. Mean Selenium concentrations in soil and mud flats were 2.441mg/kg, 2.533mg/kg in Tando and 3.073mg/kg, 2.235mg/kg in Wooido, respectively. Mean Germanium concentrations of agro-fishery products(15.83∼72.23 ㎍/kg) showed Sesame(72.23㎍/kg) > Small octopus(61.89㎍/kg) > Blackbean(50.29㎍/kg) in Tando and Bracken(47.59㎍/kg) > Garlic(47.16㎍/kg) in Wooido. The Selenium concentrations of agro-fishery products(23.21∼598.24㎍/kg) showed Sesame from Tando(598.24㎍/kg) > Small octopus from Tando(137.97㎍/kg) > Bracken from Wooido(23.21㎍/kg). The mineral contents of agro-fishery products were observed with high values of Sesame from Tando(Calcium 965.322mg/100g), Blackbeans from Tando(Potassium 8213.058mg /100g), and in Onions from Wooido(Iron 30.139mg/100g).
      Considering the food composition table recommend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those foods are good sources of several miner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ere is no evidence or concern for pollutants in soil. In addition, traces of heavy metals in fishery products were undetected.
      번역하기

      The island region's soil by checking the contents of useful substances germanium, selenium and minerals for the comparative advantage resources of the ``Islands that People Hope to Visit'' in Jeollanam-do as a brand policy since 2016, as well as for a...

      The island region's soil by checking the contents of useful substances germanium, selenium and minerals for the comparative advantage resources of the ``Islands that People Hope to Visit'' in Jeollanam-do as a brand policy since 2016, as well as for agricultural and aquatic produc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scientific data on the cleanliness of the soil environment by examining the anthropogenic effects of the island, and to contribute to the vitalizations of the island's tourism industry by utilizing the results of the usefulness of all marine products.
      The geology of the trajectory is composed of biotite granite and foliar granite from the Mesozoic Jurassic period, and the loess produced by deep weathering covers the entire island. The geology of Wooido is composed of the Mesozoic Cretaceous rhyolite and rhyolite tuff and the Cenozoic 4th alluvial layer. In this study, soil(36 samples), tidal flats(30 samples), and in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s(11 samples) produced in Muan Tando and Sinan Wooido And the content of functional ingredients were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Germanium and Selenium which are considered as functional components were analyzed. Mean Germanium concentrations in soil and mud flats were 7.193mg/kg, 9.190mg/kg in Tando and 7.076mg/kg, 7.551mg/kg in Wooido, respectively. Mean Selenium concentrations in soil and mud flats were 2.441mg/kg, 2.533mg/kg in Tando and 3.073mg/kg, 2.235mg/kg in Wooido, respectively. Mean Germanium concentrations of agro-fishery products(15.83∼72.23 ㎍/kg) showed Sesame(72.23㎍/kg) > Small octopus(61.89㎍/kg) > Blackbean(50.29㎍/kg) in Tando and Bracken(47.59㎍/kg) > Garlic(47.16㎍/kg) in Wooido. The Selenium concentrations of agro-fishery products(23.21∼598.24㎍/kg) showed Sesame from Tando(598.24㎍/kg) > Small octopus from Tando(137.97㎍/kg) > Bracken from Wooido(23.21㎍/kg). The mineral contents of agro-fishery products were observed with high values of Sesame from Tando(Calcium 965.322mg/100g), Blackbeans from Tando(Potassium 8213.058mg /100g), and in Onions from Wooido(Iron 30.139mg/100g).
      Considering the food composition table recommend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those foods are good sources of several miner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ere is no evidence or concern for pollutants in soil. In addition, traces of heavy metals in fishery products were undetec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석태, "함평지역 암석과 토양에 포함된 게르마늄의 분포특성과 활용방안 연구" 전남대학교교육과학연구소·함평군 149-, 2005

      2 환경부, "토양환경보전법’(환경부령제776호) : 토양환경보전법 제5조 및 토양오염실 태조사지침(환경부예규 제668호)"

      3 국립환경과학원,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국립환경과학원고시제2018-53호) : 분류번호 1-41"

      4 윤정기, "토양 중 중금속(Ba, Cr)의 분포특성 평가"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 (20): 61-69, 2015

      5 김경수, "지리산 구례지역 토양 중 게르마늄 분포 특성" 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 127-137, 2016

      6 강광성, "전남지역밭토양의Ge분포특성" 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 19 : 159-174, 2008

      7 농촌진흥청국립농업과학원, "식품성분표"

      8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공전(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 제2019-102호)"

      9 김영순, "셀레늄에 관한 고찰" 고려대학교보건과학연구소 19 (19): 119-128, 1993

      10 김혜영, "셀레늄 결핍과 관련된 어린이의 질환" 용인대학교 11 : 405-426, 1995

      1 윤석태, "함평지역 암석과 토양에 포함된 게르마늄의 분포특성과 활용방안 연구" 전남대학교교육과학연구소·함평군 149-, 2005

      2 환경부, "토양환경보전법’(환경부령제776호) : 토양환경보전법 제5조 및 토양오염실 태조사지침(환경부예규 제668호)"

      3 국립환경과학원,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국립환경과학원고시제2018-53호) : 분류번호 1-41"

      4 윤정기, "토양 중 중금속(Ba, Cr)의 분포특성 평가"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 (20): 61-69, 2015

      5 김경수, "지리산 구례지역 토양 중 게르마늄 분포 특성" 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 127-137, 2016

      6 강광성, "전남지역밭토양의Ge분포특성" 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 19 : 159-174, 2008

      7 농촌진흥청국립농업과학원, "식품성분표"

      8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공전(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 제2019-102호)"

      9 김영순, "셀레늄에 관한 고찰" 고려대학교보건과학연구소 19 (19): 119-128, 1993

      10 김혜영, "셀레늄 결핍과 관련된 어린이의 질환" 용인대학교 11 : 405-426, 1995

      11 이상현, "성인병과 암을 정복하는 유기게르마늄" 가림출판사 17-21, 2002

      12 정구복, "농경지 중금속오염도 평가 효율향상을 위한 분석법 연구" 국립농업과학원 1-307, 2010

      13 에드거 N. 드레이크, "건강혁명셀레늄" 도서출판산다슬 36-37, 2003

      14 배주순, "「가고 싶은 섬」의 갯벌과 토양환경 특성 (Ⅱ) - 손죽도, 장도, 생일도, 기점․소악도를 중심으로 -" 한국도서(섬)학회 30 (30): 129-149, 2018

      15 Sandra, G., "Therapeutic Effects of Organic Germanium" 26 : 207-215, 1988

      16 Levander, OA, "Recent Developments in Selenium Nutrition" Wiley- Interscience 147-161, 1988

      17 Tsang, "Nutrition During Jufancy" Hanley & Belfus 195-201, 1988

      18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19 전라남도해양항만과, "About 전남의 섬"

      20 Chun OK., "A Study on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in the Commercial Processed Foods" 16 (16): 308-314, 2001

      21 전라남도해양항만과, "<가고 싶은 섬> 가꾸기 10개년 계획"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3 0.57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