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예비체육지도자의 장애낙인에 따른 장애학생 신체활동에 대한 사정행동의도 분석 = An Analysis of Intentions Toward Assessment about Physical Activit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by Disability Labels of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912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verbal disability label with and without disability affects intentions of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toward assessment about physical activit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analyzes how it affects the sub-variable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vide specific basic data for successful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310 students were collected using a purposive sampling, and a questionnaire with or without verbal disability label (i.e., intellectual disability) was used as a survey tool.
      Multivariate variance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s a result, first, among the sub-variables of intentions of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toward assessment about physical activity of Choi OO student, the behavioral intention, behavioral beliefs, attitudes, normative beliefs,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control were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but there was n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rol beliefs. However, among all sub-variables, the group who was not provided the disability label had a higher average than the group who presented the disability label.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wo variable groups(e.g., attitudes to intentions, subjective beliefs to intentions) in the group that was not presented the disability label even though other variable groups did not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In addition, there were not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 sub-variables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the group that presented the disability label.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verbal disability label with and without disability affects intentions of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toward assessment about physical activit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analyz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verbal disability label with and without disability affects intentions of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toward assessment about physical activit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analyzes how it affects the sub-variable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vide specific basic data for successful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310 students were collected using a purposive sampling, and a questionnaire with or without verbal disability label (i.e., intellectual disability) was used as a survey tool.
      Multivariate variance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s a result, first, among the sub-variables of intentions of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toward assessment about physical activity of Choi OO student, the behavioral intention, behavioral beliefs, attitudes, normative beliefs,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control were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but there was n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rol beliefs. However, among all sub-variables, the group who was not provided the disability label had a higher average than the group who presented the disability label.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wo variable groups(e.g., attitudes to intentions, subjective beliefs to intentions) in the group that was not presented the disability label even though other variable groups did not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In addition, there were not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 sub-variables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the group that presented the disability labe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장애 유·무의 언어적 장애낙인이 예비체육지도자의 장애학생 신체활동 사정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 그에 따른 이론적 배경인 계획행동이론 하위변인 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성공적인 통합체육을 위한 구체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학교 체육전공 대학생들을 모집단으로 하여 유의표집 방법을 이용해 310명을 표집 하였으며, 언어적 장애낙인(경도 지적장애) 유·무가 제시된 설문지를 조사 도구로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을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 및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장애낙인 유· 무에 따른 예비체육지도자의 최OO학생 신체활동 사정행동의도의 하위 변인 중 사정행동의도, 행동신념, 태도, 규범적 신념, 주관적 규범, 지각된 통제력은 집단 간 유의한 차가나타났지만, 통제적 신념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모든 하위 변인 중장애낙인을 제시받지 않은 예비체육지도자 집단이 장애낙인을 제시받은 집단 보다 더 높은 평균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낙인 진술이 제시되지 않은 계획행동이론 하위변인 간의 관계 영향 분석 결과에서는 태도에서 의도의 관계 및 주관적 규범에서 의도의 관계에서는 중요한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나머지 하위변인 간의 관계에서는 인과관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장애낙인 진술이 제시된 계획행동이론하위변인 간의 관계 영향 분석 결과에서는 모든 하위변인 간에 중요한 인과관계가 없는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장애 유·무의 언어적 장애낙인이 예비체육지도자의 장애학생 신체활동 사정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 그에 따른 이론적 배경인 계획행동이론 하위변인 간�...

      본 연구는 장애 유·무의 언어적 장애낙인이 예비체육지도자의 장애학생 신체활동 사정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 그에 따른 이론적 배경인 계획행동이론 하위변인 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성공적인 통합체육을 위한 구체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학교 체육전공 대학생들을 모집단으로 하여 유의표집 방법을 이용해 310명을 표집 하였으며, 언어적 장애낙인(경도 지적장애) 유·무가 제시된 설문지를 조사 도구로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을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 및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장애낙인 유· 무에 따른 예비체육지도자의 최OO학생 신체활동 사정행동의도의 하위 변인 중 사정행동의도, 행동신념, 태도, 규범적 신념, 주관적 규범, 지각된 통제력은 집단 간 유의한 차가나타났지만, 통제적 신념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모든 하위 변인 중장애낙인을 제시받지 않은 예비체육지도자 집단이 장애낙인을 제시받은 집단 보다 더 높은 평균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낙인 진술이 제시되지 않은 계획행동이론 하위변인 간의 관계 영향 분석 결과에서는 태도에서 의도의 관계 및 주관적 규범에서 의도의 관계에서는 중요한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나머지 하위변인 간의 관계에서는 인과관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장애낙인 진술이 제시된 계획행동이론하위변인 간의 관계 영향 분석 결과에서는 모든 하위변인 간에 중요한 인과관계가 없는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영종, "특수학급 학생의 통합교육 성공예언도"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3 (53): 195-216, 2010

      2 이재원, "특수교육지원대상학생의 체력증진을 위한 학생건강체력평가시스템(PAPS) 적용" 한국특수체육학회 18 (18): 1-16, 2010

      3 오광진, "통합체육수업이 장애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 13 (13): 1-15, 2005

      4 노형규, "통합체육 수업을 위한 일반체육교사의 준비요건 탐색: 미국 공립학교에 대한 체험적 탐구" 한국특수체육학회 15 (15): 107-130, 2007

      5 신미리, "지체부자유 학생의 협력·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특수교사 및 일반교사의 태도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1

      6 "정신장애 '낙인' 찍히고 퇴학당해"

      7 이현수, "정서행동 장애학생과의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태도, 관여도, 상호작용 행동의도 관계분석" 한국체육학회 45 (45): 483-494, 2006

      8 이현수, "장애학생 통합체육 참여에 대한 체육교사의 장애낙인 효과분석" 한국특수체육학회 17 (17): 81-100, 2009

      9 이현수, "장애학생 통합체육 참여에 대한 비 장애학생의 장애낙인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 17 (17): 565-575, 2008

      10 조재훈, "장애인의 통합체육에 대한 체육전공 대학생의 태도 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 11 (11): 191-202, 2003

      1 최영종, "특수학급 학생의 통합교육 성공예언도"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3 (53): 195-216, 2010

      2 이재원, "특수교육지원대상학생의 체력증진을 위한 학생건강체력평가시스템(PAPS) 적용" 한국특수체육학회 18 (18): 1-16, 2010

      3 오광진, "통합체육수업이 장애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 13 (13): 1-15, 2005

      4 노형규, "통합체육 수업을 위한 일반체육교사의 준비요건 탐색: 미국 공립학교에 대한 체험적 탐구" 한국특수체육학회 15 (15): 107-130, 2007

      5 신미리, "지체부자유 학생의 협력·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특수교사 및 일반교사의 태도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1

      6 "정신장애 '낙인' 찍히고 퇴학당해"

      7 이현수, "정서행동 장애학생과의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태도, 관여도, 상호작용 행동의도 관계분석" 한국체육학회 45 (45): 483-494, 2006

      8 이현수, "장애학생 통합체육 참여에 대한 체육교사의 장애낙인 효과분석" 한국특수체육학회 17 (17): 81-100, 2009

      9 이현수, "장애학생 통합체육 참여에 대한 비 장애학생의 장애낙인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 17 (17): 565-575, 2008

      10 조재훈, "장애인의 통합체육에 대한 체육전공 대학생의 태도 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 11 (11): 191-202, 2003

      11 노형규, "자폐성장애 중학생의 통합체육 수업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12 양한나, "일반학교 중등체육교사의 특수체육 목표인식 연구" 한국체육학회 45 (45): 273-280, 2006

      13 오광진, "교양 통합체육 수업 참가 대학생의 통합체육에 대한 태도 연구" 한국체육학회 42 (42): 811-824, 2003

      14 이재원, "고등학교 특수학급 체육교육의 실태와 실천적 방안" 한국체육학회 44 (44): 1013-1023, 2005

      15 Oh, G. J., "The undergraduates' attitudes toward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of the physically disabled" 40 (40): 811-820, 2001

      16 Ajzen, I.,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50 (50): 179-211, 1991

      17 Lee, H. S., "Th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with physical disable student and influence caused by non-disable student`s recognition to physical disable student" 12 (12): 207-221, 2005

      18 김경진, "The Effects on Attitudes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toward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with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아시아지적장애인연맹 산하 아시아저널센터 5 (5): 54-62, 2018

      19 Rizzo, T. L., "Teaching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 What affects attitudes of future physical educators?" 12 : 205-216, 1995

      20 US Department of Education., "Summary of the Every Student Succeeds Act, legislation reauthorizing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US Department of Education 2015

      21 Hooper, D.,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 Guidelines for determining model fit" 6 : 53-60, 2008

      22 Korea Ministry of Education, "Special education annual report" Korea Ministry of Education 2015

      23 Wong, D. W., "Rehabilitation counseling studentsʼ attitude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ree social contexts : A conjoint analysis" 47 : 194-204, 2004

      24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ress 2010

      25 Tripp, A., "Preservice teachers’ attibutes related to teaching a student labeled ADHD" 12 (12): 150-156, 2007

      26 Kim, K., "Preservice adapte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tentions toward assess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outh Korea" Texas Woman’s University 2016

      27 Harriman, N., "Preparing classroom teachers to teach diverse learners in rural schools" 1996

      28 Jeong, M., "Physical education teachers' beliefs and intentions toward teach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82 (82): 239-246, 2011

      29 Lieberman, L., "Peer tutors' defects on activity levels of deaf students in inclusiv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17 : 20-39, 2000

      30 Strohmer, D. C., "Modeling rehabilitation counselor clinical judgment" 44 : 3-11, 2000

      31 Korea Paralympic Committee, "Inclusive sport manual development Ⅰ" Korea Sports Association for the Disabled 2008

      32 Bondy, E., "Getting beyond the research to practice gap : Researching against the grain" 27 (27): 47-56, 2004

      33 Kowaiski, E. M., "Factors influencing preservice student attitudes toward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13 : 180-196, 1996

      34 Silverman, J. C., "Epistemological beliefs and attitudes toward inclusion in preservice teachers" 30 (30): 42-51, 2007

      35 Faris-Cole, D. I., "Emotional disturbance and educational practice"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2002

      36 Stinnett, T. A., "Effects of diagnostic label, race, gender, educational placement, and definitional information on prognostic outlook for children with behavior problems" 36 (36): 51-59, 1999

      37 Porretta, D. L., "Documentary analysis of survey research in adapted physical activity : 1984-1998" 17 : 286-296, 2000

      38 Tripp, A., "Disability labels affect physical educators" 23 : 310-326, 2006

      39 Ajzen, I., "Constructing a theory of planned behavior questionnaire: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40 Kozub, F. M., "Attitudes toward teach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 Review of literature and research paradigm" 20 : 323-346, 2003

      41 Sherrill, C., "Adapted physical activity, recreation and sport: Crossdisciplinary and lifespan" WCB/McGraw-Hill 2006

      42 Sherrill, C., "Adapted physical activity recreation and sport: Crossdisciplinary and lifespa" Brown & Benchmark 1993

      43 MacDonald, J. D., "A rose is a rose : Effects of label change, education, and sex on attitudes toward mental disabilities" 6 (6): 15-31, 1999

      44 Tucker, L. R., "A reliability coefficient for maximum likelihood factor analysis" 38 (38): 1-10, 1973

      45 Korea Ministry of Education, "2018 Special education statistical" Korea Ministry of Education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1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0-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