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헌선, "한국의 창세신화" 길벗 1994
2 조희웅, "한국설화의 유형" 일조각 1983
3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신앙사전(마을신앙)" 국립민속박물관 2010
4 박종성, "한국 창세서사시 연구" 태학사 1999
5 서대석, "한국 신화와 민담의 세계관 연구" 국어국문학회 101 : 5-26, 1989
6 최래옥, "한국 구비전설의 연구 : 변이와 분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1
7 강등학, "한국 구비문학의 이해" 월인 2000
8 이홍우, "지식의 구조" 교육과학사 1988
9 박종성, "중ㆍ동부 유럽과 한국의 창세신화 그리고 변주" 비교민속학회 (35) : 541-572, 2008
10 정운채,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의 문항설정"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7) : 125-160, 2009
1 김헌선, "한국의 창세신화" 길벗 1994
2 조희웅, "한국설화의 유형" 일조각 1983
3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신앙사전(마을신앙)" 국립민속박물관 2010
4 박종성, "한국 창세서사시 연구" 태학사 1999
5 서대석, "한국 신화와 민담의 세계관 연구" 국어국문학회 101 : 5-26, 1989
6 최래옥, "한국 구비전설의 연구 : 변이와 분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1
7 강등학, "한국 구비문학의 이해" 월인 2000
8 이홍우, "지식의 구조" 교육과학사 1988
9 박종성, "중ㆍ동부 유럽과 한국의 창세신화 그리고 변주" 비교민속학회 (35) : 541-572, 2008
10 정운채,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의 문항설정"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7) : 125-160, 2009
11 Levi-Strauss, C., "신화학 1-2" 한길사 2006
12 황윤정, "신화소 중심의 설화 이해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2017
13 Eliade, M., "성과 속" 한길사 1998
14 오세정, "설화교육 연구의 경향 검토와 방향 모색" 청람어문교육학회 (55) : 63-88, 2015
15 일 연, "삼국유사 1" 도서출판 솔 2002
16 조동일, "삼국시대 설화의 뜻풀이" 집문당 2004
17 Beyer, B. K., "사회과 탐구논리" 교육과학사 1988
18 Dundes, A., "북미 인디언 민담의 구조적 유형학"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17 : 1998
19 최인자, "모티프 중심의 서사적 사고력 교육" 국어교육학회 (18) : 471-498, 2003
20 Wiseman, B., "레비스트로스" 김영사 2008
21 조현설, "동아시아의 돌 신화와 여신 서사의 변형 - 모석(母石)·기자석(祈子石)·망부석(望夫石)을 중심으로 -" 한국구비문학회 (36) : 119-150, 2013
22 Eliade, M., "대장장이와 연금술사" 문학동네 1999
23 Levi-Strauss, C., "구조인류학" 종로서적 1987
24 전수연, "『삼국유사』 「연오랑세오녀」의 ‘도기야’" 열상고전연구회 (63) : 195-226, 2018
25 조현설, "<해와 달이 된 오누이>형 민담의 창조신화적 성격 재론" 비교민속학회 (33) : 107-130, 2007
26 이지영,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전승과 그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연구원 15 : 171-215, 2008
27 서대석, "<일월노리푸념>의 신화적 성격" 한국구비문학회 (31) : 299-342, 2010
28 정운채, "<여우구슬>과 <지네각시> 주변의 서사지도" 한국문학치료학회 13 : 327-362, 2009
29 오세정, "<대홍수와 목도령>에 나타나는 창조신의 성격" 한국고전연구학회 12 : 271-303,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