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사 간 관계 중심의 설화 이해 교육 연구 - <창세가>,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연오랑세오녀>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Education to Understand Folklore Focusing on Relationship between Narratives - Focused on ‘Changse-ga’, ‘the Sun sister & the Moon brother’, ‘Yeon-oh and Seo-oh’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963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iscussed contents and method of understanding the narrative by grasping the narrative relation between narratives, focusing on the common points of different narratives. To this end, the folktales at the conflicting points of the tales were called “conflicting folktales”. It is also called “mediated narrative” that can be placed between opposing narratives, and the terms are considered theoretically. In order to apply the established concept to domestic narratives, we set the material of ‘relationship between January and man and woman’ As a tentative hypothesis, I saw ‘Changse-ga’ as a tale of a confrontational relationship as the ‘Sun and Moon’. I watched ‘Yeon-oh and Seo-oh’ as a mediating narrative lying between the two preceding tales. It can be said that ‘Changse-ga’ and ‘Sun and Moon’ can be read in a confrontational relationship based on the direction of movement, the way, and the way of describing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beings. Also, ‘Yeon-oh and Seo-oh’ is located between these two narratives and can read richer meaning than reading. We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narratives and suggested inquiry learning through this method. It is because the activity to compare the various texts enables the learner to develop ‘the eye to explore and discover for himself’, and to be able to voluntarily approach and interpret the narrative. This study is educationally meaningful to extend the range and horizon of folktale education in order to understand folktales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folktale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o have made a preliminary discussion of drawing the system of narrative with domestic folktales.
      번역하기

      This study discussed contents and method of understanding the narrative by grasping the narrative relation between narratives, focusing on the common points of different narratives. To this end, the folktales at the conflicting points of the tales wer...

      This study discussed contents and method of understanding the narrative by grasping the narrative relation between narratives, focusing on the common points of different narratives. To this end, the folktales at the conflicting points of the tales were called “conflicting folktales”. It is also called “mediated narrative” that can be placed between opposing narratives, and the terms are considered theoretically. In order to apply the established concept to domestic narratives, we set the material of ‘relationship between January and man and woman’ As a tentative hypothesis, I saw ‘Changse-ga’ as a tale of a confrontational relationship as the ‘Sun and Moon’. I watched ‘Yeon-oh and Seo-oh’ as a mediating narrative lying between the two preceding tales. It can be said that ‘Changse-ga’ and ‘Sun and Moon’ can be read in a confrontational relationship based on the direction of movement, the way, and the way of describing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beings. Also, ‘Yeon-oh and Seo-oh’ is located between these two narratives and can read richer meaning than reading. We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narratives and suggested inquiry learning through this method. It is because the activity to compare the various texts enables the learner to develop ‘the eye to explore and discover for himself’, and to be able to voluntarily approach and interpret the narrative. This study is educationally meaningful to extend the range and horizon of folktale education in order to understand folktales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folktale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o have made a preliminary discussion of drawing the system of narrative with domestic folktal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상이한 설화의 공통된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설화 간의 관계를파악함으로써 설화에 대한 이해를 꾀하는 방식의 교육 내용과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먼저, 설화 간 대립되는 관계에 있는 설화를 일컫는 ‘대립 설화’와, 대립되는 설화 사이에 놓일 수 있는 ‘매개 설화’의 개념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정립된 개념을 국내 설화에 적용하여, ‘일월과 인간 남녀의 관련성’ 이라는 소재를 중심으로 하여 <창세가>와 <해와 달이 된 오누이>를 대립적관계의 설화로, <연오랑세오녀>를 앞선 두 설화 사이에 놓여 있는 매개 설화로 잠정적인 가설을 수립하고 분석하였다. 살펴본 바, 이동 방향과 방식, 인간고유의 특성을 서술하는 방식 등을 기준으로 할 때 <창세가>와 <해와 달> 은 대립적인 관계에 놓아 읽을 수 있는 서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연오랑세오녀>는 이 두 서사 사이에 위치하여 읽을 때 보다 풍요로운 의미를 읽어낼수 있었다. 이러한 서사 간의 관계에 주목하여 설화를 읽는 방법으로는 탐구 학습을 제안하였다. 설화를 조망하고 견주어 보는 활동을 통해 학습자는 ‘스스로 탐구하고 발견하는 눈’을 기를 수 있으며, 설화에 대한 자발적 접근 및 의미의 해석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연구는 설화 교육의 범위와 지평을 확장할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국내의 설화로 서사의 체계를 그리는시발적 지점을 마련하였다는 것에 논의의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상이한 설화의 공통된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설화 간의 관계를파악함으로써 설화에 대한 이해를 꾀하는 방식의 교육 내용과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먼저, 설화 간 대립되는 관...

      본 연구는 상이한 설화의 공통된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설화 간의 관계를파악함으로써 설화에 대한 이해를 꾀하는 방식의 교육 내용과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먼저, 설화 간 대립되는 관계에 있는 설화를 일컫는 ‘대립 설화’와, 대립되는 설화 사이에 놓일 수 있는 ‘매개 설화’의 개념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정립된 개념을 국내 설화에 적용하여, ‘일월과 인간 남녀의 관련성’ 이라는 소재를 중심으로 하여 <창세가>와 <해와 달이 된 오누이>를 대립적관계의 설화로, <연오랑세오녀>를 앞선 두 설화 사이에 놓여 있는 매개 설화로 잠정적인 가설을 수립하고 분석하였다. 살펴본 바, 이동 방향과 방식, 인간고유의 특성을 서술하는 방식 등을 기준으로 할 때 <창세가>와 <해와 달> 은 대립적인 관계에 놓아 읽을 수 있는 서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연오랑세오녀>는 이 두 서사 사이에 위치하여 읽을 때 보다 풍요로운 의미를 읽어낼수 있었다. 이러한 서사 간의 관계에 주목하여 설화를 읽는 방법으로는 탐구 학습을 제안하였다. 설화를 조망하고 견주어 보는 활동을 통해 학습자는 ‘스스로 탐구하고 발견하는 눈’을 기를 수 있으며, 설화에 대한 자발적 접근 및 의미의 해석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연구는 설화 교육의 범위와 지평을 확장할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국내의 설화로 서사의 체계를 그리는시발적 지점을 마련하였다는 것에 논의의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헌선, "한국의 창세신화" 길벗 1994

      2 조희웅, "한국설화의 유형" 일조각 1983

      3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신앙사전(마을신앙)" 국립민속박물관 2010

      4 박종성, "한국 창세서사시 연구" 태학사 1999

      5 서대석, "한국 신화와 민담의 세계관 연구" 국어국문학회 101 : 5-26, 1989

      6 최래옥, "한국 구비전설의 연구 : 변이와 분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1

      7 강등학, "한국 구비문학의 이해" 월인 2000

      8 이홍우, "지식의 구조" 교육과학사 1988

      9 박종성, "중ㆍ동부 유럽과 한국의 창세신화 그리고 변주" 비교민속학회 (35) : 541-572, 2008

      10 정운채,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의 문항설정"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7) : 125-160, 2009

      1 김헌선, "한국의 창세신화" 길벗 1994

      2 조희웅, "한국설화의 유형" 일조각 1983

      3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신앙사전(마을신앙)" 국립민속박물관 2010

      4 박종성, "한국 창세서사시 연구" 태학사 1999

      5 서대석, "한국 신화와 민담의 세계관 연구" 국어국문학회 101 : 5-26, 1989

      6 최래옥, "한국 구비전설의 연구 : 변이와 분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1

      7 강등학, "한국 구비문학의 이해" 월인 2000

      8 이홍우, "지식의 구조" 교육과학사 1988

      9 박종성, "중ㆍ동부 유럽과 한국의 창세신화 그리고 변주" 비교민속학회 (35) : 541-572, 2008

      10 정운채,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의 문항설정"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7) : 125-160, 2009

      11 Levi-Strauss, C., "신화학 1-2" 한길사 2006

      12 황윤정, "신화소 중심의 설화 이해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2017

      13 Eliade, M., "성과 속" 한길사 1998

      14 오세정, "설화교육 연구의 경향 검토와 방향 모색" 청람어문교육학회 (55) : 63-88, 2015

      15 일 연, "삼국유사 1" 도서출판 솔 2002

      16 조동일, "삼국시대 설화의 뜻풀이" 집문당 2004

      17 Beyer, B. K., "사회과 탐구논리" 교육과학사 1988

      18 Dundes, A., "북미 인디언 민담의 구조적 유형학"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17 : 1998

      19 최인자, "모티프 중심의 서사적 사고력 교육" 국어교육학회 (18) : 471-498, 2003

      20 Wiseman, B., "레비스트로스" 김영사 2008

      21 조현설, "동아시아의 돌 신화와 여신 서사의 변형 - 모석(母石)·기자석(祈子石)·망부석(望夫石)을 중심으로 -" 한국구비문학회 (36) : 119-150, 2013

      22 Eliade, M., "대장장이와 연금술사" 문학동네 1999

      23 Levi-Strauss, C., "구조인류학" 종로서적 1987

      24 전수연, "『삼국유사』 「연오랑세오녀」의 ‘도기야’" 열상고전연구회 (63) : 195-226, 2018

      25 조현설, "<해와 달이 된 오누이>형 민담의 창조신화적 성격 재론" 비교민속학회 (33) : 107-130, 2007

      26 이지영,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전승과 그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연구원 15 : 171-215, 2008

      27 서대석, "<일월노리푸념>의 신화적 성격" 한국구비문학회 (31) : 299-342, 2010

      28 정운채, "<여우구슬>과 <지네각시> 주변의 서사지도" 한국문학치료학회 13 : 327-362, 2009

      29 오세정, "<대홍수와 목도령>에 나타나는 창조신의 성격" 한국고전연구학회 12 : 271-303,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7-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Literature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1 1.085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