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학 교실에서 청소년시의 역할 연구 - 청소년을 ‘위한’ 시와 청소년‘의’ 시에서 나타나는 현실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 Adolescent Poetry and Inter-dialogue in Literature Classroo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963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reviews points of contact and gaps which appears between poem for adolescents and of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suggests extending the notion of critic so as to consider adolescents as critical subjects who evaluate the world on their own context and point of view. I am Red(Nan-Ppalgang), a book of poem for adolescents, and Teacher feels to cry again(Ul-Ppil), of adolescents show different realization to each other: the former, adolescents have something to do for their future and society; the latter, adolescents have little vitality to adventure the world and life. And learning activity about adolescent poetry, ‘Yellowish green yet (Ajikeun yeondu)’ in textbook leads learners to just be a listener in one-way-dialogue and the poem functions in transmitivity. Learners as adolescents should get a right to be a speaker in inter-dialogue for palpating literary solutions to various problems in our life and world and poem would function in productivity.
      번역하기

      This paper reviews points of contact and gaps which appears between poem for adolescents and of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suggests extending the notion of critic so as to consider adolescents as critical subjects who evaluate the world ...

      This paper reviews points of contact and gaps which appears between poem for adolescents and of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suggests extending the notion of critic so as to consider adolescents as critical subjects who evaluate the world on their own context and point of view. I am Red(Nan-Ppalgang), a book of poem for adolescents, and Teacher feels to cry again(Ul-Ppil), of adolescents show different realization to each other: the former, adolescents have something to do for their future and society; the latter, adolescents have little vitality to adventure the world and life. And learning activity about adolescent poetry, ‘Yellowish green yet (Ajikeun yeondu)’ in textbook leads learners to just be a listener in one-way-dialogue and the poem functions in transmitivity. Learners as adolescents should get a right to be a speaker in inter-dialogue for palpating literary solutions to various problems in our life and world and poem would function in productiv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을 ‘위한’ 시와 청소년‘의’ 시에 나타나는 접점과 간극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비평의 개념을 확장하여 청소년 또한 자신의 맥락 위에서 삶과 세계에 대한 비평 주체로 바라볼 것을 제안하였고, 『난 빨강』과 『울삘』에 나타난 현실 인식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서로 간에 놓여 있는 간극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동시에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 수록된 청소년시 <아직은 연두>에 대한 학습 활동이 문학 교실의 생산성보다는 전수성을 강화하는 기제로 작동할 수 있음을 살폈다. 본 연구는 이를 바탕으로 학교 문학 교실이 일방적 대화의 청자로 청소년을 호명하고 있다는 결론을 제시하였고 청소년들 또한 동등한 비평 주체로 자신이 바라보는 세계와 자신의 삶에 산재하는 다양한 문제들을 문학적으로 해결하는 권리를 가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청소년을 ‘위한’ 시와 청소년‘의’ 시에 나타나는 접점과 간극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비평의 개념을 확장하여 청소년 또한 자신의 맥락 위에서 삶과 세계에 대한 비...

      본 연구는 청소년을 ‘위한’ 시와 청소년‘의’ 시에 나타나는 접점과 간극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비평의 개념을 확장하여 청소년 또한 자신의 맥락 위에서 삶과 세계에 대한 비평 주체로 바라볼 것을 제안하였고, 『난 빨강』과 『울삘』에 나타난 현실 인식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서로 간에 놓여 있는 간극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동시에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 수록된 청소년시 <아직은 연두>에 대한 학습 활동이 문학 교실의 생산성보다는 전수성을 강화하는 기제로 작동할 수 있음을 살폈다. 본 연구는 이를 바탕으로 학교 문학 교실이 일방적 대화의 청자로 청소년을 호명하고 있다는 결론을 제시하였고 청소년들 또한 동등한 비평 주체로 자신이 바라보는 세계와 자신의 삶에 산재하는 다양한 문제들을 문학적으로 해결하는 권리를 가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연경, "현대시 정전 형성의 이론화 양상 연구" 고려대학교 2016

      2 김제곤, "해설 : 풋풋한 연두, 발랄한 빨강" 창비 2010

      3 오세영, "한국현대시사" 민음사 2007

      4 이승하, "한국 현대 시문학사" 소명출판 2005

      5 이은아, "한국 사회의 세대담론에 대한 비판적 연구 : '청년세대' 담론과 '멘토 열풍'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6 류덕제, "학습자 중심 문학교육의 이해" 보고사 2011

      7 內田樹, "푸코, 바르트, 레비스트로스, 라캉 쉽게 읽기" 갈라파고스 2010

      8 최혜경, "치유적 시 텍스트의 판독을 위한 정서적 상황 요건" 한국문학치료학회 19 : 75-111, 2011

      9 문신, "청소년시의 가능성 연구 ‒창작 미학을 중심으로" 국어문학회 69 (69): 159-186, 2018

      10 문신, "청소년담론의 시적 형상화 전략 — 발화 주체를 중심으로 —" 현대문학이론학회 (73) : 83-104, 2018

      1 오연경, "현대시 정전 형성의 이론화 양상 연구" 고려대학교 2016

      2 김제곤, "해설 : 풋풋한 연두, 발랄한 빨강" 창비 2010

      3 오세영, "한국현대시사" 민음사 2007

      4 이승하, "한국 현대 시문학사" 소명출판 2005

      5 이은아, "한국 사회의 세대담론에 대한 비판적 연구 : '청년세대' 담론과 '멘토 열풍'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6 류덕제, "학습자 중심 문학교육의 이해" 보고사 2011

      7 內田樹, "푸코, 바르트, 레비스트로스, 라캉 쉽게 읽기" 갈라파고스 2010

      8 최혜경, "치유적 시 텍스트의 판독을 위한 정서적 상황 요건" 한국문학치료학회 19 : 75-111, 2011

      9 문신, "청소년시의 가능성 연구 ‒창작 미학을 중심으로" 국어문학회 69 (69): 159-186, 2018

      10 문신, "청소년담론의 시적 형상화 전략 — 발화 주체를 중심으로 —" 현대문학이론학회 (73) : 83-104, 2018

      11 안선영, "청소년 아르바이트 실태조사 및 정책방안 연구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12 권유성, "청소년 시의 장르적 특성 연구-시적 화자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언어학회 (71) : 157-176, 2017

      13 김남희, "청소년 시에 나타난 심리적 문제와 문학교육의 방향 –학교 폭력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치료학회 42 : 267-295, 2017

      14 정용호, "청소년 시가 나아갈 방향성과 청소년 시집에 나타난 비판 의식 양상"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16) : 309-340, 2015

      15 김성진, "청소년 소설의 장르적 특징과 문학교육" 한국비평문학회 (39) : 60-83, 2011

      16 김중신, "청소년 문학의 재개념화를 위한 고찰" 한국문학교육학회 9 : 11-36, 2002

      17 선주원, "청소년 문학 텍스트 선정 요인 및원리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2) : 217-242, 2010

      18 김태철, "중학교 국어①" 비상교육 2013

      19 구영산, "시 감상에서 독자의 상상 작용 연구 : 정서 체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20 오연경, "새로 쓰는 현대시 교육론" 창비교육 257-276, 2015

      21 Lakoff, G., "삶으로서의 은유" 박이정 2006

      22 박성우, "사과가 필요해" 창비 2017

      23 김미혜, "비평을 통한 시 읽기 교육" 태학사 2009

      24 Freud, S., "문화에서의 불안" 지만지 2008

      25 김상욱, "문학 제재의 적합성과 문학교육의 방향" 우리말교육현장학회 10 (10): 9-33, 2016

      26 최미숙, "문학 교수⋅학습방법론" 삼지원 158-185, 1998

      27 홍준기, "라깡의 재탄생" 창비 15-141, 2002

      28 김성진, "노동문학의 역사적 변화와 문학교육" 한국문학교육학회 (53) : 39-75, 2016

      29 김상희, "내일도 담임은 울 삘이다: 공고 학생들이 쓴 시" 휴머니스트 2012

      30 박성우, "난 빨강" 창비 2010

      31 김제곤, "난 빨강" 창비 111-123, 2010

      32 Fromm E., "나는 왜 무기력을 되풀이하는가" 나무생각 2016

      33 김형효, "구조주의 사유체계와 사상 : 레비-스트로쓰, 라캉, 푸코, 알튀세르에 관한 연구" 인간사랑 2008

      34 Maturana, H. R., "구성주의" 까치 1995

      35 Bruner, J. S., "교육의 문화" 교육과학사 2005

      36 박종호, "고등학교 문학" 창비 2013

      37 뉴스투데이, "강이슬, 깍새 딸배 총잡이? 만연한 직업 비하 발언"

      38 김남희, "現代詩 수용에 관한 文化 記述的 연구 : 고등학생 독자를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7-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Literature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1 1.085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