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오연경, "현대시 정전 형성의 이론화 양상 연구" 고려대학교 2016
2 김제곤, "해설 : 풋풋한 연두, 발랄한 빨강" 창비 2010
3 오세영, "한국현대시사" 민음사 2007
4 이승하, "한국 현대 시문학사" 소명출판 2005
5 이은아, "한국 사회의 세대담론에 대한 비판적 연구 : '청년세대' 담론과 '멘토 열풍'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6 류덕제, "학습자 중심 문학교육의 이해" 보고사 2011
7 內田樹, "푸코, 바르트, 레비스트로스, 라캉 쉽게 읽기" 갈라파고스 2010
8 최혜경, "치유적 시 텍스트의 판독을 위한 정서적 상황 요건" 한국문학치료학회 19 : 75-111, 2011
9 문신, "청소년시의 가능성 연구 ‒창작 미학을 중심으로" 국어문학회 69 (69): 159-186, 2018
10 문신, "청소년담론의 시적 형상화 전략 — 발화 주체를 중심으로 —" 현대문학이론학회 (73) : 83-104, 2018
1 오연경, "현대시 정전 형성의 이론화 양상 연구" 고려대학교 2016
2 김제곤, "해설 : 풋풋한 연두, 발랄한 빨강" 창비 2010
3 오세영, "한국현대시사" 민음사 2007
4 이승하, "한국 현대 시문학사" 소명출판 2005
5 이은아, "한국 사회의 세대담론에 대한 비판적 연구 : '청년세대' 담론과 '멘토 열풍'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6 류덕제, "학습자 중심 문학교육의 이해" 보고사 2011
7 內田樹, "푸코, 바르트, 레비스트로스, 라캉 쉽게 읽기" 갈라파고스 2010
8 최혜경, "치유적 시 텍스트의 판독을 위한 정서적 상황 요건" 한국문학치료학회 19 : 75-111, 2011
9 문신, "청소년시의 가능성 연구 ‒창작 미학을 중심으로" 국어문학회 69 (69): 159-186, 2018
10 문신, "청소년담론의 시적 형상화 전략 — 발화 주체를 중심으로 —" 현대문학이론학회 (73) : 83-104, 2018
11 안선영, "청소년 아르바이트 실태조사 및 정책방안 연구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12 권유성, "청소년 시의 장르적 특성 연구-시적 화자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언어학회 (71) : 157-176, 2017
13 김남희, "청소년 시에 나타난 심리적 문제와 문학교육의 방향 –학교 폭력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치료학회 42 : 267-295, 2017
14 정용호, "청소년 시가 나아갈 방향성과 청소년 시집에 나타난 비판 의식 양상"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16) : 309-340, 2015
15 김성진, "청소년 소설의 장르적 특징과 문학교육" 한국비평문학회 (39) : 60-83, 2011
16 김중신, "청소년 문학의 재개념화를 위한 고찰" 한국문학교육학회 9 : 11-36, 2002
17 선주원, "청소년 문학 텍스트 선정 요인 및원리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2) : 217-242, 2010
18 김태철, "중학교 국어①" 비상교육 2013
19 구영산, "시 감상에서 독자의 상상 작용 연구 : 정서 체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20 오연경, "새로 쓰는 현대시 교육론" 창비교육 257-276, 2015
21 Lakoff, G., "삶으로서의 은유" 박이정 2006
22 박성우, "사과가 필요해" 창비 2017
23 김미혜, "비평을 통한 시 읽기 교육" 태학사 2009
24 Freud, S., "문화에서의 불안" 지만지 2008
25 김상욱, "문학 제재의 적합성과 문학교육의 방향" 우리말교육현장학회 10 (10): 9-33, 2016
26 최미숙, "문학 교수⋅학습방법론" 삼지원 158-185, 1998
27 홍준기, "라깡의 재탄생" 창비 15-141, 2002
28 김성진, "노동문학의 역사적 변화와 문학교육" 한국문학교육학회 (53) : 39-75, 2016
29 김상희, "내일도 담임은 울 삘이다: 공고 학생들이 쓴 시" 휴머니스트 2012
30 박성우, "난 빨강" 창비 2010
31 김제곤, "난 빨강" 창비 111-123, 2010
32 Fromm E., "나는 왜 무기력을 되풀이하는가" 나무생각 2016
33 김형효, "구조주의 사유체계와 사상 : 레비-스트로쓰, 라캉, 푸코, 알튀세르에 관한 연구" 인간사랑 2008
34 Maturana, H. R., "구성주의" 까치 1995
35 Bruner, J. S., "교육의 문화" 교육과학사 2005
36 박종호, "고등학교 문학" 창비 2013
37 뉴스투데이, "강이슬, 깍새 딸배 총잡이? 만연한 직업 비하 발언"
38 김남희, "現代詩 수용에 관한 文化 記述的 연구 : 고등학생 독자를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