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西學 번역 시스템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19세기 후반 중국에서의 근대 초기 西學 번역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근대 번역’과 근대 담론의 원형 및 ‘근대 언어 공간’이 형성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804597
2005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西學 번역 시스템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19세기 후반 중국에서의 근대 초기 西學 번역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근대 번역’과 근대 담론의 원형 및 ‘근대 언어 공간’이 형성되...
본 논문은 西學 번역 시스템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19세기 후반 중국에서의 근대 초기 西學 번역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근대 번역’과 근대 담론의 원형 및 ‘근대 언어 공간’이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특히 2차 아편전쟁 직후 淸 왕조에 의해 설립된 관립 번역 교육 기구인 同文館과 당시의 대표적인 西學書 가운데 하나인 『萬國公法』의 번역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중·서 간의 언어·문화적 갈등과 근대적 헤게모니의 형성 과정을 고찰해보았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제 1장에서는 19세기 후반, 근대 초기 중국에서의 西學 번역에 대한 재조명의 필요성을 되짚어보고, 이를 분석하기 위한 가설적 전제 및 방법론에 대한 모색을 진행하였다. 근대 초기 인 19세기 중엽부터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던 西學 번역을 총체적으로 바라보기 위하여, “언어 공간”이라는 개념과 함께 양가론적 시각과 혼종화라는 가설적 개념을 통해, 당시 西學 번역 속에 내재해있던 서구라는 언어·문화적 헤게모니 중심을 향한 구심력과 이에 대하여 서구라는 헤게모니 중심으로부터 이탈하고 미끄러지는 원심력 사이의 갈등과 모순을 분석할 것임을 제시하였다.
제 2장에서는 19세기 중엽 이전까지의 전근대 언어 공간에 있어서 번역에 관하여 살펴보고, 19세기 전반기 동안의 서양인 신교 선교사들에 의해 산발적으로 진행되었던 근대 번역 프로토콜의 형성을 위한 사전 준비 과정을 고찰해보았다. 전근대 언어 공간 속에서 경전언어는 각 민족의 구어, 혹은 지방어를 초월하는 메타언어이자 보편언어로서 역할 하였으며, 상대적으로 각 민족의 문자 간의 번역은 부차적인 의미를 지닌 것이었다 할 수 있다.
제 3장에서는 19세기 중엽 2차 아편전쟁 시기에 天津條約을 맺게 된 이후로 점차 나타나게 되는 전근대적 번역으로부터 ‘근대적 번역’으로의 이행 과정을 번역 시스템과 프로토콜이라는 근대적 헤게모니 기제의 형성과정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중국의 언어·문화적 헤게모니가 天津條約을 계기로 점차 상실되면서, 서구로 그 주도권이 넘어가게 된다. 淸 왕조에 의한 관립 번역 교육 기구의 설립과 西學의 번역에 대한 지배계층의 인식의 변화 역시 이 같은 변화의 연장선 위에 있으며, 이는 墨海書館이나 廣學會와 같은 민간 서양인 선교사들의 활동과 함께 19세기 후반의 西學 번역 활성화와 번역 시스템 및 프로토콜의 형성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西學 번역을 통해 번역어가 새롭게 만들어지거나 기존 어휘에 의미 변화가 일어나게 되면서 기존의 언어 체계와 담론 질서에 균열이 일어나게 되고, 점차 서구의 언어·담론이 헤게모니를 장악하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근대 번역은 근대 담론의 헤게모니 기제로서 새롭게 ‘발견’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제 4장에서는 선교사이자 외교관, 그리고 同文館 敎習으로서 활동하였던 미국인 선교사 윌리엄 마틴(William A.P. Martin)에 의해 번역된 『萬國公法』이라는 번역 텍스트의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그 안에 내재된 서구 담론의 헤게모니 형성과 전통 담론과의 혼종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유럽 중심주의와 오리엔탈리즘의 산물이라 할 수 있는 서구의 근대 국제법 질서 담론이 『萬國公法』의 번역에 의해 동아시아의 전통적 질서 담론을 대체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萬國公法』의 번역 과정과 그 속에서 새롭게 만들어지거나 새로운 의미를 부여받게 된 번역어들을 통해서 서구 담론의 유입 및 헤게모니 획득의 과정과 함께, 전통적인 번역 방식과 기존 어휘를 활용한 번역어들 속에서 일어나게 되는 전통 담론에 의한 혼종화 과정 역시 살펴보았다.
제 5장에서는 앞서 진행되었던 논의들을 정리하면서 19세기 西學 번역이 보여준 양가적 의미를 재평가해보고, 구심력과 원심력이 동시에 작용하는 담론 기제로서의 번역이 지니고 있는 탈근대적 전망과 가능성에 관하여 논해보았다. 언어의 끊임없는 변화 및 언어·문화적 역관계의 변화와 함께, 번역 역시 끊임없이 변화하며, 번역 텍스트가 지니는 시대적 의미 또한 변화할 수밖에 없다. 언어 헤게모니를 관철시키기 위한 기제이면서, 또한 그 헤게모니 질서로부터 끊임없이 미끄러지고 이탈하는 수단으로서의 의미를 동시에 지니고 있는 번역은 이질적 타자를 배제하고 차이를 이분법적으로 고착시키고 경계화하고 본질주의화하는 근대 서구의 언어·담론 질서를 넘어설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互藏其宅’이라는 周易적 개념은 번역의 탈근대적 의미를 정확히 표현할 수 있는 개념이라 할 것이다.
국문 초록 (Abstract)
연세대학교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윤영도의 박사학위논문임.
연세대학교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윤영도의 박사학위논문임.
국문 초록 (Abstract)
제1장 서론 1. 문제의식 및 방법론 (1) 근대라는 시공간에 대한 근본적 성찰 (2) '근대 낯설게 보기'를 위한 몇 가지 전제 2. 연구 대상 및 범위 (1) 동아시아 언어 공간과 중국 (2) 19...
제1장 서론
1. 문제의식 및 방법론
(1) 근대라는 시공간에 대한 근본적 성찰
(2) '근대 낯설게 보기'를 위한 몇 가지 전제
2. 연구 대상 및 범위
(1) 동아시아 언어 공간과 중국
(2) 19세기 중엽의 근대 초기라는 시공간
(3) '夷學', '西學', 그리고 '新學'
(4) 『萬國公法』의 담론사적 의미
3. 기존 연구 동향 및 연구 방향
제2장 전근대 언어 공간의 균열
1. 전근대 언어 공간에서의 번역
(1) 바벨과 蒼頡 : 두 이질적 언어 공간의 원형
(2) '譯'의 기원
(3) '西域'으로부터 온 텍스트들과 '飜譯'이라는 개념의 기원
(4) '西洋'으로부터 온 텍스트들과 西學 번역의 시초
2. 19세기 전반기의 서구에 의한 표준 프로토콜의 준비
(1) 언어,문화적 접촉 기회의 확대
(2) 서구에서의 Sinology(중국학) 형성
(3) 신교 선교사들에 의한 번역 프로토콜의 개별적 준비 단계
(4) 서구 언어와의 이중어 사전과 프로토콜
3. 소결
제3장 언어,문화적 역관계의 변화와 번역의 '발견'
1. 역관계의 전도와 번역의 시스템 형성
(1) 관립 번역 교육 기구 - 同文館
(2) 관립 전문 번역 기구 - 江南製造局 飜譯館
(3) 민간 선교단체에 의한 근대적 번역 보급 시스템의 초기 형성
2. 근대 번역의 '발견'과 근대적 지식,담론의 유통
(1) 근대 초기의 번역 성과와 근대 담론의 초기 형성
(2) 번역어의 가설적 등가화
(3) 번역과 표상 담론의 재배치 - 세계 표상에 관하여
3. 소결
제4장 『萬國公法』 - 통약 불가능성과 번역 가능성의 사이
1. 두 개의 이질적 '표상 공간'과 통약 불가능성
(1) 중국의 전근대적 '표상 공간'과 관계론적 질서 담론
(2) Elements of International Law를 통해 본 근대 서구의 국제법 담론
2. Elements of International Law에서 『萬國公法』으로
(1)『萬國公法』이 나오기까지
(2) 『萬國公法』 번역의 형식상의 특징들
3. 『萬國公法』의 번역과 그 양가적 의미 - 종속화와 혼종화
(1) 서구 근대 국제법 유통의 산물로서의 『萬國公法』
(2) 전통적 세계 표상과 서구 근대 국제법 질서 표상의 혼종화
(3) 근대 번역어에 내재된 혼종성
4. '萬國公法'에서 '國際法'으로 - 일본으로의 여행
(1)『萬國公法』유입의 前史
(2) 西學의 유입의 이중 참조체계
(3) 일본식 漢字 번역어의 동아시아에서의 헤게모니 형성
5. 소결
제5장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