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태흠, "훈민시조 연구" 부산대 1989
2 박철희, "한국시사연구" 일조각 1980
3 나정순, "시조장르의 시대적 변모와 그 의미" 이화여대 1988
4 김대행, "시조 유형론" 이화여대대학교출판부 1986
5 김대행, "시가 시학 연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91
6 신은경, "사설시조의 시학적 연구" 개문사 1995
7 Frye, N., "비평의 해부" 한길사 1982
8 최미정, "고려속요의 수용사적 연구" 서울대 1990
9 노창수, "韓國 現代時調의 話者 硏究" 조선대 1993
10 김준오, "詩論" 三知院 1991
1 조태흠, "훈민시조 연구" 부산대 1989
2 박철희, "한국시사연구" 일조각 1980
3 나정순, "시조장르의 시대적 변모와 그 의미" 이화여대 1988
4 김대행, "시조 유형론" 이화여대대학교출판부 1986
5 김대행, "시가 시학 연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91
6 신은경, "사설시조의 시학적 연구" 개문사 1995
7 Frye, N., "비평의 해부" 한길사 1982
8 최미정, "고려속요의 수용사적 연구" 서울대 1990
9 노창수, "韓國 現代時調의 話者 硏究" 조선대 1993
10 김준오, "詩論" 三知院 1991
11 S. Chatman, "Story And Discourse" Cornell Univ. Press 1978
12 Beaugrande, "Introduction to Text Linguistics" Longman 1981
13 Hernadi,Paul, "Beyond Genre; New Directions in Literary Classification" Ithaca and?London: Cornell Univ. Press 1972
14 이상원, "17세기 시조사의 구도" 월인 2000
15 신영명, "16세기 강호시조의 연구" 고려대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