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세철학의 '생명의 원리로서의 영혼'과 '정신적 실재개념' 그리고 근·현대철학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916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세철학의 ‘생명의 원리로서의 영혼의 개념’에 관한 사유와 이 사유가 근, 현대철학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1년차 연구의 내용은 전체 연구의 문제제기에 관한 연구로서 근대 과학적 인간관을 대표 할 수 있는 ‘실증주의’의 생명과 인간에 대한 유물론적인 사유를 ‘베르그송’의 사상을 통해 비판하며, 이로서 ‘생명’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중세의 영혼개념이 요청됨을 논증하는 것이다. 생명과 영혼에 관한 실증주의의 사유는 ‘진화론에 기초한 출발점’을 가지며, ‘형이상학적 사유를 거부’하고, 영혼의 개념을 ‘두뇌기능의 종합적 도식’으로 대치하고 있다. 그러나 베르그송에 있어서 생명현상의 특징은 ‘비-질료적인 것에서 점차 질료화의 과정’으로 이해되며, ‘생명의 근원적인 도약’은 질료성에 대한 정신적 행위의 우위성을 보여주고 있다. 영혼이란 근본적으로 정신적 활동과 삶을 의미하며, 여기서 ‘뇌 기능’이란 단순히 실재(세계)와 정신을 연결해주는 계기에 불과하다. 베르그송은 형이상학적 차원과 과학적 차원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보다 합리적인 생명과 인간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그의 ‘생명’ ‘비 질료적인 것’ ‘영혼’ ‘정신’ 등의 용어가 가지는 모호성은 중세의 생명의 원리로서 그리고 정신적인 실재로서의 영혼의 개념에 대한 분석을 요청하고 있다.
      제 2년차 연구에서는 ‘아우구스티누스’와 ‘토마스 아퀴나스’의 사유를 주된 근거로 하여 중세의 연혼의 개념에 대해서 논하고 있다. ‘영혼의 개념’이 ‘생명’에 대한 형이상학적 사유를 전개함에 있어서 필연적으로 요청되어질 수밖에 없는 것임을 밝히고, ‘생명의 원리로서의 영혼의 개념’이 가진 의미에 대해 ‘생명의 유기체적인 통일성의 원리’와 ‘생명의 위계에 대한 가능근거’를 통해 조명하며, ‘영혼이 자아(의식)의 형성 원리’라는 측면에서 영혼의 본질적인 기능 혹은 역할 등에 대해서 사유 주체로서의 정신임과 지성적 행위를 통해서 존재론적인 자기동일성 (정신적 실존, 자아의 내용)을 지닌 실재임을 밝히고 있다. 이를 통해 ‘내면성’과 ‘정신성’에 대한 철학적인 개념을 확보함으로 ‘자아’라는 근·현대적인 개념이 중세의 ‘정신적인 실재’로서의 영혼개념에 그 근원을 두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제 3년차 연구에서는 중세의 사상이 근, 현대철학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 연구되고 있는데, 우선 아퀴나스에게 있어서 ‘인간의 자기 동일성’에 대한 질문을 ‘지성의 자기 인식’이라는 차원에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인간의 지성’이 단순히 사유하는 기능이 아닌 ‘존재를 가진 실재’라는 것을 증명함과 동시에 아퀴나스에 있어서 서로 대립하던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과 아우구스티누스의 관점이 통합적으로 수렴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즉 영혼은 오직 이해하는 지적인 행위에 대한 통찰을 통해서만 자기를 인식한다는 관점과 이와 반대로 영혼은 자기 자신에게 현존함으로서 자신의 본질을 통해서 직접 자신을 인식한다는 관점을 지성의 ‘현실적인 앎’과 ‘습관적인 앎’의 구분을 통해 모두 수용하며, 영혼의 심오한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아퀴나스는 전자의 앎의 방식을 ‘자연적인 것’으로 그리고 후자의 경우를 ‘예외적인 자연적인 것(혹은 초자연적인 것)’으로 고려하고 있다. 이러한 토마스의 사유는
      번역하기

      본 연구는 중세철학의 ‘생명의 원리로서의 영혼의 개념’에 관한 사유와 이 사유가 근, 현대철학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1년차 연구의 내용은 전체 연구의 문제제기에 관한 연구로...

      본 연구는 중세철학의 ‘생명의 원리로서의 영혼의 개념’에 관한 사유와 이 사유가 근, 현대철학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1년차 연구의 내용은 전체 연구의 문제제기에 관한 연구로서 근대 과학적 인간관을 대표 할 수 있는 ‘실증주의’의 생명과 인간에 대한 유물론적인 사유를 ‘베르그송’의 사상을 통해 비판하며, 이로서 ‘생명’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중세의 영혼개념이 요청됨을 논증하는 것이다. 생명과 영혼에 관한 실증주의의 사유는 ‘진화론에 기초한 출발점’을 가지며, ‘형이상학적 사유를 거부’하고, 영혼의 개념을 ‘두뇌기능의 종합적 도식’으로 대치하고 있다. 그러나 베르그송에 있어서 생명현상의 특징은 ‘비-질료적인 것에서 점차 질료화의 과정’으로 이해되며, ‘생명의 근원적인 도약’은 질료성에 대한 정신적 행위의 우위성을 보여주고 있다. 영혼이란 근본적으로 정신적 활동과 삶을 의미하며, 여기서 ‘뇌 기능’이란 단순히 실재(세계)와 정신을 연결해주는 계기에 불과하다. 베르그송은 형이상학적 차원과 과학적 차원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보다 합리적인 생명과 인간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그의 ‘생명’ ‘비 질료적인 것’ ‘영혼’ ‘정신’ 등의 용어가 가지는 모호성은 중세의 생명의 원리로서 그리고 정신적인 실재로서의 영혼의 개념에 대한 분석을 요청하고 있다.
      제 2년차 연구에서는 ‘아우구스티누스’와 ‘토마스 아퀴나스’의 사유를 주된 근거로 하여 중세의 연혼의 개념에 대해서 논하고 있다. ‘영혼의 개념’이 ‘생명’에 대한 형이상학적 사유를 전개함에 있어서 필연적으로 요청되어질 수밖에 없는 것임을 밝히고, ‘생명의 원리로서의 영혼의 개념’이 가진 의미에 대해 ‘생명의 유기체적인 통일성의 원리’와 ‘생명의 위계에 대한 가능근거’를 통해 조명하며, ‘영혼이 자아(의식)의 형성 원리’라는 측면에서 영혼의 본질적인 기능 혹은 역할 등에 대해서 사유 주체로서의 정신임과 지성적 행위를 통해서 존재론적인 자기동일성 (정신적 실존, 자아의 내용)을 지닌 실재임을 밝히고 있다. 이를 통해 ‘내면성’과 ‘정신성’에 대한 철학적인 개념을 확보함으로 ‘자아’라는 근·현대적인 개념이 중세의 ‘정신적인 실재’로서의 영혼개념에 그 근원을 두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제 3년차 연구에서는 중세의 사상이 근, 현대철학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 연구되고 있는데, 우선 아퀴나스에게 있어서 ‘인간의 자기 동일성’에 대한 질문을 ‘지성의 자기 인식’이라는 차원에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인간의 지성’이 단순히 사유하는 기능이 아닌 ‘존재를 가진 실재’라는 것을 증명함과 동시에 아퀴나스에 있어서 서로 대립하던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과 아우구스티누스의 관점이 통합적으로 수렴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즉 영혼은 오직 이해하는 지적인 행위에 대한 통찰을 통해서만 자기를 인식한다는 관점과 이와 반대로 영혼은 자기 자신에게 현존함으로서 자신의 본질을 통해서 직접 자신을 인식한다는 관점을 지성의 ‘현실적인 앎’과 ‘습관적인 앎’의 구분을 통해 모두 수용하며, 영혼의 심오한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아퀴나스는 전자의 앎의 방식을 ‘자연적인 것’으로 그리고 후자의 경우를 ‘예외적인 자연적인 것(혹은 초자연적인 것)’으로 고려하고 있다. 이러한 토마스의 사유는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otre recherche est une recherche pour savoir la notion de l'ame en tant que principe de la vie dans la philosophie medievale et son implurance sur la philosophie moderne. Dans le permier recherche nous cirtiquons le point de vue de Comte sur la vie et sur l'ame par le pensee de Bergson, et de la manifeste que la comprehention exacte sur la vie exige la notion de l'ame en tant que principe de la vie chez les philosophes au moyen age. La pensee du positivisme sur la vie et sur l'ame a un point de vue base sur l'evolutionisme et refuse la pensee metaphysique, en plus elle considere la notion de l'ame comme tableaux systematique du cerveaux. Mais chez Bergson le caractere du phenomene de la vie manifeste comme ‘processue du non-materiel vers le materiel'. Et 'l'elan fondamentale de la vie nous montre la superiorite de l'acte spiritule par rapport a la materialite. L'ame signifie en principe l'acte spirituel et la vie meme, et la fonction du cerveaux en est spimplement le motif qui lie entre la realite(le monde) et l'esprit. La pensee de Bergson nous donne une explication plus complete qui permet en meme temps le point de vue metaphysique et scientifique dans la consideration de la notion de la vie de l'ame. Pourtant l'ambigute de ses notions comme 'vie’ ‘non-materiel' ’ame' 'esprit' exige une recherche sur la notion de la philosophie medievale de l'ame comme principe de la vie. Dans le deuxieme, notre recherche argumente sur l'ame ayant les elements chez Augustin et chez Thomas d'Aquin. D'abord notre recherche eclaire la verite que la notion de l'ame est necessaire dans la consideration de la vie au niveau de la metaphysique. Puis, eclaire aussi par la signification du principe de la vie l'unite substantielle de la vie et l'hierarche de la vie. Ensuite, eclaire la notion de l'ame comme le principe de la conscience de soi et la fonction essentielle de l'ame. En fin, notre recherche concluit que l'ame humaine est le sujet de la pensee et la realite qui a son contenu spirituel comme identite ontologique. par la notre recherche etblit la notion philosophique de l'interiorite et de la spiritualite qui est la source de la notion de la conscience de soi dans la philosophie moderne. Dans le troisieme, notre recherche etude l'inplurence de la philosophie medievale a la philosophie moderne. D'abord notre recherche analyse la question de l'identite de soi-meme au plan de la connaissance de soi de l'intellect chez Thomas d'Aquin. Puis, demontre que l'ame humaine n'est pas simplement une fonction de penser, mais une realite ayant son etre. Cela fait unifier les deux point de vue opposees celui d'Aristote et d'Augustin. La pensee de Thomas sur la realite de l'ame humaine se develloppe dans la philosophie moderne surtout chez les thomistes en la notion de 'l'interiorite', et cela signifie que les formes etablites par l'ame intellectuelle se converge a son acte d'exister(esse) et celle-ci manifeste la specialite de l'intellect humain comme ouverture de l'etre.
      번역하기

      Notre recherche est une recherche pour savoir la notion de l'ame en tant que principe de la vie dans la philosophie medievale et son implurance sur la philosophie moderne. Dans le permier recherche nous cirtiquons le point de vue de Comte sur la vie e...

      Notre recherche est une recherche pour savoir la notion de l'ame en tant que principe de la vie dans la philosophie medievale et son implurance sur la philosophie moderne. Dans le permier recherche nous cirtiquons le point de vue de Comte sur la vie et sur l'ame par le pensee de Bergson, et de la manifeste que la comprehention exacte sur la vie exige la notion de l'ame en tant que principe de la vie chez les philosophes au moyen age. La pensee du positivisme sur la vie et sur l'ame a un point de vue base sur l'evolutionisme et refuse la pensee metaphysique, en plus elle considere la notion de l'ame comme tableaux systematique du cerveaux. Mais chez Bergson le caractere du phenomene de la vie manifeste comme ‘processue du non-materiel vers le materiel'. Et 'l'elan fondamentale de la vie nous montre la superiorite de l'acte spiritule par rapport a la materialite. L'ame signifie en principe l'acte spirituel et la vie meme, et la fonction du cerveaux en est spimplement le motif qui lie entre la realite(le monde) et l'esprit. La pensee de Bergson nous donne une explication plus complete qui permet en meme temps le point de vue metaphysique et scientifique dans la consideration de la notion de la vie de l'ame. Pourtant l'ambigute de ses notions comme 'vie’ ‘non-materiel' ’ame' 'esprit' exige une recherche sur la notion de la philosophie medievale de l'ame comme principe de la vie. Dans le deuxieme, notre recherche argumente sur l'ame ayant les elements chez Augustin et chez Thomas d'Aquin. D'abord notre recherche eclaire la verite que la notion de l'ame est necessaire dans la consideration de la vie au niveau de la metaphysique. Puis, eclaire aussi par la signification du principe de la vie l'unite substantielle de la vie et l'hierarche de la vie. Ensuite, eclaire la notion de l'ame comme le principe de la conscience de soi et la fonction essentielle de l'ame. En fin, notre recherche concluit que l'ame humaine est le sujet de la pensee et la realite qui a son contenu spirituel comme identite ontologique. par la notre recherche etblit la notion philosophique de l'interiorite et de la spiritualite qui est la source de la notion de la conscience de soi dans la philosophie moderne. Dans le troisieme, notre recherche etude l'inplurence de la philosophie medievale a la philosophie moderne. D'abord notre recherche analyse la question de l'identite de soi-meme au plan de la connaissance de soi de l'intellect chez Thomas d'Aquin. Puis, demontre que l'ame humaine n'est pas simplement une fonction de penser, mais une realite ayant son etre. Cela fait unifier les deux point de vue opposees celui d'Aristote et d'Augustin. La pensee de Thomas sur la realite de l'ame humaine se develloppe dans la philosophie moderne surtout chez les thomistes en la notion de 'l'interiorite', et cela signifie que les formes etablites par l'ame intellectuelle se converge a son acte d'exister(esse) et celle-ci manifeste la specialite de l'intellect humain comme ouverture de l'etr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