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속리산 遊山詩에 나타난 속리산의 공간 인식 = Perception of the Space of Songnisan in Songnisan Yusansi(遊山詩)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318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ngnisan has been placed deeply in literature, not only as an object of humanistic sightseeing but also as a humanistically meaningful, valuable space. Songnisan Yusansi(遊山詩) was written earlier than Yusangi(遊山記), which is a prose about S...

      Songnisan has been placed deeply in literature, not only as an object of humanistic sightseeing but also as a humanistically meaningful, valuable space. Songnisan Yusansi(遊山詩) was written earlier than Yusangi(遊山記), which is a prose about Songnisan. Nonetheless, Songnisan Yusansi has not been noticed until now. Therefore, this thesis is the first organization of Yusansi and it makes Songnisan literature research balanced.
      This thesis studies sightseers' perception of the space of Songnisan and their consciousness, using Songnisan Yusansi written by Chae, Soo(蔡壽 1449~1515), Kim, Jeong(金淨 1486~1521), Seo, Kyong-deok(徐敬德 1489~1546), and Seong, Un(成運 1497~1579) during the early days of Joseon Dynasty. And it treats both Boeun and Songnisan as a whole one, because the name of 'Boeun' is sometimes regarded as a space category which represents 'songnisan.'In Songnisan Yusansi, Songnisan is regarded as the very space of unworldliness and seclusion by sightseers, so they feel the moment of enlightenment and pleasure there. For Chae, Soo and Seo, Kyong-deok, it is the best place for cleaning the secular things, thinking 'a secluded life as well as success in life,' and tasting spiritual freedom endlessly. Therefore, they face the cleanest and freshest spiritual moment at the very place, Songnisan.
      In addition, sightseers regard Songnisan as a kind of Utopia, or Arcadia, and they think of themselves as a god-like being. Kim, Jeong names Boeun territory including Songnisan 'arcadian land,' and often goes on a pleasure excursion. Seong, Un has lived in Songnisan for a long time and calls himself 'a god in the valley.' Like these, Songnisan is a kind of arcadian world for them, and they become free endlessly and feel self-satisfac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속리산은 인문적 산수감상을 가능하게 하는 대상이며 인문학적 의미와 가치를 지닌 공간으로 일찍이 문학 깊숙이 자리 잡았다. 속리산 유산시(遊山詩)는 속리산에 대한 산문 기록인 유산기(...

      속리산은 인문적 산수감상을 가능하게 하는 대상이며 인문학적 의미와 가치를 지닌 공간으로 일찍이 문학 깊숙이 자리 잡았다. 속리산 유산시(遊山詩)는 속리산에 대한 산문 기록인 유산기(遊山記)보다 좀 더 일찍 창작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속리산 유산시는 그동안 필자를 포함하여 그 누구도 주목하지 않았다. 그런 의미에서 이 글은 속리산 유산시에 대한 1차 정리이며, 속리산의 문학에 대한 연구를 균형 있게 할 필요가 있다는 필자의 평소 생각을 실행하는 셈이 된다.
      이 글은 조선전기에 속리산을 유람하고 시를 남긴 채수(蔡壽), 김정(金淨), 서경덕(徐敬德), 성운(成運) 등의 속리산 유산시를 통해 속리산에 대한 유람자들의 공간 인식과 아울러 그들의 의식세계를 살펴본 것이다. 속리산 유산시에서 속리산은 유람자들에게 脫俗⋅離俗의 공간으로 인식되며, 그곳에서 유람자들은 마음이 밝아지고 정신이 기뻐지는 창신(暢神)의 순간을 맛본다. 채수와 서경덕에게 있어 속리산은 세상 그물에서 벗어나 세속에 대한 생각을 깨끗이 씻어낼 수 있는 그런 공간, 출처행장(出處行藏)에 대한 생각을 담담하게 하며 물외의 세계에서 끝없이 정신적 자유를 맛볼 수 있는 그런 공간이다. 그리하여 그들은 정신이 한없이 맑고 상쾌한 순간을 만난다.
      한편 속리산은 유람자들에게 仙界⋅武陵의 공간으로 인식되며, 그곳에서 유람자들은 자신이 마치 신선인 듯한 의선(擬仙)의 기분에 사로잡힌다. 김정은 속리산을 포함한 보은 지역을 ‘선구(仙區)’로 구획하여 청유(淸遊)를 즐겼고, 성운은 오랜 세월 속리산에서 살며 자신을 ‘골짜기 속 신선’이라 하였다. 이처럼 이들에게 속리산은 선동(仙洞)이며 선계이다. 그리하여 그들은 의선의식 속에 한없이 자유롭고 자족한 상황이 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蔡壽, "懶齋集" 민족문화추진회

      2 "조선왕조실록"

      3 최석기, "전통 명승의 인문학적 의미"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센터 29 : 2008

      4 김용남, "옛 선비들의 속리산기행" 국학자료원 2009

      5 "국역 충암집 下" 충암 문간공 종중 1998

      6 趙璥, "荷棲集" 민족문화추진회

      7 徐敬德, "花潭集" 민족문화추진회

      8 成運, "大谷集" 민족문화추진회

      9 徐居正, "四佳詩集" 민족문화추진회

      10 金淨, "冲庵集" 민족문화추진회

      1 蔡壽, "懶齋集" 민족문화추진회

      2 "조선왕조실록"

      3 최석기, "전통 명승의 인문학적 의미"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센터 29 : 2008

      4 김용남, "옛 선비들의 속리산기행" 국학자료원 2009

      5 "국역 충암집 下" 충암 문간공 종중 1998

      6 趙璥, "荷棲集" 민족문화추진회

      7 徐敬德, "花潭集" 민족문화추진회

      8 成運, "大谷集" 민족문화추진회

      9 徐居正, "四佳詩集" 민족문화추진회

      10 金淨, "冲庵集" 민족문화추진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8 0.81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