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용수, "최대지방연소 운동강도의 결정 및 평가" 7 (7): 11-18, 1998
2 양정순, "초등학교 아동의 성별과 학년 및 체질량 지수에 따른 학생건강 체력평가"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 이용수, "일반 대학생과 지구성 훈련선수간의 최대지방연소 운동강도 비교" 39 (39): 467-475, 2000
4 추미애, "의학강좌/한국 소아청소년 비만과 대사 증후군" 대한의사협회 53 (53): 142-152, 2010
5 성순창, "유산소운동 트레이닝의 강도가 비만 중년여성의 신체구성, 과산화지질 및 항산화 효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50 (50): 551-561, 2011
6 문성일, "유산소성 운동의 강도가 초등학생의 체지방율 및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7 한상철, "운동유형이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 15 (15): 75-85, 2007
8 이준호, "운동유형과 성별이 비만초등학생의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51 (51): 453-461, 2012
9 이용수, "운동강도와 음식섭취가 운동 후 초과산소소비량에미치는 영향" 36 (36): 266-275, 1997
10 고성식, "운동강도와 식이요법이 신체구성과 안정시대사율 및 EPOC에 미치는 영향" 世宗大學校 大學院 1998
11 이연주, "운동강도에 따른 걷기운동이 비만 여중생의 신체조성, 체력 및 인슐린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2 엄우섭, "운동강도에 따른 12주간 유산소성 운동이 지질 과산화물(MDA)과 항산화 효소(SOD)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13 (13): 355-350, 2004
13 김병로, "운동강도별 혈중지질 및지단백 콜레스테롤의 변화" 38 (38): 322-330, 1999
14 강설중, "운동강도별 유산소 운동이 대사증후군 환자의 인슐린저항성, 레닌-안지오텐신 Ⅱ 및 C-반응성 단백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18 (18): 443-454, 2009
15 강설중, "운동강도별 유산소 운동이 대사증후군 환자의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9
16 성기운, "운동 강도의 차이가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의 구성성분 및 동맥경화지표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20 (20): 309-318, 2011
17 김강래, "운동 강도에 따른 복부비만 여성의 심폐체력과 맥파속도 및 Cystatin C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0
18 김홍인, "스트레칭운동과 유산소운동이 중년 여성의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13 (13): 211-219, 2004
19 박철호, "비만학생들의 운동후 회복시 초과 산소소비량 및 지속시간에 관한 연구" 17 : 129-140, 1999
20 박원일, "비만 아동의 단발성 유산소운동 시 혈압 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19 (19): 1103-1112, 2010
21 박상갑, "복합트레이닝이 후기고령여성의 자립활동체력과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 14 (14): 37-48, 2006
22 고성식, "복합운동 트레이닝 유형이 중년여성의 건강체력과 신체구성 및 대사증후군 지표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 17 (17): 89-97, 2009
23 신원, "복부비만 중년 여성의 운동 유형이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대한운동학회 14 (14): 71-80, 2012
24 전성숙, "범이론적 모형을 적용한 비만 청소년의 운동행위변화단계 연구"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2 (22): 103-115, 2005
25 김영설, "대사증후군의 관리" 대한비만학회 2005
26 이재현, "남자아동의 운동습관과 비만도가 심박수 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50 (50): 455-463, 2011
27 박수현, "규칙적인 운동을 통한 비만관련 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의 가능성 : 유산소성 운도[실은 운동]강도가 복부 비만, 인슐린 저항성 및 염증 반응의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8
28 장용우, "강도별 줄넘기 운동시 비만초등학생들의 체지방율, 산소운반계 및 혈청지질의 변화" 10 (10): 171-182, 2003
29 Caroll, S.,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and metabolic abnormalites? A review of the metabolic syndrome" 34 (34): 371-418, 2004
30 Dorien, P., "The effect of low-intensity exercise training on fat metabolism of obese women" 9 (9): 86-96, 2001
31 Heydari, M., "The effect of high-intensity intermittent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of overweight young males" 2012
32 Thompson, P. D., "The acute versus the chronic response to exercise" 33 (33): 438-445, 2001
33 Brooks, G. A., "Temperture, skeletel muscle mitocondrial functions, and oxygen debt" 220 (220): 1053-1059, 1971
34 World Health Organization, "Preventing chronic diseases: A vital investme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5
35 Sedlock, D. A., "Post-exercise energy expenditure after cycle ergometer and Tredmill exercise" 6 : 19-23, 1992
36 Wider, R. P., "Physical fitness assessment : An update" 16 (16): 193-402, 2006
37 Poest, C. A., "Physical activity pattern of preschool children" 4 : 367-376, 1989
38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1996
39 Calderon, S. K., "Obesityrelated cardiovascular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in adulthood" 357 (357): 2329-2337, 2005
40 Rahmouni, K., "Obesityassociated hypertension : New insights into mechanisms" 45 : 9-14, 2005
41 Davy, K. P., "Obesity and hypertension: two epidemics or one?" 286 : 803-813, 2004
42 Renman, C., "Mental health an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in adolescent obessity : A population-based case-control study" 88 (88): 998-1003, 1999
43 ACSM, "Guideline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William & wilkins 2006
44 Malina, R. M., "Growth, maturation, and physical activity" Human Kinetics 2004
45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recommendations on Physical Activity for Health"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46 Zimmet, P. Z., "Global and societal implications of the diabetes epidemic" 414 : 782-787, 2001
47 LeMura, L. M., "Factors that alter body fat, body mass, and fat-free mass in pediatric obesity" 34 (34): 487-496, 2002
48 Watts, K., "Exercise training in obese children and adolescents: Current concepts" 35 (35): 375-392, 2005
49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NCEP), "Executive Summary of the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NCEP)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Adults Treatment panel)" 285 (285): 2486-2497, 2011
50 Whelton, S. P., "Effect of aerobic exercise on blood pressure : A ma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136 (136): 493-503, 2002
51 Dwarakanathan, A., "Diabetes update" 38 (38): 20-30, 2006
52 Morrison, J. A., "Development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black and white adolescent girls : A longitudinal assessment" 116 : 1178-1182, 2005
53 Daniels, S. R., "Correlates of the hemodynamic determinants of blood pressure" 28 : 37-41, 1996
54 Kato, M., "Clinical impact of dyslipidemia for coronary plaque vulnerability in acute coronary syndrome without metabolic syndrome" 54 : 394-401, 2009
55 Schubert, C. M., "Additive utility of family history and waist circumference to body mass index in childhood for predicting metabolic syndrome in adulthood" 155 (155): 9-13, 2009
56 ACSM, "ACSM's Guideline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William & wilkins 2006
57 정선태, "8주간의 강도별 웨이트트레이닝이 비만고교생의 대사증후군 인자 개선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명과학회 19 (19): 492-501, 2009
58 질병관리본부, "2009 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3차년도" 질병관리본부 2009
59 정재선, "12주간 유산소 운동이 비만초등학생의 심혈관질환위험요인과 항산화체계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60 박상회, "12주 유산소운동 강도차이가 비만중년여성의 심폐지구력과 혈중지질,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61 박태곤, "12주 걷기운동이 비만여중생의 대사증후군 지표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4 (44): 507-516, 2005
62 김종원, "12주 걷기운동이 비만 여중생의 대사증후군 지표, 성장호르몬 및 IGF-I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 16 (16): 9-17, 2008
63 박수현, "12주 걷기 운동 프로그램의 운동강도가 비만여성의 신체조성, 복부지방, 심폐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16 (16): 1-10,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