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디자인요소-감성이미지-선호도와의 인과관계를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통해 추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감성 제품 디자인을 위해 실용적 제품과 쾌락적 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93129
-
2015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디자인요소-감성이미지-선호도와의 인과관계를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통해 추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감성 제품 디자인을 위해 실용적 제품과 쾌락적 제...
본 연구는 디자인요소-감성이미지-선호도와의 인과관계를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통해 추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감성 제품 디자인을 위해 실용적 제품과 쾌락적 제품의 제품 유형에 따라 어떠한 디자인 요소가 소비자들에게 특정한 감성이미지를 창출하고 이 감성이미지가 소비자 선호를 충족시키는지에 대한 인과관계를 비교 분석해보았다. 본 실증 연구를 위해, 실용적 제품의 대표제품으로는 소형 가전제품인 가습기를 선정하고, 쾌락적 제품의 대표제품으로는 향수병을 가지고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가습기라는 실용적 제품을 선택하는 소비자의 선호도는 거의 모든 디자인 요소에 영향을 받는 반면, 향수병이라는 쾌락적 제품을 선택하는 소비자의 선호도는 고급스러운 디자인에 끌리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추론은 실용적 제품 선택시 소비자는 종합적인 디자인 요소를 고려하여 선호도를 나타내는 반면, 향수병과 같은 쾌락적 제품을 선택할때 소비자는 쾌락적 제품이라는 특수성에 맞게 고급스러운 디자인에 많은 영향을 받는것으로 분석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figured 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duct designs factors-emotional images-product design preferences by path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s with a utilitarian product and a hedonic product and compared them. For the...
This research figured 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duct designs factors-emotional images-product design preferences by path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s with a utilitarian product and a hedonic product and compared them. For the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selected humidifiers as a utilitarian product and perfume bottles design as a hedonic product. In result, the consumer preference for a utilitarian product was influenced by almost design factors, whereas the consumer preference for a hedonic product was influenced by a luxurious design.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 that consumers consider overall design factors when they choose a utilitarian product, whereas consumers consider design factors which relate to luxurious e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