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통일과 지식인을 되돌아봐야하는 것은 다음의 두 가지 이유에서이다. 첫째, 오늘날 독일의 부정적 현실은 상당부분 통일공간에서 제기된 지식인들의 주장을 묵살한 결과라고 생각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독일통일과 지식인을 되돌아봐야하는 것은 다음의 두 가지 이유에서이다. 첫째, 오늘날 독일의 부정적 현실은 상당부분 통일공간에서 제기된 지식인들의 주장을 묵살한 결과라고 생각하...
독일통일과 지식인을 되돌아봐야하는 것은 다음의 두 가지 이유에서이다.
첫째, 오늘날 독일의 부정적 현실은 상당부분 통일공간에서 제기된 지식인들의 주장을 묵살한 결과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오늘의 문제들은 이미 통일을 전후한 시기에 수많은 지식인에 의해 예견되었고, 경고되었고, 대안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예견과 경고와 대안을 음미해보는 것은 오늘의 문제를 더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해결의 실마리를 찾는 데 많은 시사점을 준다.
둘째, 독일의 경험이 한국 지식인에게 주는 교훈 때문이다. 서독이 동독을 흡수해버리는 형태로 진행된 독일 통일이 오늘날 보여주는 문제들은 우리에게 `반면교사`로서 많은 깨달음을 줄 수 있다. 특히 독일 지식인들이 통일과정에서 보여준 이론과 실천의 행적은 우리에게 많은 생각거리를 줄 것이다. 지식인은 어떤 사회적 역할을 해야하는지, 통일에 대한 논의의 폭과 깊이는 어느 정도여야 하는지, 통일에 임하는 자세는 어떠해야 하는지 성찰해봄직하다.
독일의 진보적 지식인들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았는가. 동서독 지식인들의 통일에 대한 인식은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이는가. 지식인들이 소망한 이상사회의 모습은 어떤 것이었나. 통일과정에서 지식인들은 어떤 역할을 수행했는가. 동독혁명에서 지식인들은 왜 민중들로부터 이반(離反)되었는가. 통일 이후 지식인 세계에는 어떤 변화가 불어닥쳤는가. 이러한 물음에 답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기관, 제출일 미상. 통일과 문화:통일독일의 현실과 한반도;역사비평사;pp.156-206;2003
연구기관, 제출일 미상.
통일과 문화:통일독일의 현실과 한반도;역사비평사;pp.156-206;2003
국문 초록 (Abstract)
1. 통일독일의 현실 암울한 통일 10년 오스탈지아 현상 통일과 지식인 2. 동독혁명과 지식인 민주혁명에서 통일운동으로 지식인과 민중의 괴리 배반당한 혁명 3. 서독...
1. 통일독일의 현실
암울한 통일 10년
오스탈지아 현상
통일과 지식인
2. 동독혁명과 지식인
민주혁명에서 통일운동으로
지식인과 민중의 괴리
배반당한 혁명
3. 서독지식인의 반통일 논리
아우슈비츠론
국가연합제와 문화민족론
서독 지식인의 동독혁명관
권터 그라스의 경고
진보적 지식인의 통일현실 진단
4. 통일독일과 한국의 지식인
독일통일과 지식인 - 무엇이 남았는가
지식인 세계의 지각변동
독일통일의 교훈
낭만적 민족주의를 넘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