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연잎 분말을 첨가한 두부의 품질 특성 =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Curd Prepared with Lotus Leaf Powd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948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prepar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lotus leaf powder. The determined values for moisture, crude ash, carbohydrate,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in were 2.97%, 8.09%, 65.18%, 22.83%, and 0.93%, respectively. The yield rates of the tofu sampl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level of added lotus leaf powder;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pH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acidity. The L- and a-values of samples decreased as the amount of lotus leaf powder in the formulation increased, whereas the b value increased. Furthermore, hardness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level of lotus leaf powder increased. In terms of overall acceptability, the preferred tofu samples were the control and that containing 0.2% lotus leaf powder.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prepar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lotus leaf powder. The determined values for moisture, crude ash, carbohydrate,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in were 2.97%, 8.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prepar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lotus leaf powder. The determined values for moisture, crude ash, carbohydrate,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in were 2.97%, 8.09%, 65.18%, 22.83%, and 0.93%, respectively. The yield rates of the tofu sampl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level of added lotus leaf powder;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pH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acidity. The L- and a-values of samples decreased as the amount of lotus leaf powder in the formulation increased, whereas the b value increased. Furthermore, hardness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level of lotus leaf powder increased. In terms of overall acceptability, the preferred tofu samples were the control and that containing 0.2% lotus leaf powd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신호, "황금첨가 농도가 두부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458-463, 2007

      2 김미라, "허브를 첨가하여 제조한 두부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2 (22): 30-36, 2006

      3 김강성, "탈지 대두분을 이용하여 제조한 두부의 품질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한국식품영양학회 19 (19): 22-27, 2006

      4 안상희, "청국장 분말 첨가 두부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4 (24): 258-265, 2008

      5 박어진, "응고제에 따른 오징어 먹물 두부의 품질 특성"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1 (21): 653-660, 2006

      6 최선영, "오미자 추출물을 첨가한 두부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학회 21 (21): 43-50, 2008

      7 윤숙자, "연잎가루를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3 (23): 433-442, 2007

      8 이기영, "연잎 추출물의 항균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219-223, 2006

      9 이기영, "연잎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182-186, 2006

      10 박복희, "연잎 분말을 첨가한 죽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5 (25): 55-61, 2009

      1 이신호, "황금첨가 농도가 두부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458-463, 2007

      2 김미라, "허브를 첨가하여 제조한 두부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2 (22): 30-36, 2006

      3 김강성, "탈지 대두분을 이용하여 제조한 두부의 품질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한국식품영양학회 19 (19): 22-27, 2006

      4 안상희, "청국장 분말 첨가 두부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4 (24): 258-265, 2008

      5 박어진, "응고제에 따른 오징어 먹물 두부의 품질 특성"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1 (21): 653-660, 2006

      6 최선영, "오미자 추출물을 첨가한 두부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학회 21 (21): 43-50, 2008

      7 윤숙자, "연잎가루를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3 (23): 433-442, 2007

      8 이기영, "연잎 추출물의 항균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219-223, 2006

      9 이기영, "연잎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182-186, 2006

      10 박복희, "연잎 분말을 첨가한 죽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5 (25): 55-61, 2009

      11 신미경, "연잎 건분이 고지방식이를 먹인 흰쥐의 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1 (21): 202-208, 2006

      12 김지영, "석류 농축액 첨가 두부의 품질특성 및 저장성"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1 (21): 644-652, 2006

      13 김명환, "복분자 첨가두부의 품질특성과 저장성향상 연구" 한국산업식품공학회 11 (11): 167-174, 2007

      14 임정교, "바질 물추출물을 첨가한 두부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 (20): 144-150, 2004

      15 박복희, "노랑 파프리카즙 첨가가 두부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4 (24): 439-444, 2008

      16 민영희, "강황 첨가 두부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3 (23): 502-510, 2007

      17 김지영, "강황 두부 스테이크의 품질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8 (18): 345-352, 2008

      18 Choi HR, "Screening of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herbs" 15 (15): 123-131, 2003

      19 Lee YT,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soybean curd containing small black soybean" 24 (24): 14-22, 2007

      20 Jung GT, "Preparation and shelf-life of soybean curd coagulated by fruit juice of schianadra chinensis ruprecht (omija) and prunus mume (maesil)" 32 (32): 1087-1092, 2000

      21 AOAC,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5th ed"

      22 AOAC,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4th ed"

      23 Choi YO, "Effects of various concentration of natural materials on the manufacturing of soybean curd" 7 (7): 256-261, 2000

      24 Park CK, "Effects of coagulant concentration and phytic acid addition on the contents of Ca and P and rheological property of soybean curd" 26 (26): 355-358, 1994

      25 Kim KT, "A study of the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gingeng soybean curd prepared with various coagulants" 28 (28): 965-969,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2-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 0.8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9 1.461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