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신호, "황금첨가 농도가 두부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458-463, 2007
2 김미라, "허브를 첨가하여 제조한 두부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2 (22): 30-36, 2006
3 김강성, "탈지 대두분을 이용하여 제조한 두부의 품질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한국식품영양학회 19 (19): 22-27, 2006
4 안상희, "청국장 분말 첨가 두부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4 (24): 258-265, 2008
5 박어진, "응고제에 따른 오징어 먹물 두부의 품질 특성"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1 (21): 653-660, 2006
6 최선영, "오미자 추출물을 첨가한 두부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학회 21 (21): 43-50, 2008
7 윤숙자, "연잎가루를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3 (23): 433-442, 2007
8 이기영, "연잎 추출물의 항균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219-223, 2006
9 이기영, "연잎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182-186, 2006
10 박복희, "연잎 분말을 첨가한 죽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5 (25): 55-61, 2009
1 이신호, "황금첨가 농도가 두부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458-463, 2007
2 김미라, "허브를 첨가하여 제조한 두부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2 (22): 30-36, 2006
3 김강성, "탈지 대두분을 이용하여 제조한 두부의 품질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한국식품영양학회 19 (19): 22-27, 2006
4 안상희, "청국장 분말 첨가 두부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4 (24): 258-265, 2008
5 박어진, "응고제에 따른 오징어 먹물 두부의 품질 특성"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1 (21): 653-660, 2006
6 최선영, "오미자 추출물을 첨가한 두부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학회 21 (21): 43-50, 2008
7 윤숙자, "연잎가루를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3 (23): 433-442, 2007
8 이기영, "연잎 추출물의 항균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219-223, 2006
9 이기영, "연잎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182-186, 2006
10 박복희, "연잎 분말을 첨가한 죽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5 (25): 55-61, 2009
11 신미경, "연잎 건분이 고지방식이를 먹인 흰쥐의 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1 (21): 202-208, 2006
12 김지영, "석류 농축액 첨가 두부의 품질특성 및 저장성"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1 (21): 644-652, 2006
13 김명환, "복분자 첨가두부의 품질특성과 저장성향상 연구" 한국산업식품공학회 11 (11): 167-174, 2007
14 임정교, "바질 물추출물을 첨가한 두부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 (20): 144-150, 2004
15 박복희, "노랑 파프리카즙 첨가가 두부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4 (24): 439-444, 2008
16 민영희, "강황 첨가 두부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3 (23): 502-510, 2007
17 김지영, "강황 두부 스테이크의 품질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8 (18): 345-352, 2008
18 Choi HR, "Screening of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herbs" 15 (15): 123-131, 2003
19 Lee YT,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soybean curd containing small black soybean" 24 (24): 14-22, 2007
20 Jung GT, "Preparation and shelf-life of soybean curd coagulated by fruit juice of schianadra chinensis ruprecht (omija) and prunus mume (maesil)" 32 (32): 1087-1092, 2000
21 AOAC,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5th ed"
22 AOAC,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4th ed"
23 Choi YO, "Effects of various concentration of natural materials on the manufacturing of soybean curd" 7 (7): 256-261, 2000
24 Park CK, "Effects of coagulant concentration and phytic acid addition on the contents of Ca and P and rheological property of soybean curd" 26 (26): 355-358, 1994
25 Kim KT, "A study of the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gingeng soybean curd prepared with various coagulants" 28 (28): 965-969,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