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성인 남·여 근육량의 특징 = Age- and Gender-related Differences of Muscle Mass in Kore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920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근육에 대한 노화의 영향 및 운동의 효과를 포함한 많은 역학적․임상적 연구 및 임상관리프로그램에서 신체구성 변인 특히 근육량 평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늘어나고 있다. 이 연구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이중에너지 X-선 흡수법(DXA법)을 이용하여 추정한 근육량을 연령증가와 성별에따른 부위별 특징을 자세하게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20세 이상 한국인을 대상으로 DXA법을 이용하여 추정한 5,781명(남자: 2,512명, 여자: 3,269명)의 부위별 근육량(팔, 몸통, 다리 및 전신 근육량)을 성별 및 연령대별로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남자는 여자보다 근육량이 절대적(48.2 vs. 33.4 kg)·상대적(70.2 vs. 58.9%)으로 많았다(P < 0.001). 성차는 하지보다 상지가 컸다(P < 0.001). 남자는 30대부터, 여자는 40대부터 감소하였지만 현저한 감소는 50대까지 보이지 않았다.
      연령 증가에 따른 근육량 감소는 남자가 여자보다 컸고(P <0.001), 변화 형태는 성별로 부위마다 달랐다. 가장 감소가 큰부위는 다리였고, 남자는 20대 이후, 여자는 40대 이후부터 완만하게 감소하다가 남녀 모두 70대에 급격한 저하를 보였다.
      결론: 연령증가에 따른 근육량의 감소는 부위별 그리고 성별로 다른 변화를 보였고, 남녀 모두 70대부터 급격하게 감소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특히 다리 근육량의 감소를 예방또는 지연하기 위하여 운동트레이닝을 포함한 다양한 개입이필요하다. 이 자료에서 제시된 표준값은 노화 및 질환의 영향,그리고 운동트레이닝 효과와 인종 간의 차이를 평가하는데 비교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연구배경: 근육에 대한 노화의 영향 및 운동의 효과를 포함한 많은 역학적․임상적 연구 및 임상관리프로그램에서 신체구성 변인 특히 근육량 평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늘어나고 있다. ...

      연구배경: 근육에 대한 노화의 영향 및 운동의 효과를 포함한 많은 역학적․임상적 연구 및 임상관리프로그램에서 신체구성 변인 특히 근육량 평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늘어나고 있다. 이 연구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이중에너지 X-선 흡수법(DXA법)을 이용하여 추정한 근육량을 연령증가와 성별에따른 부위별 특징을 자세하게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20세 이상 한국인을 대상으로 DXA법을 이용하여 추정한 5,781명(남자: 2,512명, 여자: 3,269명)의 부위별 근육량(팔, 몸통, 다리 및 전신 근육량)을 성별 및 연령대별로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남자는 여자보다 근육량이 절대적(48.2 vs. 33.4 kg)·상대적(70.2 vs. 58.9%)으로 많았다(P < 0.001). 성차는 하지보다 상지가 컸다(P < 0.001). 남자는 30대부터, 여자는 40대부터 감소하였지만 현저한 감소는 50대까지 보이지 않았다.
      연령 증가에 따른 근육량 감소는 남자가 여자보다 컸고(P <0.001), 변화 형태는 성별로 부위마다 달랐다. 가장 감소가 큰부위는 다리였고, 남자는 20대 이후, 여자는 40대 이후부터 완만하게 감소하다가 남녀 모두 70대에 급격한 저하를 보였다.
      결론: 연령증가에 따른 근육량의 감소는 부위별 그리고 성별로 다른 변화를 보였고, 남녀 모두 70대부터 급격하게 감소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특히 다리 근육량의 감소를 예방또는 지연하기 위하여 운동트레이닝을 포함한 다양한 개입이필요하다. 이 자료에서 제시된 표준값은 노화 및 질환의 영향,그리고 운동트레이닝 효과와 인종 간의 차이를 평가하는데 비교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명기, "이중에너지 흡수계측법을 이용한 한국 성인의 성별, 연령별에 따른 근육량 및 근육 분포의 변화" 한국사회체육학회 22 (22): 357-368, 2004

      2 Glickman SG, "Validity and reliability of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for the assessment of abdominal adiposity" 97 : 509-514, 2004

      3 Pollock ML, "Twenty-year follow up of aerobic power and body composition of older track athletes" 82 : 1508-1516, 1997

      4 Tseng BS, "Strength and aerobic training attenuate muscle wasting and improve resistance to the development of disability with aging" 50 : 113-119, 1995

      5 Janssen I, "Skeletal muscle mass and distribution in 468 men and women aged 18–88 yr" 89 : 81-88, 2000

      6 Frontera WR, "Skeletal muscle fiber quality in older men and women" 279 : 611-618, 2000

      7 Janssen I, "Skeletal muscle cutpoints associated with elevated physical disability risk in older men and women" 159 : 413-421, 2004

      8 Hughes VA, "Singh MA. Longitudinal changes in body composition in older men and women: role of body weight change and physical activity" 76 : 473-481, 2002

      9 Gallagher D, "Sepúlveda D, Baumgartner RN, Pierson RN, et al.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effects of age, gender, and ethnicity" 83 : 229-239, 1997

      10 Roubenoff R, "Sarcopenia: current concepts" 55 : 716-724, 2000

      1 김명기, "이중에너지 흡수계측법을 이용한 한국 성인의 성별, 연령별에 따른 근육량 및 근육 분포의 변화" 한국사회체육학회 22 (22): 357-368, 2004

      2 Glickman SG, "Validity and reliability of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for the assessment of abdominal adiposity" 97 : 509-514, 2004

      3 Pollock ML, "Twenty-year follow up of aerobic power and body composition of older track athletes" 82 : 1508-1516, 1997

      4 Tseng BS, "Strength and aerobic training attenuate muscle wasting and improve resistance to the development of disability with aging" 50 : 113-119, 1995

      5 Janssen I, "Skeletal muscle mass and distribution in 468 men and women aged 18–88 yr" 89 : 81-88, 2000

      6 Frontera WR, "Skeletal muscle fiber quality in older men and women" 279 : 611-618, 2000

      7 Janssen I, "Skeletal muscle cutpoints associated with elevated physical disability risk in older men and women" 159 : 413-421, 2004

      8 Hughes VA, "Singh MA. Longitudinal changes in body composition in older men and women: role of body weight change and physical activity" 76 : 473-481, 2002

      9 Gallagher D, "Sepúlveda D, Baumgartner RN, Pierson RN, et al.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effects of age, gender, and ethnicity" 83 : 229-239, 1997

      10 Roubenoff R, "Sarcopenia: current concepts" 55 : 716-724, 2000

      11 Roubenoff R, "Sarcopenia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elderly" 54 (54): 40-47, 2000

      12 Ellis KJ, "Reference man and woman more fully characterized. variations on the basis of body size, age, sex, and race" 26 (26): 385-400, 1990

      13 Kim TN, "Prevalence of sarcopenia and sarcopenic obesity in Korean adults: the Korean sarcopenic obesity study" 33 : 885-892, 2009

      14 Iannuzzi-Sucich M, "Prevalence of sarcopenia and predictors of skeletal muscle mass in healthy, older men and women" 57 : 772-777, 2002

      15 Baumgartner RN, "Predictors of skeletal muscle mass in elderly men and women" 107 : 123-136, 1999

      16 Gallagher D, "Muscle distribution: variations with body weight gender and age" 49 : 733-734, 1998

      17 Salamone LM, "Measurement of fat mass using DEXA: a validation study in elderly adults" 89 : 345-352, 2000

      18 Janssen I, "Low relative skeletal muscle mass (sarcopenia) in older persons is associated with functional impairment and physical disability" 50 : 889-896, 2002

      19 Forbes GB, "Longitudinal changes in adult fat-free mass: influence of body weight" 70 : 1025-1031, 1999

      20 Fantin F, "Longitudinal body composition changes in old men and women: Interrelationships With Worsening Disability" 62 : 1375-1381, 2007

      21 Yamada Y, "Limb muscle mass decrease with aging in Japanese men and women aged 15-97 yr" 56 : 461-471, 2007

      2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SE V)(2010-1st year)"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23 Visser M, "High body fatness, but not low fat free mass, predicts disability in older men and women: the Cardiovascular Health Study" 68 : 584-590, 1998

      24 Seo A, "Estimation of trunk muscle parameters for a biomechanical model by age, height and weight" 45 : 197-201, 2003

      25 Baumgartner RN, "Epidemiology of sarcopenia among the elderly in New Mexico" 147 : 755-763, 1998

      26 Kyle UG, "Eight-year longitudinal changes in body composition in healthy Swiss adults" 25 : 493-501, 2006

      27 Ho KY, "Effects of sex and age on the 24-hour profile of growth hormone secretion in man: importance of endogenous estradiol concentrations" 64 : 51-58, 1987

      28 Hong SY, "Does Sarcopenic Obesity Affect Physical Function and Physical Fitness of Korean Older Women?" 30 : 831-842, 2010

      29 Lexell J, "Distribution of different fibre types in human skeletal muscles. Fibre type arrangement in m. vastus lateralis from three groups of healthy men between 15 and 83 years" 72 : 211-222, 1986

      30 Visser M, "Cauley JA, Newman AB, et al. One-and two-year change in body composition as measured by DXA in a population-based cohort of older men and women" 94 : 2368-2374, 2003

      31 Visser M, "Body fat and skeletal muscle mass in relation to physical disability in very old men and women of the Framingham Heart Study" 53 : 214-221, 1998

      32 Ellis KJ, "Body composition of a young, multiethnic, male population" 66 : 1323-1331, 1997

      33 Gallagher D,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effects of age, gender and ethnicity" 82 : 229-239, 1997

      34 Tanimoto Y, "Aging changes in muscle mass of Japanese" 47 : 52-57, 2010

      35 Kyle UG, "Age-related differences in fat-free mass, skeletal muscle, body cell mass and fat mass between 18 and 94 years" 55 : 663-672,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3-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비만학회지 -> Journal of Obesity & Metabolic Syndrome
      2017-03-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 Journal of Obesity & Metabolic Syndrome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7-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3 1.148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