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찰관의 보안유출범죄 실태분석 및 정책제언 - 경찰부패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 The Current Status of Security Leakage Crimes by Police Officers and Policy Recommendations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Police Corruption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39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security leakage crimes by police officers based on their relationship with police corruption,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present effective prevention measures based on the results. To achieve this goal, the court judgments of the security leakage cases over the past four years has been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has been found that cases of collusion or quid pro quo (such as bribery) with private companies account for approximately 80 percent of all security leaks by police officers. The security leaks, convicted in the first trial, occurred only in two areas: criminal investigation and public safety. More than half of the police officers who leaked security were working at the police st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policy alternatives were proposed: First, special security measures should be implemented for police officers working in criminal investigations and public safety departm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use the suspicion of security leaks as clues to investigations into police corruption. Finally, the Criminal Act needs to be amended to enable criminal punishment against citizens who participate in security leakage crim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security leakage crimes by police officers based on their relationship with police corruption,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present effective prevention measures based on the results. To achieve this go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security leakage crimes by police officers based on their relationship with police corruption,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present effective prevention measures based on the results. To achieve this goal, the court judgments of the security leakage cases over the past four years has been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has been found that cases of collusion or quid pro quo (such as bribery) with private companies account for approximately 80 percent of all security leaks by police officers. The security leaks, convicted in the first trial, occurred only in two areas: criminal investigation and public safety. More than half of the police officers who leaked security were working at the police st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policy alternatives were proposed: First, special security measures should be implemented for police officers working in criminal investigations and public safety departm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use the suspicion of security leaks as clues to investigations into police corruption. Finally, the Criminal Act needs to be amended to enable criminal punishment against citizens who participate in security leakage crim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상, "형법총론" 박영사 2019

      2 정동재, "정부부문 부패실태에 관한 연구" 1-22, 2017

      3 뉴스1, "유흥주점 업주 뇌물 받은 제주 경찰관 입건…직위 해제"

      4 조호대, "우리나라 경찰의 잠재청렴도 향상방안" 한국콘텐츠학회 9 (9): 268-275, 2009

      5 조윤오, "신임 경찰교육생의 청렴도 인식에 관한 연구- 시나리오 상황을 중심으로 -" 경찰학연구소 8 (8): 175-200, 2013

      6 "대법원 2011. 4. 28. 선고 2009도3642 판결"

      7 "대법원 2003. 6. 13. 선고 2003도1060 판결"

      8 "대법원 1981. 7. 28. 선고 81도1172 판결"

      9 신현기, "국가경찰공무원의 부패원인과 방지에 관한 연구" 1 (1): 212-234, 2004

      10 김종철, "관리적 보안 관점에서 경찰 내부정보 유출방지 연구" 한국경찰학회 20 (20): 91-130, 2018

      1 이재상, "형법총론" 박영사 2019

      2 정동재, "정부부문 부패실태에 관한 연구" 1-22, 2017

      3 뉴스1, "유흥주점 업주 뇌물 받은 제주 경찰관 입건…직위 해제"

      4 조호대, "우리나라 경찰의 잠재청렴도 향상방안" 한국콘텐츠학회 9 (9): 268-275, 2009

      5 조윤오, "신임 경찰교육생의 청렴도 인식에 관한 연구- 시나리오 상황을 중심으로 -" 경찰학연구소 8 (8): 175-200, 2013

      6 "대법원 2011. 4. 28. 선고 2009도3642 판결"

      7 "대법원 2003. 6. 13. 선고 2003도1060 판결"

      8 "대법원 1981. 7. 28. 선고 81도1172 판결"

      9 신현기, "국가경찰공무원의 부패원인과 방지에 관한 연구" 1 (1): 212-234, 2004

      10 김종철, "관리적 보안 관점에서 경찰 내부정보 유출방지 연구" 한국경찰학회 20 (20): 91-130, 2018

      11 이데일리, "공수처 ‘검사 합격자 명단’ 등 공문서 유출자는 파견 경찰"

      12 김민이, "공무상비밀누설죄와 편면적 대향범 - 대법원 2011. 4. 28. 선고 2009도3642 판결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13 (13): 831-855, 2012

      13 이장욱, "공무상 비밀누설에 대한 형사처분 동향과 그 함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경찰학회 23 (23): 285-310, 2021

      14 경상일보, "공무상 비밀누설 혐의로 울산경찰 간부 직위해제"

      15 세계일보, "공무상 비밀누설 45% 경찰이 저질렀다"

      16 김현숙, "경찰의 피의사실 공표" 한국경찰법학회 17 (17): 73-102, 2019

      17 김상운, "경찰의 부패실태와 원인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부패학회 17 (17): 93-112, 2012

      18 성용은, "경찰의 만성적 부패에 관한 연구" 한국중독범죄학회 8 (8): 73-98, 2018

      19 윤병훈, "경찰공무원의 업무특성과 문제행동에 대한 제재 인식간 관계" 한국범죄심리학회 11 (11): 123-144, 2015

      20 연합뉴스, "검찰, OOO 측에 수사자료 건넨 경찰관 구속기소"

      21 이황우, "각국의 경찰부패통제제도에 관한 비교 연구" 15 (15): 73-108, 2008

      22 Gardiner, J. A, "The politics of corruption: Organized crime in an American city" Russell Sage Foundation 1970

      23 Ward, R. H., "Police corruption: an overview" 48 (48): 52-54, 1975

      24 Punch, M., "Police corruption and its prevention" 8 (8): 301-324, 2000

      25 Ivkovic, S. K, "Fallen blue knights: Controlling police corrup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6 Stanford, A, "Copping Out: The Consequences of Police Corruption and Misconduct" ABC-CLIO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4 1.24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0.97 1.211 0.5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