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재상, "형법총론" 박영사 2019
2 정동재, "정부부문 부패실태에 관한 연구" 1-22, 2017
3 뉴스1, "유흥주점 업주 뇌물 받은 제주 경찰관 입건…직위 해제"
4 조호대, "우리나라 경찰의 잠재청렴도 향상방안" 한국콘텐츠학회 9 (9): 268-275, 2009
5 조윤오, "신임 경찰교육생의 청렴도 인식에 관한 연구- 시나리오 상황을 중심으로 -" 경찰학연구소 8 (8): 175-200, 2013
6 "대법원 2011. 4. 28. 선고 2009도3642 판결"
7 "대법원 2003. 6. 13. 선고 2003도1060 판결"
8 "대법원 1981. 7. 28. 선고 81도1172 판결"
9 신현기, "국가경찰공무원의 부패원인과 방지에 관한 연구" 1 (1): 212-234, 2004
10 김종철, "관리적 보안 관점에서 경찰 내부정보 유출방지 연구" 한국경찰학회 20 (20): 91-130, 2018
1 이재상, "형법총론" 박영사 2019
2 정동재, "정부부문 부패실태에 관한 연구" 1-22, 2017
3 뉴스1, "유흥주점 업주 뇌물 받은 제주 경찰관 입건…직위 해제"
4 조호대, "우리나라 경찰의 잠재청렴도 향상방안" 한국콘텐츠학회 9 (9): 268-275, 2009
5 조윤오, "신임 경찰교육생의 청렴도 인식에 관한 연구- 시나리오 상황을 중심으로 -" 경찰학연구소 8 (8): 175-200, 2013
6 "대법원 2011. 4. 28. 선고 2009도3642 판결"
7 "대법원 2003. 6. 13. 선고 2003도1060 판결"
8 "대법원 1981. 7. 28. 선고 81도1172 판결"
9 신현기, "국가경찰공무원의 부패원인과 방지에 관한 연구" 1 (1): 212-234, 2004
10 김종철, "관리적 보안 관점에서 경찰 내부정보 유출방지 연구" 한국경찰학회 20 (20): 91-130, 2018
11 이데일리, "공수처 ‘검사 합격자 명단’ 등 공문서 유출자는 파견 경찰"
12 김민이, "공무상비밀누설죄와 편면적 대향범 - 대법원 2011. 4. 28. 선고 2009도3642 판결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13 (13): 831-855, 2012
13 이장욱, "공무상 비밀누설에 대한 형사처분 동향과 그 함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경찰학회 23 (23): 285-310, 2021
14 경상일보, "공무상 비밀누설 혐의로 울산경찰 간부 직위해제"
15 세계일보, "공무상 비밀누설 45% 경찰이 저질렀다"
16 김현숙, "경찰의 피의사실 공표" 한국경찰법학회 17 (17): 73-102, 2019
17 김상운, "경찰의 부패실태와 원인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부패학회 17 (17): 93-112, 2012
18 성용은, "경찰의 만성적 부패에 관한 연구" 한국중독범죄학회 8 (8): 73-98, 2018
19 윤병훈, "경찰공무원의 업무특성과 문제행동에 대한 제재 인식간 관계" 한국범죄심리학회 11 (11): 123-144, 2015
20 연합뉴스, "검찰, OOO 측에 수사자료 건넨 경찰관 구속기소"
21 이황우, "각국의 경찰부패통제제도에 관한 비교 연구" 15 (15): 73-108, 2008
22 Gardiner, J. A, "The politics of corruption: Organized crime in an American city" Russell Sage Foundation 1970
23 Ward, R. H., "Police corruption: an overview" 48 (48): 52-54, 1975
24 Punch, M., "Police corruption and its prevention" 8 (8): 301-324, 2000
25 Ivkovic, S. K, "Fallen blue knights: Controlling police corrup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6 Stanford, A, "Copping Out: The Consequences of Police Corruption and Misconduct" ABC-CLIO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