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육군 안전 체감 척도 개발 기초연구 = Development of a Safety Sentiment Scale for Army soldi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317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arried out with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which will help obtain Safety Sentiment Index of army soldiers. The first part of this research paper deals with the safety sentiment factors and their causes derived from a survey conducted on 100 servicemen qualitatively. Meanwhile, the second portion of the paper seeks to develop a safety sentiment scale and verify its reliabilty and validity by conducting a survey on 450 servicemen of 5 units. As a result, it was proven that subordinate factors of safety sentiment consisted of ‘Safety will’, ‘Health’, ‘Mind’, and ‘Maintenance/Exercise’.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instrument of Safety Sentiment Index developed, Safety Sentiment Index of army soldiers was 71.27 out of 100, a relatively high level. Also, this study discussed the comments on this research and its restriction as well as the suggestion for further research.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arried out with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which will help obtain Safety Sentiment Index of army soldiers. The first part of this research paper deals with the safety sentiment factors and their causes derived from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arried out with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which will help obtain Safety Sentiment Index of army soldiers. The first part of this research paper deals with the safety sentiment factors and their causes derived from a survey conducted on 100 servicemen qualitatively. Meanwhile, the second portion of the paper seeks to develop a safety sentiment scale and verify its reliabilty and validity by conducting a survey on 450 servicemen of 5 units. As a result, it was proven that subordinate factors of safety sentiment consisted of ‘Safety will’, ‘Health’, ‘Mind’, and ‘Maintenance/Exercise’.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instrument of Safety Sentiment Index developed, Safety Sentiment Index of army soldiers was 71.27 out of 100, a relatively high level. Also, this study discussed the comments on this research and its restriction as well as the suggestion for further researc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육군 장병의 안전체감지수를 획득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1차 연구에서 100명의 장병들로부터 육군의 안전체감요인과 그 이유에 대한 탐색 연구를 수행하였고, 2차 연구에서는 5개 부대(사단, 군단) 장병 4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안전체감 척도 개발 및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육군 장병들의 안전체감을 구성하고 있는 하위요인들은 ‘안전 의지’, ‘건강’, ‘정신’, 그리고 ‘정비/운동’의 4가지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안전체감 측정 도구에 따르면 육군 장병들의 안전체감지수는 100점 만점에 71.27점으로 다소 높은 수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 후속 연구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육군 장병의 안전체감지수를 획득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1차 연구에서 100명의 장병들로부터 육군의 안전체감요인과 그 이유에 대한 탐색 연구를 ...

      본 연구는 육군 장병의 안전체감지수를 획득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1차 연구에서 100명의 장병들로부터 육군의 안전체감요인과 그 이유에 대한 탐색 연구를 수행하였고, 2차 연구에서는 5개 부대(사단, 군단) 장병 4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안전체감 척도 개발 및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육군 장병들의 안전체감을 구성하고 있는 하위요인들은 ‘안전 의지’, ‘건강’, ‘정신’, 그리고 ‘정비/운동’의 4가지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안전체감 측정 도구에 따르면 육군 장병들의 안전체감지수는 100점 만점에 71.27점으로 다소 높은 수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 후속 연구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소방방재청, "행동변화 모델 및 안전의식 지수 개발 연구 용역 보고서" 소방방재청 2007

      2 김의철, "청소년의 안전사고에 대한 표상과 안전효능감.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7 (7): 39-63, 2001

      3 육군본부, "장병 기본권 상담실 설치 및 운영 지침(육방침 ’05-8호)" 육군본부 2005

      4 육군수사단, "자살안전지표 매뉴얼 개발" 육군수사단 2008

      5 육군본부, "자살사고 예방활동 추진 지침" 육군본부 2007

      6 인사참모부, "자살사고 예방 TF 연구결과 보고" 인사참모부 2008

      7 육군본부, "육군정책보고서 제3장 주요 정책추진" 육군본부 2008

      8 최인철, "원자력에 대한 사회적 표상: 진단 및 대책" 한국원자력문화재단 2002

      9 최인철, "원자력 발전소 안전체감에 관한 연구: 안전체감지수 개발과 안전체감 수준"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13 (13): 1-21, 2007

      10 이강준, "여성주의 저널 일다"

      1 소방방재청, "행동변화 모델 및 안전의식 지수 개발 연구 용역 보고서" 소방방재청 2007

      2 김의철, "청소년의 안전사고에 대한 표상과 안전효능감.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7 (7): 39-63, 2001

      3 육군본부, "장병 기본권 상담실 설치 및 운영 지침(육방침 ’05-8호)" 육군본부 2005

      4 육군수사단, "자살안전지표 매뉴얼 개발" 육군수사단 2008

      5 육군본부, "자살사고 예방활동 추진 지침" 육군본부 2007

      6 인사참모부, "자살사고 예방 TF 연구결과 보고" 인사참모부 2008

      7 육군본부, "육군정책보고서 제3장 주요 정책추진" 육군본부 2008

      8 최인철, "원자력에 대한 사회적 표상: 진단 및 대책" 한국원자력문화재단 2002

      9 최인철, "원자력 발전소 안전체감에 관한 연구: 안전체감지수 개발과 안전체감 수준"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13 (13): 1-21, 2007

      10 이강준, "여성주의 저널 일다"

      11 정기혜, "식품안전관리에 관한 국민의 인지도 및 그 체감도에 따른 행동유형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4

      12 한국소비자보호원, "소비자안전체감지수 개발 기초연구" 재정경제부 2005

      13 박영신, "산업재해 감소를 위한 효율적 안전교육의 방향 탐색:작업자,안전관리자,공무원의 안전효능감을 중심으로" 4 (4): 277-307, 1998

      14 고성호, "사회조사방법론" 그린 2002

      15 육군본부, "비전캠프 프로그램 운영 개선지침(육지침 ’07-19호)" 2007

      16 뉴시스, "뉴시스 2004년 4월 22일자"

      17 국방부, "국방정책자료집" 국방부 기획조정관실 2006

      18 한국여성개발원, "국방여성의 Gender Empowerment 향상방안" 한국여성개발원 2006

      19 국방부, "국방백서" 대한민국 국방부 부록 12 남북 군사력 비교 2006

      20 육군본부, "‘생명의 전화’ 운영 지침(육지침 ’08-7호)" 육군본부 2008

      21 주간한국, "[포커스] 방폐장 선정 19년만의 매듭"

      22 "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

      23 Spyridoula Tsoukalas, "The Personal Security Index: A Reflection of how Canadians feel Five Years Later" Canadian Council on Social Development 34-40, 2003

      24 U.S. Department of Commerce & Census, "Social Indicator Ⅲ: Selected data on social conditions and trends in the United States, U.S. Department of Commerce & Bureau of the Census" Public Safety 203-252, 1980

      25 Bandura,A, "Self-efficacy:The exercise of control." W. H. Freeman and Company 1997

      26 Cox, S., "Safety,systems,and people." Butterworth-Heinemann 1996

      27 Fido A. T, "Safety management systems" Blackmore Press 1989

      28 Starr,C, "Risk management,assessment and acceptability." 5 : 97-102, 1985

      29 Cox, S, "Psychosocial and organizational hazards:Monitoring and control.European Series in Occupational Health No 5."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3

      30 Slovic,P, "Perception of risk" 236 : 280-285, 1987

      31 Slovic, P, "Images of disaster:Perception and acceptance of risks from nuclear power.in Energy risk assessment" Academic 223-245, 1979

      32 Tversky, A, "Availibility: A heuristic for judging frequency and probability" 5 : 207-232, 1973

      33 Robertson, L., "A controlled study of the effect of television messages on safety belt use" 64 : 1071-1080, 1974

      34 육군본부, "2008년 사고예방활동 추진지침" 육군본부 2007

      35 문화일보, "2005년도 8월 27일자"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KCA)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5-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 Korea Jour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9 2.19 2.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45 2.48 3.426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