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our chapters about sun in 『Siheon Kiyo時憲紀要』, that is a book of Shixian時憲 calendric system in the 19th century Joseon dynasty, are the articles written with sufficient understanding of 『Lixiang Kaocheng曆象考成』, 『Lixiang...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our chapters about sun in 『Siheon Kiyo時憲紀要』, that is a book of Shixian時憲 calendric system in the 19th century Joseon dynasty, are the articles written with sufficient understanding of 『Lixiang Kaocheng曆象考成』, 『Lixiang...
The four chapters about sun in 『Siheon Kiyo時憲紀要』, that is a book of Shixian時憲 calendric system in the 19th century Joseon dynasty, are the articles written with sufficient understanding of 『Lixiang Kaocheng曆象考成』, 『Lixiang Kaocheng Houbian曆象考成後編』 and 『Yixiang kaocheng 儀象考成』 and so on and reorganizing it organically. Modifications, additions and corrections of errors in the original books are also included in it. For accurate translation and understanding of 『Siheon Kiyo』, six things such as understanding the core content, accurate understanding of calculation formulas, accurate reproduction of pictures and correction of errors in the original pictures, correction of errors in the original text, highlighting the unique aspect and accurate definition of calendric system terms are required. It can be accomplish through reading original books. This paper suggests that academic translation of 『Chongzhen Lishu崇禎曆書』, 『Lixiang Kaocheng』 and 『Lixiang Kaocheng Houbian』 which are the three major books of Shixian calendric system in China and which became the intellectual foundation for 『Siheon Kiyo』 is urgently needed.
국문 초록 (Abstract)
19세기 조선의 時憲曆法書인 『時憲紀要』 태양편의 4개 장은 『曆象考成』, 『曆象考成後編』, 『儀象考成』, 『協紀辨方書』의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여 핵심 내용을 선별하고 유기적으로...
19세기 조선의 時憲曆法書인 『時憲紀要』 태양편의 4개 장은 『曆象考成』, 『曆象考成後編』, 『儀象考成』, 『協紀辨方書』의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여 핵심 내용을 선별하고 유기적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독자적으로 변형하거나 추가한 사항 및 원전의 오류를 바로잡은 점들도 들어 있다. 『시헌기요』의 정확한 번역과 이해를 위해서는 핵심 내용 파악, 계산식의 정확한 이해, 그림의 정확한 재현과 그림의 오류 교감, 원문 오류의 교감, 독자적인 면모 부각, 천문역산 용어의 정확한 개념 정의 등 6가지를 충족해야 한다. 이는 모두 그 지적 토대로서 원전의 통독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 본고의 고찰은 조선 시헌력법서의 지적 토대가 되었던 중국의 3대 시헌력법서인 『崇禎曆書』, 『역상고성』, 『역상고성후편』의 학술적 번역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李儼, "중국수학사" 예문서원 2019
2 전용훈, "조선시대 서학 관련 자료 집성 및 번역ㆍ해제 2" 경인문화사 2020
3 강민정, "시헌력의 시작, 숭정역서에 기술된 태양의 운동" 교육과학사 2020
4 남문현, "국역 시헌기요 상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4
5 乾隆 御製, "曆象考成後編" 商務印書館 1983
6 康熙 御製, "曆象考成" 商務印書館 1983
7 梅文鼎, "曆算全書" 商務印書館 1983
8 南秉吉, "時憲紀要" 驪江出版社 1985
9 邢雲路, "古今律曆考" 商務印書館 1983
10 乾隆 御製, "儀象考成" 商務印書館 1983
1 李儼, "중국수학사" 예문서원 2019
2 전용훈, "조선시대 서학 관련 자료 집성 및 번역ㆍ해제 2" 경인문화사 2020
3 강민정, "시헌력의 시작, 숭정역서에 기술된 태양의 운동" 교육과학사 2020
4 남문현, "국역 시헌기요 상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4
5 乾隆 御製, "曆象考成後編" 商務印書館 1983
6 康熙 御製, "曆象考成" 商務印書館 1983
7 梅文鼎, "曆算全書" 商務印書館 1983
8 南秉吉, "時憲紀要" 驪江出版社 1985
9 邢雲路, "古今律曆考" 商務印書館 1983
10 乾隆 御製, "儀象考成" 商務印書館 1983
11 許嘉璐, "『明史』第1冊, 二十四史全譯" 漢語大詞典出版社 2004
『한국고전총간』 지리류 편찬의 방향-方志類 편찬을 중심으로-
‘1760년 상송 읍지’의 성립과 전래, 그리고 현존본-한국교회사연구소 소장 ‘여지도서’와 신발굴 ‘여지승람’ 2종에 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