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林園經濟志" 보경문화사 1983
2 오상학, "한국 전통 지리학사" 들녘 2015
3 배우성, "조선후기 국토관과 천하관의 변화" 일지사 1998
4 이재두, "조선후기 관찬읍지 연구" 경북대 2021
5 정대영, "영조연간 전국지리지 『輿地圖書』의 서지적 연구" 한국서지학회 (68) : 377-413, 2016
6 이재두, "영조대의 제1, 2차 읍지 편찬 사업(1757∼1760)" 한국학중앙연구원 (41) : 205-236, 2019
7 서유구, "금화경독기" 자연경실 2019
8 정조, "군서표기" 민족문화추진회 2000
9 모리스 꾸랑, "韓國書誌" 일조각 1997
10 "輿地圖書" 국사편찬위원회 1973
1 "林園經濟志" 보경문화사 1983
2 오상학, "한국 전통 지리학사" 들녘 2015
3 배우성, "조선후기 국토관과 천하관의 변화" 일지사 1998
4 이재두, "조선후기 관찬읍지 연구" 경북대 2021
5 정대영, "영조연간 전국지리지 『輿地圖書』의 서지적 연구" 한국서지학회 (68) : 377-413, 2016
6 이재두, "영조대의 제1, 2차 읍지 편찬 사업(1757∼1760)" 한국학중앙연구원 (41) : 205-236, 2019
7 서유구, "금화경독기" 자연경실 2019
8 정조, "군서표기" 민족문화추진회 2000
9 모리스 꾸랑, "韓國書誌" 일조각 1997
10 "輿地圖書" 국사편찬위원회 1973
11 성범중, "譯註 蔚山地理誌 1ㆍ2" 울산광역시문화원연합회 2014
12 "林園十六志"
13 "東方璇璣圖書"
14 楊普景, "朝鮮時代 邑誌의 性格과 地理的 認識에 관한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87
15 이재두, "『헌산지』에 실린 『여지도서』의 목차와 편찬 규정" 영남문화연구원 (60) : 241-272, 2017
16 이재두, "『여지도서』의 편찬시기와 항목구성 및 신설항목의 유래" 민족문화연구원 (82) : 265-300, 2019
17 이재두, "『여지도서』의 누락읍지 보완과 수록순서 보정" 전북사학회 (54) : 103-132, 2018
18 변주승, "『輿地圖書』의 성격과 道別 특성" 고려사학회 (25) : 435-464, 2006
19 배우성, "18세기 全國地理志 편찬과 지리지 인식의 변화" 일지사 22 (22): 1996
20 이재두, "1768년 개발한 『경상도읍지』 유형의 확산과 정착"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3) : 255-310,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