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의사소통역량 함양을 위한 대학수업의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대학생의 의사소통 경험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a university class for cultivating communication competency: Focusing on the communication experiences of university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485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역량 함양을 위한 대학수업의 개선 방안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관점에서 대학생의 대학수업에 대한 경험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대학수업에 대한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A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14명을 대상으로 성찰일지 작성과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소통 관점에서 대학생의 대학수업 경험은 강좌의 도입 단계에서 학습자의수업계획서를 통한 강좌에 대한 파악, 교수자의 학습자의 특성에 대한 이해, 교수자의 학습자의 수업 참여 분위기조성, 강좌의 전개 단계에서 교수자의 수업내용에 대한 설명, 교수자의 수업내용에 대한 질문, 학습자의 교수자의피드백을 통한 학습활동 수행, 학습자의 조별활동 수행, 교수자의 학습자의 의견에 대한 경청, 교수자의 학습자와의친밀감 형성, 교수자의 교수매체 활용, 강좌의 정리 단계에서 교수자의 학습자의 수업활동에 대한 평가, 교수자의좋은 수업을 위한 노력, 학습자의 좋은 수업에 대한 성찰로 나타났다. 둘째, 의사소통 관점에서 대학수업의 개선점은수업에 대한 자율성과 책임, 편견 배제를 통한 수업 환경의 구축; 시대의 가치 공유, 공동체 의식 함양, 의사소통역량함양의 수업목표 설정; 의사소통역량 기반 교육과정, 프로젝트 수업방법 중심의 수업 설계; 시대의 변화에 적합한교수매체의 활용, 교수자와 학습자의 관계성 형성을 통한 수업 운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의사소통역량함양을 위한 효과적인 대학수업에 대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역량 함양을 위한 대학수업의 개선 방안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관점에서 대학생의 대학수업에 대한 경험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대...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역량 함양을 위한 대학수업의 개선 방안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관점에서 대학생의 대학수업에 대한 경험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대학수업에 대한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A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14명을 대상으로 성찰일지 작성과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소통 관점에서 대학생의 대학수업 경험은 강좌의 도입 단계에서 학습자의수업계획서를 통한 강좌에 대한 파악, 교수자의 학습자의 특성에 대한 이해, 교수자의 학습자의 수업 참여 분위기조성, 강좌의 전개 단계에서 교수자의 수업내용에 대한 설명, 교수자의 수업내용에 대한 질문, 학습자의 교수자의피드백을 통한 학습활동 수행, 학습자의 조별활동 수행, 교수자의 학습자의 의견에 대한 경청, 교수자의 학습자와의친밀감 형성, 교수자의 교수매체 활용, 강좌의 정리 단계에서 교수자의 학습자의 수업활동에 대한 평가, 교수자의좋은 수업을 위한 노력, 학습자의 좋은 수업에 대한 성찰로 나타났다. 둘째, 의사소통 관점에서 대학수업의 개선점은수업에 대한 자율성과 책임, 편견 배제를 통한 수업 환경의 구축; 시대의 가치 공유, 공동체 의식 함양, 의사소통역량함양의 수업목표 설정; 의사소통역량 기반 교육과정, 프로젝트 수업방법 중심의 수업 설계; 시대의 변화에 적합한교수매체의 활용, 교수자와 학습자의 관계성 형성을 통한 수업 운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의사소통역량함양을 위한 효과적인 대학수업에 대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인화, "핵심역량으로서 의사소통 역량의 하위요소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2 (22): 1-29, 2019

      2 김혜영 ; 유지현 ; 이숙정,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 실현에 관한 제언" 교양기초교육연구소 2 (2): 83-103, 2021

      3 최혜미,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대학융합전공기준 개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4 전은화, "핵심역량 기반의 대학 교양교육 운영 방안 - 단국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기초교육연구소 2 (2): 105-127, 2021

      5 최정윤 ; 신혜숙, "한국 대학에서의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성격과 대학교육 학습성과에 대한 영향 분석: 대학 특성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37 (37): 131-154, 2010

      6 최경민, "초등학교 저학년 바른 인성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 방안 탐색: 프로젝트 학습 기반" 인성교육연구원 2 (2): 32-55, 2017

      7 박복선, "지식기반사회에서의 대학성인교육의 발전과 기능 변화" 한국성인교육학회 9 (9): 53-81, 2006

      8 이선영,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심리학" 안암교육학회 23 (23): 231-260, 2017

      9 이정숙, "전문직커뮤니케이션과 인간관계" 수문사 2002

      10 김혜숙, "인간관계론" 양서원 2008

      1 이인화, "핵심역량으로서 의사소통 역량의 하위요소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2 (22): 1-29, 2019

      2 김혜영 ; 유지현 ; 이숙정,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 실현에 관한 제언" 교양기초교육연구소 2 (2): 83-103, 2021

      3 최혜미,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대학융합전공기준 개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4 전은화, "핵심역량 기반의 대학 교양교육 운영 방안 - 단국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기초교육연구소 2 (2): 105-127, 2021

      5 최정윤 ; 신혜숙, "한국 대학에서의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성격과 대학교육 학습성과에 대한 영향 분석: 대학 특성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37 (37): 131-154, 2010

      6 최경민, "초등학교 저학년 바른 인성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 방안 탐색: 프로젝트 학습 기반" 인성교육연구원 2 (2): 32-55, 2017

      7 박복선, "지식기반사회에서의 대학성인교육의 발전과 기능 변화" 한국성인교육학회 9 (9): 53-81, 2006

      8 이선영,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심리학" 안암교육학회 23 (23): 231-260, 2017

      9 이정숙, "전문직커뮤니케이션과 인간관계" 수문사 2002

      10 김혜숙, "인간관계론" 양서원 2008

      11 이헌석 ; 황미영 ; 최은희, "의사소통훈련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대인관계, 갈등해소양식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6 (16): 1-22, 2009

      12 김종규 ; 한상우 ; 원만희, "의사소통역량 평가를 위한 자기 진단 모형 개발" 한국수사학회 (23) : 389-422, 2015

      13 신희선,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여대생 스피치 교육의 사례연구" 한국소통학회 (6) : 71-103, 2006

      14 남궁정 ; 김종훈, "의과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0 (10): 85-109, 2010

      15 김영희 ; 강문실, "실천학습(Action Learning)이 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과 대인관계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양교육학회 9 (9): 211-243, 2015

      16 봉현철, "성공하려면 액션 러닝 하라" 행성B웨이브 2011

      17 김효진 ; 박소영 ; 신윤선 ; 이유경, "비대면 학습상황에서 대학생의 의사소통역량 평가도구 개발" 한국교육학회 60 (60): 201-229, 2022

      18 신명희, "발달심리학" 학지사 2013

      19 장은하 ; 조대연 ; 김은비 ; 정홍인 ; 김대영, "미래사회의 한국 성인에게 필요한 역량 탐색과 평생교육 정책을 위한 제언"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18 (18): 91-121, 2022

      20 신희선,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의사소통교육 사례연구"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10 (10): 137-169, 2011

      21 최건아, "대학의 전공 수업 의사소통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 ─ 예술 계열 전공 강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 리터러시 학회 9 (9): 73-105, 2018

      22 송충진, "대학에서의 교수・학습활동과 의사소통, 수업만족도에 관한 연구- 교수자와 학습자간 인식차이와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5 (15): 171-200, 2014

      23 이장익 ; 김주후,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학업성취도 관계성에 대한 분석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31 (31): 227-246, 2012

      24 최정윤 ; 이병식, "대학생의 학습성과에 대한 영향 요인 탐색: 대학의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27 (27): 199-222, 2009

      25 최건아, "대학생의 학습 목적 의사소통 상황에 대한 비판적 담화분석" 한국 리터러시 학회 10 (10): 1-43, 2019

      26 한상우 ; 김종규 ; 원만희,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의사소통역량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국수사학회 (24) : 337-358, 2015

      27 나길주 ; 나은하,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보건계열 대학생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205-221, 2019

      28 유현숙 ; 고장완 ; 임후남,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및 종합적 사고력에 영향을 주는 학습과정 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319-337, 2011

      29 박은아 ; 송해덕, "대학생의 의사소통 역량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요인 탐색"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2 (32): 83-102, 2014

      30 손영화, "대학생의 의사소통 역량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소통학회 15 (15): 83-107, 2016

      31 권영애 ; 이효숙, "대학생의 의사소통 역량 구성요인 타당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83-192, 2021

      32 이한샘 ; 서은희, "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협력적 자기조절 능력, 학업성취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959-975, 2018

      33 김안나 ; 이병식, "대학생들의 핵심능력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개인 및 환경 요인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30 (30): 367-392, 2003

      34 손경숙, "대학생들의 의사소통에 따른 자기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 13 (13): 1-17, 2016

      35 정지언, "대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온라인 실시간 하브루타 수업설계 전략과 적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267-281, 2021

      36 진미석 ; 손유미 ; 주휘정,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체제 구축 방안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461-486, 2011

      37 김현경 ; 류옥현, "대학교육의 역량기반 수업컨설팅 연구: K대학교의 역량기반 수업 일관성 분석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573-597, 2021

      38 고혜원,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글쓰기와 말하기>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과 과제 ― 중앙대학교 <의사소통 클리닉 센터>를 중심으로" 중앙어문학회 75 : 321-352, 2018

      39 강지혜 ; 이병길 ; 권승아, "대학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교육목표-교육과정-평가의 유기적인 연계를 위한 설계 전략의 탐색" 한국교육공학회 35 (35): 527-549, 2019

      40 김수란 ; 이선경, "대학 역량기반 교육과정 인증체제 및 평가지표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705-720, 2021

      41 강정찬 ; 이은화, "대학 수업사례로 본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전략 비교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695-726, 2015

      42 황성근, "대학 글쓰기 교육의 효과적 지도 방안" 한국작문학회 (1) : 137-164, 2005

      43 김은경 ; 한윤영,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창의, 융합역량 학습성과 루브릭 개발"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497-519, 2019

      44 조남민 ; 손달임 ; 황미경, "대학 교양교육에서 ‘역량기반교육’의 의미와 적용 타당성에 대한 고찰" 한국교양교육학회 16 (16): 31-48, 2022

      45 박종진, "대학 교양교육 혁신을 위한 핵심역량 기반 교양 교육과정 개편에 대한 연구* –C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국제문화기술진흥원 8 (8): 285-290, 2022

      46 전은주, "대학 교양 화법 교육의 발전 방안" 한국화법학회 (24) : 9-39, 2014

      47 김현정, "대학 ‘말하기’ 교과 운영 현황과 개선 방안"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597-625, 2013

      48 이병식 ; 최정윤, "다층모형을 활용한 대학생 핵심능력 개발의 영향요인 분석: 대학교육 과정과 대학 특성 변인의 영향" 한국교육개발원 35 (35): 243-266, 2008

      49 이진희 ; 김형규 ; 홍성연,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의사소통 역량평가 개발"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299-332, 2014

      50 김천기, "교원평가에 대한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이론의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교육사회학회 20 (20): 77-100, 2010

      51 손승남 ; 김인영 ; 송하석 ; 이재성 ; 최예정, "고등교육에서의 역량기반 교육과 핵심역량" 한국교양교육학회 15 (15): 11-30, 2021

      52 김태성, "『제4차 산업혁명시대 대한민국 미래교육보고서』 해설- 대학 및 직업교육을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8 (18): 333-353, 2017

      53 Yahaya, A.,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and communication skills towards academic achievement among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Johor Bahru" 1 (1): 25-34, 2009

      54 Liu, L. A., "Quality of communication experience : Definition, measurement, and implications for intercultural negotiations" 95 (95): 469-487, 2010

      55 Rabiner, D. L., "Predicting academic achievement and attainment : the contribution of early academic skills, attention difficulties, and social competence" 45 (45): 250-267, 2016

      56 Spradley, J. P., "Participant observation" Holt, Rinehart and Winston 1980

      57 Lincoln, Y. S., "Naturalistic inquiry" SAGE Publications Inc 1985

      58 Mahmud, M. M., "Communication aptitude and academic success" 134 : 125-133, 2014

      59 고윤성 ; 김윤경, "4차 산업혁명과 경영 교육 혁신방안: 한국과 미국 경영대학을 중심으로" 한국상업교육학회 34 (34): 1-26, 2020

      60 김대권,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인성 역량 향상을 위한 의사소통 역량 활용 방안" 인성교육연구원 5 (5): 1-23, 2020

      61 교육부, "2021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 편람-일반대학" 한국교육개발원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8 1.48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53 1.48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