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22년 1월 13일에 시행된 「대안교육기관법」 제정의 의미를 공교육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등록제 안착을위해 정비해 나가야 할 과제를 도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우선 「대안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22년 1월 13일에 시행된 「대안교육기관법」 제정의 의미를 공교육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등록제 안착을위해 정비해 나가야 할 과제를 도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우선 「대안교...
본 연구는 2022년 1월 13일에 시행된 「대안교육기관법」 제정의 의미를 공교육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등록제 안착을위해 정비해 나가야 할 과제를 도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우선 「대안교육기관법」과 시행령의 주요내용을 정리하여교육감에게 등록하는 대안교육기관의 권한과 의무를 정리하고, 입법 과정에서 이슈화되었던 쟁점을 분석하여 법률제정의 의미를 공교육의 관점에서 재탐색하였다. 그 결과 「대안교육기관법」 제정이 갖는 공적인 의미는 공교육 정책방향의 변화가 외부로부터 시작되었다는 점, 공교육과 다른 교육기관이 있음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게 되었다는 점, 공교육과대안교육의 경계가 불명확해졌다는 점, 교육 수요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도적 환경이 마련되었다는 점으로정리되었다. 등록제의 현장 안착을 위한 과제로는 교육청의 등록제 운영 역량 강화, 대안교육 정책방향에 대한 재검토, 미등록 시설에 대한 시‧도 공동대응 방안 모색, 등록제를 통해 확보되는 정보의 데이터화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가대안교육기관법 관련 연구에서 가지는 의의는 공교육의 관점에서 제정의 의미를 탐색한 점이다. 대안교육기관법과관련한 선행연구들이 법적, 제도적 측면에서의 문제와 대안을 제시하고 있는 데 반해, 본 연구는 공교육 관점으로초점화하여 대안교육기관의 제도권 진입을 탐색하고 향후 공교육계에서 해결해 나가야 할 후속과제를 제언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허창수, "한국 대안교육의 교육철학으로서 비판교육학 논의" 한국콘텐츠학회 21 (21): 477-487, 2021
2 김성기, "학업중단 예방 및 대안교육 관련 법제 개선방안" 대한교육법학회 29 (29): 1-21, 2017
3 맹영임, "청소년 성장환경으로서의 대안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4 국회 교육위원회, "제382회국회(정기회), 교육위원회회의록, 제7호"
5 서울시교육청, "서울시교육청 대안교육기관 등록 운영 등에 관한 고시"
6 강대중, "대안학교는 학교가 아니다" 박영률출판사 2002
7 이종태, "대안학교 이해하기" 민들레 2007
8 박창언, "대안학교 교육과정 법제화 방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9 (9): 1-22, 2006
9 박현수, "대안교육진흥을 위한 법 제정 필요성 , 대안교육 내실화를 위한 정책토론회"
10 박재유, "대안교육기관에 관한 법률안(박찬대의원 대표발의)검토보고"
1 허창수, "한국 대안교육의 교육철학으로서 비판교육학 논의" 한국콘텐츠학회 21 (21): 477-487, 2021
2 김성기, "학업중단 예방 및 대안교육 관련 법제 개선방안" 대한교육법학회 29 (29): 1-21, 2017
3 맹영임, "청소년 성장환경으로서의 대안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4 국회 교육위원회, "제382회국회(정기회), 교육위원회회의록, 제7호"
5 서울시교육청, "서울시교육청 대안교육기관 등록 운영 등에 관한 고시"
6 강대중, "대안학교는 학교가 아니다" 박영률출판사 2002
7 이종태, "대안학교 이해하기" 민들레 2007
8 박창언, "대안학교 교육과정 법제화 방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9 (9): 1-22, 2006
9 박현수, "대안교육진흥을 위한 법 제정 필요성 , 대안교육 내실화를 위한 정책토론회"
10 박재유, "대안교육기관에 관한 법률안(박찬대의원 대표발의)검토보고"
11 경기도교육청, "대안교육기관 자치법규제정 준비포럼 자료집"
12 이덕난, "대안교육기관 관련 법령 및 쟁점과 입법적‧정책적 개선 과제" 국회입법조사처 2021
13 김영화 ; 남기석, "대안교육 유형별 수요 결정 요인 분석" 한국교육학회 43 (43): 185-210, 2005
14 교육부, "교육부 소관 2개 법안 국회 본회의 통과"
15 이병환, "공교육 안에서의 대안교육의 현황과 이해" 2015
16 김성기, "경기도교육청 학교 밖 청소년 교육정책 개선 방안" 경기도교육청 2021
17 경기도교육청, "경기도교육청 대안교육기관 등록‧운영에 관한 고시"
18 김문숙, "‘새로운’ 현대성의 관점에서 바라본 한국의 대안교육운동 자연과 노작의 가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3 (43): 130-165, 2009
19 박상진, "‘대안교육기관에 관한 법률’ 제정의 의미와 향후 과제"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53 (53): 329-354, 2021
20 MBCNEWS, "[단독]교회서 교육시설로 감염...‘입학설명회’까지 전국 확산 우려. 자료 출처"
다문화 학부모의 문화적응 유형이 중학생의 학교생활 및 진로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역량 함양을 위한 대학수업의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대학생의 의사소통 경험을 중심으로
발달장애학생의 교과교육 관련 중재연구 동향 및 질적 지표 분석
4차 산업 혁명과 학교-대학 연계교육 : 메타-연계주의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3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48 | 1.48 | 1.3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2 | 1.53 | 1.481 | 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