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기업 이름의 형태론적 연구 = A Morphological Analysis of Korean Business Nam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010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descriptive analysis of Korean business names listed on KOSDAQ (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 from a morphological perspective. A total of 1,358 business names on KOSDAQ are col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origins and morphological structure. The analysis exhibits the monopoly of English: only 20% of the names are composed of only Korean elements, including Sino-Chinese, while 76% of them contain some form of English elements. It is pointed out that those English elements are not borrowed from English but are created in Korea and participate further word formation processes. In terms of word formation methods, compounding and shortening are most common, taking up 90% of all names. Multiple derived forms are used from an identical origin word, and even bound forms in English are taken and used as independent words, regardless of their original status in English. It is argued that Korean English is not entirely negative and should be considered as part of World Englishes.
      번역하기

      This study is a descriptive analysis of Korean business names listed on KOSDAQ (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 from a morphological perspective. A total of 1,358 business names on KOSDAQ are col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origins an...

      This study is a descriptive analysis of Korean business names listed on KOSDAQ (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 from a morphological perspective. A total of 1,358 business names on KOSDAQ are col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origins and morphological structure. The analysis exhibits the monopoly of English: only 20% of the names are composed of only Korean elements, including Sino-Chinese, while 76% of them contain some form of English elements. It is pointed out that those English elements are not borrowed from English but are created in Korea and participate further word formation processes. In terms of word formation methods, compounding and shortening are most common, taking up 90% of all names. Multiple derived forms are used from an identical origin word, and even bound forms in English are taken and used as independent words, regardless of their original status in English. It is argued that Korean English is not entirely negative and should be considered as part of World English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코스닥(KOSDAQ)에 상장된 총 1,358개의 기업 이름을 대상으로 의미와 내부구조를 분류하고 형태론적인 특성을 고찰한 기술적 연구이다. 어원적 측면에서 코스닥 기업 이름의 가장 큰 특성은 영어의 독점적 지위와 한국식 영어 조어로 밝혀졌다. 특히 코스닥 기업 이름의 경우 한국어 요소만 참여한 것은 20%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외국어 요소가 참여하는데, 그중 영어 요소가 관여한 것이 전체의 76%로, 영어의 독점적 지위가 확인되었다. 형태 구조 면에서 합성어와 축약어, 축약 합성어가 90%에 달하는데, 영어 원단어의 형태적 특성과 무관하게 축약어가 많이 사용되고, 같은 단어라도 여러 형태로 축약되어 참여하는 형태를 보인다. 접두사나 접미사, 결합형등 영어의 의존형태소들도 자유롭게 독립어로 활용된다. 이것은 이들이 영어에서 차용된 것이 아니라 한국어에서 생성된 단어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한국식 영어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코스닥(KOSDAQ)에 상장된 총 1,358개의 기업 이름을 대상으로 의미와 내부구조를 분류하고 형태론적인 특성을 고찰한 기술적 연구이다. 어원적 측면에서 코스닥 기업 이름의 가장 큰 ...

      본 연구는 코스닥(KOSDAQ)에 상장된 총 1,358개의 기업 이름을 대상으로 의미와 내부구조를 분류하고 형태론적인 특성을 고찰한 기술적 연구이다. 어원적 측면에서 코스닥 기업 이름의 가장 큰 특성은 영어의 독점적 지위와 한국식 영어 조어로 밝혀졌다. 특히 코스닥 기업 이름의 경우 한국어 요소만 참여한 것은 20%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외국어 요소가 참여하는데, 그중 영어 요소가 관여한 것이 전체의 76%로, 영어의 독점적 지위가 확인되었다. 형태 구조 면에서 합성어와 축약어, 축약 합성어가 90%에 달하는데, 영어 원단어의 형태적 특성과 무관하게 축약어가 많이 사용되고, 같은 단어라도 여러 형태로 축약되어 참여하는 형태를 보인다. 접두사나 접미사, 결합형등 영어의 의존형태소들도 자유롭게 독립어로 활용된다. 이것은 이들이 영어에서 차용된 것이 아니라 한국어에서 생성된 단어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한국식 영어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은경, "혼성과 신형태소의 생성: 한국어 파편을 중심으로" 한국현대언어학회 31 (31): 797-816, 2016

      2 강은경, "형태범주의 연속성에 대한 연구: 영어혼성어의 파편을 중심으로" 한국현대언어학회 30 (30): 663-684, 2015

      3 이영화, "행위공동체 내의 언어·사회·문화: 국내외 사례를 통한 영어간판의 오류분석과 사회·문화적 양상" 한국콘텐츠학회 19 (19): 504-512, 2019

      4 김명호, "한국 기업들의 기업명 구조 및 작성의도 분석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원 7 (7): 25-44, 2014

      5 김세림, "초등학교 교과서에 제시된 영어 중심 외래어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6 노명희, "접미사 부류의 탈문법화 양상" 반교어문학회 (35) : 129-164, 2013

      7 김선재, "영어능력과 국가 경제성장과의 관계 : OECD 비영어권 국가들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1 (11): 329-339, 2011

      8 이승복, "영어교육과 콩글리쉬의 재조명: 자연주의 관점에서"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56 (56): 231-258, 2014

      9 표시연, "영어 형태소가 합성된 신조어 생성의 형태론적 유형에 대한 고찰" 한국언어학회 42 (42): 97-120, 2017

      10 이상도, "영어 차용어 축약과 한국식 영어"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21 (21): 333-347, 2009

      1 강은경, "혼성과 신형태소의 생성: 한국어 파편을 중심으로" 한국현대언어학회 31 (31): 797-816, 2016

      2 강은경, "형태범주의 연속성에 대한 연구: 영어혼성어의 파편을 중심으로" 한국현대언어학회 30 (30): 663-684, 2015

      3 이영화, "행위공동체 내의 언어·사회·문화: 국내외 사례를 통한 영어간판의 오류분석과 사회·문화적 양상" 한국콘텐츠학회 19 (19): 504-512, 2019

      4 김명호, "한국 기업들의 기업명 구조 및 작성의도 분석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원 7 (7): 25-44, 2014

      5 김세림, "초등학교 교과서에 제시된 영어 중심 외래어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6 노명희, "접미사 부류의 탈문법화 양상" 반교어문학회 (35) : 129-164, 2013

      7 김선재, "영어능력과 국가 경제성장과의 관계 : OECD 비영어권 국가들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1 (11): 329-339, 2011

      8 이승복, "영어교육과 콩글리쉬의 재조명: 자연주의 관점에서"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56 (56): 231-258, 2014

      9 표시연, "영어 형태소가 합성된 신조어 생성의 형태론적 유형에 대한 고찰" 한국언어학회 42 (42): 97-120, 2017

      10 이상도, "영어 차용어 축약과 한국식 영어"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21 (21): 333-347, 2009

      11 "신사업 성공은 이름부터...서명 변경의 경제학"

      12 朴基完, "소비자의 제품평가에 미치는 외국어 브랜드명의 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13 송영균, "상호변경이 주주의 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13 : 67-101, 1991

      14 이선영, "상호, 상표 분야의 외래어 사용" 8 (8): 103-119, 1998

      15 "난해한 코스닥 상장사 이름들...이름 속 숨겨진 비밀은?"

      16 조성문, "기업 이름의 표기에 대한 연구" 대한언어학회 15 (15): 1-15, 2007

      17 김양홍, "국내 기업명에 나타난 어형성의 방식 고찰" 미래영어영문학회 19 (19): 99-116, 2014

      18 이청림, "‘윤리적 제품’, 이름만으로 충분한가? 브랜드 명성과 지각된 윤리성의 정도가 소비자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20 (20): 527-541, 2020

      19 D. Marcel, "Why It Sells: Decoding the Meanings of Brand Names, Logos, Ads, and Other Marketing and Advertising Ploys"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2008

      20 T. Blackett, "Trademarks" Palgrave Macmillan Press LTD 1998

      21 L. Bauer, "The Oxford Reference Guide to English Morp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22 이종오, "Lexicalization Patterns of Neologisms in Korean under the influence of English" 국제지역연구센터 13 (13): 167-180, 2010

      23 J. Kiaer, "Hybrid English words in Korean and Japanese: a strange brew or an asset for global English?" 1278116-, 2017

      24 J. Svartvik, "English: One Tongue, Many Voices" Palgrave Macmillan 2006

      25 E. Pillar, "Brand name formation" 15 (15): 189-202,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