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생 관점에서의 대학 교양 교육과정 개선 요구도 분석 = Analyzing the Needs for Improving the Liberal Arts Curriculum from Student’s Perspective using CIPP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010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atisfaction and needs from the student's point of view to improve the quality of university liberal arts curriculum in prepara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data of 333 students at K University located in Chungcheongnam-do were analyzed for satisfaction by factors using the CIPP model and the needs by IPA.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CIPP was 3.38 on average and in the order of Process(3.49)> Input(3.40)> Product(3.34)> Context(3.30). Second, the priority of needs was 1) the needs of the social change and the students, 2) competent faculty and a suitable environment, 3) novel contents. Third, the factors affecting the overall satisfaction were the novel educational contents, operating methods and reflecting needs,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recommendation were student growth and career, core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goals and organ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policy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reflecting the voices of studen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atisfaction and needs from the student's point of view to improve the quality of university liberal arts curriculum in prepara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data of 333 students at K Univers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atisfaction and needs from the student's point of view to improve the quality of university liberal arts curriculum in prepara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data of 333 students at K University located in Chungcheongnam-do were analyzed for satisfaction by factors using the CIPP model and the needs by IPA.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CIPP was 3.38 on average and in the order of Process(3.49)> Input(3.40)> Product(3.34)> Context(3.30). Second, the priority of needs was 1) the needs of the social change and the students, 2) competent faculty and a suitable environment, 3) novel contents. Third, the factors affecting the overall satisfaction were the novel educational contents, operating methods and reflecting needs,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recommendation were student growth and career, core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goals and organ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policy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reflecting the voices of stud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 대비 대학 교양 교육과정의 질적 개선을 위해 학생 관점에서의 만족도와 요구도를 분석한 것이다. 충청남도 소재 K대학에서 자발적인 참여 학생 333명의 자료를 CIPP 모형을 활용한 요인별 만족도 분석과 IPA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생의 CIPP 만족도는 평균 3.38로, 과정(P, M=3.49)>투입(I, M=3.40)>산출(P, M=3.34)>상황(C, M=3.30) 순이었다. 둘째, 요구도 우선순위는 1) 교양 교육에 대한 사회적 변화에 따른 요구 및 학생의 요구 반영, 2) 역량 있는 교수진 및 적합한 수업 환경 제공, 3) 교육목표 달성 및 최신의 동향을 반영한 참신한 내용 구성 이었다. 셋째, 전반적인 만족도에는 참신한 교육내용, 운영방법, 요구반영이, 추천의향에는 학생 성장진로도움, 핵심역량도움, 교육목표와 편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학생의 목소리를 반영한 교양 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 정책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 대비 대학 교양 교육과정의 질적 개선을 위해 학생 관점에서의 만족도와 요구도를 분석한 것이다. 충청남도 소재 K대학에서 자발적인 참여 학생 333명의 자료를 C...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 대비 대학 교양 교육과정의 질적 개선을 위해 학생 관점에서의 만족도와 요구도를 분석한 것이다. 충청남도 소재 K대학에서 자발적인 참여 학생 333명의 자료를 CIPP 모형을 활용한 요인별 만족도 분석과 IPA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생의 CIPP 만족도는 평균 3.38로, 과정(P, M=3.49)>투입(I, M=3.40)>산출(P, M=3.34)>상황(C, M=3.30) 순이었다. 둘째, 요구도 우선순위는 1) 교양 교육에 대한 사회적 변화에 따른 요구 및 학생의 요구 반영, 2) 역량 있는 교수진 및 적합한 수업 환경 제공, 3) 교육목표 달성 및 최신의 동향을 반영한 참신한 내용 구성 이었다. 셋째, 전반적인 만족도에는 참신한 교육내용, 운영방법, 요구반영이, 추천의향에는 학생 성장진로도움, 핵심역량도움, 교육목표와 편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학생의 목소리를 반영한 교양 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 정책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경희,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 고유모델 개발 및질 관리" 공주대학교 2019

      2 정선호,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P대학 학생의 인식 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10 (10): 283-310, 2016

      3 정효정, "학생 요구에 부합하는 대학 교양 교과목 개발 방향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27 (27): 171-189, 2019

      4 손종현, "지식기반사회에 조응하는 대학 교양교육체제"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61-96, 2013

      5 고진영, "대학생 핵심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H 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475-504, 2017

      6 유정아, "대학보직교원의 역량탐색: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를 활용하여" 한국열린교육학회 23 (23): 359-377, 2015

      7 김무영, "대학 인문교양교육에 대한 만족도 및 수업효과에 대한 인식 분석 – A 대학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193-218, 2020

      8 송영수, "대학 영어전용강좌(EMI)의 학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CIPP 평가 모형을 바탕으로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4 (14): 61-84, 2008

      9 전호재, "대학 교육과정 개편의 방향 탐색(Ⅱ) - 교양 교육과정의 수준에서"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189-210, 2019

      10 배상훈, "대학 교양기초교육 운영 모델 개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407-442, 2017

      1 강경희,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 고유모델 개발 및질 관리" 공주대학교 2019

      2 정선호,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P대학 학생의 인식 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10 (10): 283-310, 2016

      3 정효정, "학생 요구에 부합하는 대학 교양 교과목 개발 방향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27 (27): 171-189, 2019

      4 손종현, "지식기반사회에 조응하는 대학 교양교육체제"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61-96, 2013

      5 고진영, "대학생 핵심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H 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475-504, 2017

      6 유정아, "대학보직교원의 역량탐색: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를 활용하여" 한국열린교육학회 23 (23): 359-377, 2015

      7 김무영, "대학 인문교양교육에 대한 만족도 및 수업효과에 대한 인식 분석 – A 대학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193-218, 2020

      8 송영수, "대학 영어전용강좌(EMI)의 학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CIPP 평가 모형을 바탕으로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4 (14): 61-84, 2008

      9 전호재, "대학 교육과정 개편의 방향 탐색(Ⅱ) - 교양 교육과정의 수준에서"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189-210, 2019

      10 배상훈, "대학 교양기초교육 운영 모델 개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407-442, 2017

      11 이숙정, "대학 교양교육의 방향과 과제: 역량기반 교양교육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11-42, 2012

      12 윤유진, "대학 교양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국내•외 대학의 교양교육과정 비교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2 (12): 259-286, 2018

      13 이상준, "교육서비스의 만족도지수 모형개발 및 IPA를 통한 개선방안" 한국콘텐츠학회 13 (13): 510-521, 2013

      14 전영옥, "교육과정 매핑 시스템 기반의 대학 교양 교육과정의 질 관리 방안"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437-466, 2019

      15 "http://konige.kr/sub02_08.php"

      16 D. L. Stufflebeam, "The relevance of the CIPP evaluation model for educational accountability" 5 : 19-25, 1971

      17 이성하, "Stufflebeam의 7-CIPP 평가 모형에 기초한 대학 학습동아리 프로그램 평가 준거 개발" 한국교육방법학회 28 (28): 471-496, 2016

      18 J. A. Martill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41 (41): 77-97, 1977

      19 O. G. Mink, "Developing and managing open organizations:A model and method for maximizing organizational potential" Somerset Consulting Group 1991

      20 박혜영, "CIPP모형을 활용한 항공서비스교육 평가 -만족도 및 재추천에 미치는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2 (12): 510-523, 2012

      21 이원석, "CIPP 평가 모형의 지향 원칙과 국내 교육 분야 CIPP 평가 모형 활용 연구 고찰" 한국교육평가학회 32 (32): 603-624, 2019

      22 전주현, "CIPP 평가 모형을 적용한 대기업 사원 공학입문 교육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공학교육학회 16 (16): 79-86, 2013

      23 박영순, "CIPP 평가 모형에 기반 한 대학의 생애단계별 교수개발 프로그램 평가 도구 개발" 한국교육학회 55 (55): 203-229, 2017

      24 정환수, "CIPP 모형을 활용한 사이버 범죄 예방 교육 프로그램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7 (17): 9-18, 2019

      25 박찬희, "CIPP 모형을 활용한 그린캠프 평가지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20 (20): 491-505, 2020

      26 G. D. Borich,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31 (31): 39-42, 1980

      27 강이화, "4차 산업혁명과 대학교육의 미래 - 국내·외 혁신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발전연구소 29 (29): 279-297,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