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최근에 영인된 『伊등藤博文文書』를 토대로 운요호사건(1875 년 9월)의 기획파 공식보고서 의 초작에 이토 히로부미가 깊숙이 관여했음 을 추적하였다. 이로 히로부미는 부아소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142555
2009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37-274(38쪽)
1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최근에 영인된 『伊등藤博文文書』를 토대로 운요호사건(1875 년 9월)의 기획파 공식보고서 의 초작에 이토 히로부미가 깊숙이 관여했음 을 추적하였다. 이로 히로부미는 부아소나...
이 논문은 최근에 영인된 『伊등藤博文文書』를 토대로 운요호사건(1875 년 9월)의 기획파 공식보고서 의 초작에 이토 히로부미가 깊숙이 관여했음 을 추적하였다. 이로 히로부미는 부아소나드의 자문을 얻어 운요호사건의 마스터 플랜을 마련하였고, 사건 이후에도 원래의 의도대로 사건을 통제 하기 위해 공식보고서의 조작을 주도했다.
운요호사건은 그 때까지의 朝 日 交涉과는 완전히 다른 차원에서의 접근 이었다. 운요호의 제1차 시위는 딘순한 교섭 압박용으로 외교적 맥락에서 도출되었지만 운요호사건은 일본 국내의 정략적 차원에서 고안되었다.
당시 ‘內閣分離問題’로 갈등을 겪고 있던 오쿠보〈大久保利通) 정권의 이토 히로부미 등이 시마즈 히사미츠(島津久光) 등의 수구파와 이타가키 타이스케(板垣退助) 둥 급진파를 제거하기 위해 도발한 것이다. 운요호사건은 국내정략의 일환으로 자행된 결정판이라 할 수 있다. 내각분리문제 로 갈등을 겪고 있던 오쿠보 정권은 운요호사건을 일으켜 내각분리문제를 동결시키고 그 주창자였던 시마즈와 이타가키를 축출하는데 성공하였다.
정적을 제거하는 1차적 목적은 달성되었지만 운요호사건은 오히려 조선측의 폭거로 역선전되어 일본 국내에서 광범위한 정한논쟁을 불러일으켰다 한일관계사에서 운요호사건의 위치는 단순히 강화도조약의 1W史로 서의 의미보다 광범위한 정한논쟁을 통해 조선에 대한 왜곡된 이미지가 확산되고 ‘서구문명론’에 입각한 ‘조선멸시관’이 자리잡는데 결정적 역할 을 한 점이 더 중시되어야 할 것이다.
격화된 정한론을 방치하면 軍의 동요를 일으켜 군내의 정한피-와 불평사족이 결합할 가능성이 있었다. 이 때문에 구로다(黑田淸隆) 전권사절은 問罪使를 가장하기 위해 군함과 병력을 대동해야만 했다 반면에 군함을 대동한 사절의 파견은 조선 측에게 반일감정을 고조시켜 ‘倭洋一體’ 관념 을 확신시켜주는 작용을 하였다. 이렇듯 근대의 한일관계는 처음부터 불편하게 시작되었는데 그 직접적 원인은 바로 운요호사건이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vidence that Ito Hirobumi became deeply involved in planning the Uny? incident (Sep 1875) and manipulating the official report, based on the recently photo-printed Ito Hirobumi document. It? Hirobumi drew up the master pl...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vidence that Ito Hirobumi became deeply involved in planning the Uny? incident (Sep 1875) and manipulating the official report, based on the recently photo-printed Ito Hirobumi document. It? Hirobumi drew up the master plan of the Unyo incident in consultation with Gustave Emil Boissonade and even after the incident, he spearheaded the fabrication of the official report in order to take control of the incident in the way that had been initially intended.
The incident was fundamentally a different approach, compared with the way that negotiations had been made between Korea and Japan. While the first demonstration by the Uny? warship was created within a diplomatic context, simply in pursuit of bargaining demands, the Uny? incident was designed as a political tactic to deal with domestic matters within Japan.
As the Okubo regime had been in trouble due to issues about separation of the ministries from the Council of State, It? Hirobumi and his supporters provoked the incident in order to get rid of both the conservatives, including Shimazu Hisamitsu, and the radicals, including Iragaki Taiske. Thus, the Unyo incident clearly indicates that it was provoked only as a political tactic. As a result, the incident made it possible for the regime to succeed in freezing the separation matter and expel its advocates, Shimazu and Itagaki.
Through the Uny? incident, the ultimate end of eliminating political opponents was successfully accomplished, but it also stirred up an extensive "subdue Korea controversy (Sei-Kan-ron)" within Japan due to the counter-propaganda that Korea provoked the incident. In the history of Korea-Japan relations, the incident needs to be further considered so as to play a crucial part in expanding distorted images against Korea through the "controversy" and establishing "View of Contempt for Korea" grounded on "A Theory of Western Civilization," rather than just be the incident occurring before the treaty of Kanghwa.
Leaving the intensified "subdue Korea controversy" unsettled, could possibly cause agitation of the Armed Forces, which might lead to the combination of "subdue Korea party" with "dissatisfied Samurai" within the military. Therefore, a Kuroda mission could possibly mobilize warships and troops to pose as envies for accusation. Meanwhile, the dispatch of envoys with warships made anti-Japanese agitation widespread within Korea, to such an extent that Korea identified Japan with the West. It was the Uny?) incident that was the direct cause of the beginning of Korea"s uneasy relationship with Japan in the modern tim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彭德周, "「江華島事件をめぐる諸問題, In 明治初期日韓淸關係の硏究" 塙書房 1969
2 "승정원일기"
3 申國柱, "韓國の開國—雲揚號事件をめぐって—, In 日本外交史硏究(幕末․維新時代)" 有斐閣 1960
4 이태진, "雲揚號 사건의 진상—사건 경위와 일본국기 게양설의 진위, In 朝鮮의 政治와 社會—崔承熙敎授 停年紀念 論文集" 集文堂 2002
5 "雲揚艦外一艘對州朝鮮海路廻航ノ儀屆, 公文錄"
6 "郵便報知新聞"
7 "郵便報知新聞"
8 田保橋潔, "近代日鮮關係の硏究" 朝鮮總督府中樞院 1940
9 由井正臣, "近代官僚制の成立過程, In 日本近代思想大系3—官僚制 警察" 岩波書店 1990
10 法學硏究所, "舊韓末 國際關係 史料集 4" 237-247,
1 彭德周, "「江華島事件をめぐる諸問題, In 明治初期日韓淸關係の硏究" 塙書房 1969
2 "승정원일기"
3 申國柱, "韓國の開國—雲揚號事件をめぐって—, In 日本外交史硏究(幕末․維新時代)" 有斐閣 1960
4 이태진, "雲揚號 사건의 진상—사건 경위와 일본국기 게양설의 진위, In 朝鮮의 政治와 社會—崔承熙敎授 停年紀念 論文集" 集文堂 2002
5 "雲揚艦外一艘對州朝鮮海路廻航ノ儀屆, 公文錄"
6 "郵便報知新聞"
7 "郵便報知新聞"
8 田保橋潔, "近代日鮮關係の硏究" 朝鮮總督府中樞院 1940
9 由井正臣, "近代官僚制の成立過程, In 日本近代思想大系3—官僚制 警察" 岩波書店 1990
10 法學硏究所, "舊韓末 國際關係 史料集 4" 237-247,
11 高橋秀直, "江華條約と明治政府" 37 : 1998
12 金基赫, "江華島條約의 歷史的 背景과 國際的 環境" 25 : 1991
13 中塚明, "江華島事件はなぜ起きたのか, In 現代日本の歷史認識: その自覺せざる缺落を問う" 高文硏 173-, 2007
14 中塚明, "江華島事件はなぜ起きたのか, In 現代日本の歷史認識: その自覺せざる缺落を問う" 高文硏 2007
15 廣瀨靖子, "江華島事件の周邊, In 日本外交史の諸問題 Ⅲ" 有斐閣 1968
16 龜掛川博正, "江華島事件と‘日本側挑發說’批判" 149 : 2002
17 妻木忠太, "木戶孝允日記 제3" 234-, 1933
18 "木戶孝允日記"
19 "朝鮮理事誌"
20 "朝鮮理事誌"
21 "朝鮮國及び淸國への通告文に關するボアソナードの覺, In 伊藤博文文書 제1권 秘書類纂 朝鮮交涉 1" ゆまに書房 281-290, 2007
22 內田修道, "明治建白書集成 4" 筑摩書房 829-830, 1988
23 石井孝, "明治初期の日本と東アジア" 有隣堂 1982
24 石井孝, "明治初期の日本と東アジア" 有隣堂 315-, 1982
25 "日本外交文書 8"
26 坂野潤治, "征韓論爭後の‘內治派’と‘外征派’, In 近代日本の外交と政治" 硏文出版 283-285, 1985
27 坂野潤治, "征韓論爭後の‘內治派’と‘外征派’, In 近代日本の外交と政治" 硏文出版 1985
28 山田昭次, "征韓論․自由民權論․文明開化論" 7 : 1970
29 遠山茂樹, "征韓論·自由民權論·封建論" (143, 145) : 1950
30 芝原拓自, "對外觀とナショナリズム, In 對外觀—日本近代思想大系 12" 岩波書店 1988
31 芝原拓自, "對外觀" 岩波書店 321-322, 1988
32 "太政官日誌 明治八年 제88호"
33 德富猪一郞, "公爵山縣有朋傳 중권" 412-413, 1933
34 "元老院附錄"
35 東京大史料編纂所, "保古飛呂比 제6권" 東京大出版會 301-, 1975
36 伊藤博文關係文書硏究會, "伊藤博文關係文書 5" 塙書房 111-, 1977
37 春畝公追頌會, "伊藤博文傳 상권" 原書房 1970
38 井上馨侯傳記編纂會, "世外井上公傳 제2권" 583-682, 1933
39 石田徹, "‘非征韓論’再考" (66) : 2001
40 鈴木 淳, "‘雲揚’艦長井上良馨の明治八年九月二九日付け江華島事件報告書" 111 (111): 2002
41 KEY-HIUK KIM, "THE Last Phase of the East Asian World Order"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0
42 "Sir H. Parkes to the Earl of Derby, In BRITISH DOCUMENTS ON FOREIGN AFFAIRS, PART I, SERIES E, Vol. 2" 42-43,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일관계사학회 -> 한일관계사연구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5 | 1.5 | 1.3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7 | 1.09 | 1.872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