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재(再)-번역은 무엇인가 = What is re-transla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translation may vary depending on scope, context, historical situation, and era. Therefore, it has an uncertain aspect that cannot be defined on its own. This research aims to look at forms and features of re-translation as well as examine the necessity of re-translation. Revised edition, which is one of the most common forms of re-translation, includes a vast range of translation methods. In order to assess re-translation in consideration of relevant situation and context of a particular time, one must look at the entire area it intersects with double translation. This is because re-translation and double translation are intrinsically intertwined throughout the long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rough translated literature that experienced significant turning points, exchanging of texts and influences. A great number of Korean literature pieces have traces of “translation” in them. Re-translation is also closely related to creative writing. As an example, Haruki’s novel is a translation and at the same time carries uniqueness that is based on the “expansive” quality of re-translation. Re-translation is a task that demands extensive thinking and knowledge on what has already been translated, which is why Henri Meschonnic claims translation is inevitably retranslation. The necessity of re-translation is emphasized as a mother language changes and becomes outdated. Walter Benjamin finds the reason for re-translation in “how the original text survives.” According to Benjamin, the original texts whose survival hinges solely on translation bestows the validity of re-translation. Re-translation reveals yet again that all languages are a language of here and now that is worn down with various forms and kinds of translation, and thereby gains its alibi. Hwa-Young Kim accurately perceives that a mother language ages and this fact is the most significant basis for her re-translation of The Stranger. Kim’s re-translation expands the horizon of the Korean language as well as practices the translation ethics against domestication and annexation of translation. Each translation has historicity and can be a material that allows an insight into linguistic and cultural horizon as well as literary features. Re-translation shows, proves, and puts it to practice that the history of translation and the history of literature are not unrelated.
      번역하기

      Re-translation may vary depending on scope, context, historical situation, and era. Therefore, it has an uncertain aspect that cannot be defined on its own. This research aims to look at forms and features of re-translation as well as examine the nece...

      Re-translation may vary depending on scope, context, historical situation, and era. Therefore, it has an uncertain aspect that cannot be defined on its own. This research aims to look at forms and features of re-translation as well as examine the necessity of re-translation. Revised edition, which is one of the most common forms of re-translation, includes a vast range of translation methods. In order to assess re-translation in consideration of relevant situation and context of a particular time, one must look at the entire area it intersects with double translation. This is because re-translation and double translation are intrinsically intertwined throughout the long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rough translated literature that experienced significant turning points, exchanging of texts and influences. A great number of Korean literature pieces have traces of “translation” in them. Re-translation is also closely related to creative writing. As an example, Haruki’s novel is a translation and at the same time carries uniqueness that is based on the “expansive” quality of re-translation. Re-translation is a task that demands extensive thinking and knowledge on what has already been translated, which is why Henri Meschonnic claims translation is inevitably retranslation. The necessity of re-translation is emphasized as a mother language changes and becomes outdated. Walter Benjamin finds the reason for re-translation in “how the original text survives.” According to Benjamin, the original texts whose survival hinges solely on translation bestows the validity of re-translation. Re-translation reveals yet again that all languages are a language of here and now that is worn down with various forms and kinds of translation, and thereby gains its alibi. Hwa-Young Kim accurately perceives that a mother language ages and this fact is the most significant basis for her re-translation of The Stranger. Kim’s re-translation expands the horizon of the Korean language as well as practices the translation ethics against domestication and annexation of translation. Each translation has historicity and can be a material that allows an insight into linguistic and cultural horizon as well as literary features. Re-translation shows, proves, and puts it to practice that the history of translation and the history of literature are not unrela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재번역은 범주와 맥락, 역사적 상황과 시대에 따라 가변적이다. 따라서 독립된 상태에서 정의될 수 없는 불확정적인 성격을 지닌다. 본 연구는 재번역의 유형과 특성을 살피고, 나아가 재번역의 필요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가장 대표적인 재번역의 유형인 개정판에는 다양한 번역 방법론들이 산재해 있다. 특정 시기의 상황과 맥락을 고려하여 재번역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특히 중역과의 상관성 속에서 재번역의 지평이 형성되는 양상 전반을 살펴보아야 한다. 한국문학사 전반이 번역문학을 통해 커다란 전환점을 맞이한 시기, 텍스트의 교류와 영향 관계의 거대한 역사 전반에 중역과 재번역이 불가분의 관계를 맺으면서 매우 복잡하게 개입되어 있기 때문이다. 근대 한국문학작품 중 상당수는 그 내부에 ‘번역’의 흔적을 간직하고 있다. 재번역은 또한 창작과도 밀접히 연관된다. 예를 들어 하루키의 소설은 번역인 동시에 재번역의 ‘확장적’ 특성에 기대어 고유성을 창출한다. 재번역은 이미 번역되어 있는 모든 사유와 지식들을 총동원하는 작업이기에 앙리 메쇼닉은 번역이 필연적으로 재번역의 성격을 지닌다고 주장한다. 재번역의 필요성은 모국어의 변화와 노후에 의해 부각된다. 발터 벤야민은 재번역의 이유를 원본이 ‘살아남은 방식’에서 찾는다. 벤야민에 의하면 번역에 의해서만 가능성을 확보하는 원본의 생존 방식이 바로 재번역에 타당성을 부여한다. 재번역은 모든 언어가 다양한 형태, 다양한 종류의 번역으로 인해 닳고 닳아빠진 지금-여기의 언어라는 사실을 다시 한번 드러내고, 이러한 사실에서 알리바이를 얻어온다. 김화영은 모국어가 노후한다는 사실을 정확히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와 같은 사실을 그는 『이방인』 재번역의 가장 중요한 근거로 자리한다. 그의 재번역은 한국어의 지평을 넓히면서 원문의 자국화와 병합에 맞선 번역의 윤리를 실천한다. 각각의 번역은 각각의 역사성을 지니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 시대의 언어-문화적 지평과 문학적 특성을 탐구할 자료이다. 재번역은 번역의 역사가 문학의 역사와 별개가 아니라는 사실을 드러내며, 이를 입증하고, 나아가 실천의 반열 위에 올려놓는다.
      번역하기

      재번역은 범주와 맥락, 역사적 상황과 시대에 따라 가변적이다. 따라서 독립된 상태에서 정의될 수 없는 불확정적인 성격을 지닌다. 본 연구는 재번역의 유형과 특성을 살피고, 나아가 재번...

      재번역은 범주와 맥락, 역사적 상황과 시대에 따라 가변적이다. 따라서 독립된 상태에서 정의될 수 없는 불확정적인 성격을 지닌다. 본 연구는 재번역의 유형과 특성을 살피고, 나아가 재번역의 필요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가장 대표적인 재번역의 유형인 개정판에는 다양한 번역 방법론들이 산재해 있다. 특정 시기의 상황과 맥락을 고려하여 재번역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특히 중역과의 상관성 속에서 재번역의 지평이 형성되는 양상 전반을 살펴보아야 한다. 한국문학사 전반이 번역문학을 통해 커다란 전환점을 맞이한 시기, 텍스트의 교류와 영향 관계의 거대한 역사 전반에 중역과 재번역이 불가분의 관계를 맺으면서 매우 복잡하게 개입되어 있기 때문이다. 근대 한국문학작품 중 상당수는 그 내부에 ‘번역’의 흔적을 간직하고 있다. 재번역은 또한 창작과도 밀접히 연관된다. 예를 들어 하루키의 소설은 번역인 동시에 재번역의 ‘확장적’ 특성에 기대어 고유성을 창출한다. 재번역은 이미 번역되어 있는 모든 사유와 지식들을 총동원하는 작업이기에 앙리 메쇼닉은 번역이 필연적으로 재번역의 성격을 지닌다고 주장한다. 재번역의 필요성은 모국어의 변화와 노후에 의해 부각된다. 발터 벤야민은 재번역의 이유를 원본이 ‘살아남은 방식’에서 찾는다. 벤야민에 의하면 번역에 의해서만 가능성을 확보하는 원본의 생존 방식이 바로 재번역에 타당성을 부여한다. 재번역은 모든 언어가 다양한 형태, 다양한 종류의 번역으로 인해 닳고 닳아빠진 지금-여기의 언어라는 사실을 다시 한번 드러내고, 이러한 사실에서 알리바이를 얻어온다. 김화영은 모국어가 노후한다는 사실을 정확히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와 같은 사실을 그는 『이방인』 재번역의 가장 중요한 근거로 자리한다. 그의 재번역은 한국어의 지평을 넓히면서 원문의 자국화와 병합에 맞선 번역의 윤리를 실천한다. 각각의 번역은 각각의 역사성을 지니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 시대의 언어-문화적 지평과 문학적 특성을 탐구할 자료이다. 재번역은 번역의 역사가 문학의 역사와 별개가 아니라는 사실을 드러내며, 이를 입증하고, 나아가 실천의 반열 위에 올려놓는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 "현대 한국 문학의 이론 / 사회와 윤리 : 김현 문학전집 ②" 문학과지성사 1991

      2 김병익, "한국 문단사" 문학과지성사 2001

      3 페르난두 페소아, "페소아와 페소아들" 워크룸프레스 2014

      4 키타하라 하쿠슈, "키타하라 하쿠슈 시선" 민음사 1998

      5 앙드레 브르통, "초현실주의 선언" 미메시스 2012

      6 무라카미 하루키, "직업으로서의 소설가" 현대문학 2016

      7 유한내, "재번역을 재고하다: 결여 패러다임에서 다양성 패러다임으로" 한국번역학회 18 (18): 95-116, 2017

      8 임순정, "재번역본에 나타난 동질성과 이질성 ‘적과 흑’을 중심으로" 한국통번역교육학회 6 (6): 155-178, 2008

      9 알베르 카뮈, "이방인" 책세상 2015

      10 유길준, "서해견문" 한양출판 1995

      1 김현, "현대 한국 문학의 이론 / 사회와 윤리 : 김현 문학전집 ②" 문학과지성사 1991

      2 김병익, "한국 문단사" 문학과지성사 2001

      3 페르난두 페소아, "페소아와 페소아들" 워크룸프레스 2014

      4 키타하라 하쿠슈, "키타하라 하쿠슈 시선" 민음사 1998

      5 앙드레 브르통, "초현실주의 선언" 미메시스 2012

      6 무라카미 하루키, "직업으로서의 소설가" 현대문학 2016

      7 유한내, "재번역을 재고하다: 결여 패러다임에서 다양성 패러다임으로" 한국번역학회 18 (18): 95-116, 2017

      8 임순정, "재번역본에 나타난 동질성과 이질성 ‘적과 흑’을 중심으로" 한국통번역교육학회 6 (6): 155-178, 2008

      9 알베르 카뮈, "이방인" 책세상 2015

      10 유길준, "서해견문" 한양출판 1995

      11 페르난두 페소아, "불안의 글" 봄날의책 2015

      12 샤를 피에르 보들레르, "보들레르 시전집" 민음사 1995

      13 조재룡, "번역하는 문장들" 문학과지성사 2015

      14 조재룡, "번역의 유령들" 문학과지성사 2011

      15 조재룡, "번역의 역설—번역을 둘러싼 네 가지 오해" 2017

      16 황현산, "번역의 문화, 문화의 번역" 한국문화예술위원회 324 : 2007

      17 발터 벤야민, "번역비평" 고려대학교출판부 2007

      18 다카하시 오사무, "문명개화와 일본 근대 문학" 웅진지식하우스 2011

      19 김화영, "김화영의 번역수첩" 문학동네 2015

      20 김병철, "韓國現代飜譯文學史硏究(上)" 을유문화사 1998

      21 Meschonnic, Henri, "Éthique et politique du traduire" Verdier 2007

      22 Collombat, Isabelle, "Pseudo-traduction : la mise en scène de l’altérité" 38 (38): 2003

      23 Meschonnic, Henri, "Poétique du traduire" Verdier 1999

      24 Berman, Antoine, "Pour une critique des traductions : John Donne" Gallimard 1995

      25 Meschonnic, Henri, "Pour la poétique, tome II : Épistémologie de l’écriture, Poétique de la traduction" Gallimard 1973

      26 Camus, Albert, "L’Étranger" Gallimard 1942

      27 Berman, Antoine, "L’Épreuve de l’étranger. Culture et traduction dans l’Allemagne romantique" Gallimard 1984

      28 Baudelaire, Charles, "Les Fleurs du Mal(Édition de 1861. Texte présenté, établi et annoté par Claude Pichois)" Gallimard 1861

      29 Gambier, Yves, "La retraduction, retour et détour" 39 (39): 1994

      30 Skibińska, Elżbieta, "La retraduction, manifestation de la subjectivité du traducteur" (1) : 2007

      31 Berman, Antoine, "La retraduction comme espace de la traduction" (4) : 1990

      32 Berman, Antoine, "La Traduction et la Lettre ou l’auberge du lointain" Seuil 1999

      33 Ricoeur, Paul, "Cultures, du deuil à la traduction" Le Mond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6-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민족문화추진회 -> 한국고전번역원
      영문명 : Korean Classics Research Institute -> Institute Translation of Korea Classics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63 1.54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