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인자녀 주거비 지원에 대한 부모세대의 경험과 인식 = Parents’ Experiences and Perception of Supporting Adult Children’s Housing Expen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272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lluminated the housing cost problem of young people from the perspective of their parents’ generation, and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 youth housing problem on the economic conditions and preparation for retirement of the parents generation. In February and March 2021,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o 500 parents who have provided housing support to their 20-39 year-old unmarried children.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It was found that 36% or more of the respondents spent 100 million KRW or more to support their children’s housing expenses. (2) To support children’s housing expenses, 39.8% had to cut other expenses, 31.2% took out loans from financial institutions, and/or 27.6% disposed assets. (3) More than 32% expected that they would have to support their children’s housing expenses for two more years or more. (4) More than 68% perceived that the housing cost support for their children was burdensome, and more than 67% responded that the support for the children’s housing cost had an effect on their preparation for later life. The findings imply that the housing policy for youth can also affect their parent generation’s preparation for old age, and furthermore, the elderly housing problems.
      번역하기

      This study illuminated the housing cost problem of young people from the perspective of their parents’ generation, and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 youth housing problem on the economic conditions and preparation for retirement of the parents gener...

      This study illuminated the housing cost problem of young people from the perspective of their parents’ generation, and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 youth housing problem on the economic conditions and preparation for retirement of the parents generation. In February and March 2021,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o 500 parents who have provided housing support to their 20-39 year-old unmarried children.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It was found that 36% or more of the respondents spent 100 million KRW or more to support their children’s housing expenses. (2) To support children’s housing expenses, 39.8% had to cut other expenses, 31.2% took out loans from financial institutions, and/or 27.6% disposed assets. (3) More than 32% expected that they would have to support their children’s housing expenses for two more years or more. (4) More than 68% perceived that the housing cost support for their children was burdensome, and more than 67% responded that the support for the children’s housing cost had an effect on their preparation for later life. The findings imply that the housing policy for youth can also affect their parent generation’s preparation for old age, and furthermore, the elderly housing proble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의 정서상 청년의 주거비 문제는 그들의 부모에게 쉽게 전가가 되어 부모세대에게 경제적 부담을 주고 이들의 노후대비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일이 많다. 본 연구는 청년 주거문제를 부모세대의 관점에서 조명하여 청년과 부모세대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청년 주거정책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2021년 2월 25일부터 3월 8일까지 학생이 아닌 미혼의 20-39세(조사시점 기준 1982∼2001년 출생) 자녀를 둔 부모 중 이들에게 독립주거비를 지원해 준 경험이 있는 부모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500부의 유효응답을 수집하였으며 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응답자 중 51.8%는 여성이었으며, 평균 연나이는 54.6세(최소 41세, 최대 63세)이었다. 78.2%가 대졸 이상의 학력자였고, 23.4%는 현재 전월세 등 임차로 거주하고 있었다. 평균 자녀 수는 2.0명(최소 1명, 최대 5명)이었다. (2) 학생이 아닌 미혼 20-39세 자녀 1명에게 독립거주 주거비를 지원해 준 경험이 있는 경우가 444명(88.8%)으로 가장 많았으며, 2명을 지원해 준 경험이 있는 자는 53명(10.6%), 3명까지 지원해 준 경험이 있는 자는 3명(0.6%)이었다. (3) 독립한 자녀에게 주거비를 지원해 준 총 기간은 2년 미만이 49.0%, 2년 이상 4년 미만이 29.0%, 6년 미만이 11.8%였으며, 6년 이상 지원한 응답자도 10.2% 나타났다. 자녀에게 지원해준 주거비 합산금액은 5천만 원 이상 1억 원 이하가 25.2%로 가장 빈도가 높았으며, 3천만 원 이상 5천만 원 미만이 20.2%였다. (4) 주거비 지원 용도는 임차 보증금(61.4%)이 가장 많았으며, 월세(45.0%), 관리비, 공공요금 등(22.4%), 기숙사비(20.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주택 구입자금이나 보증금, 월세 등의 대출금 상환을 지원해 준 경우도 나타났다. (5) 지금까지 자녀의 주거비를 지원하기 위하여 다른 부분의 지출을 감축하거나(39.8%), 금융기관의 대출을 받거나(31.2%), 자산을 처분하거나(27.6%), 경제적 활동을 늘리는 등(12.8%)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값이 저렴한 타지역으로 이사하거나(7.8%), 집의 규모를 줄여서 이사(3.8%), 주호 내 일부 공간(방 1칸 등)을 타인에게 임대하는 등(1.2%) 하향 주거조절을 경험한 경우도 있었다. (6) 성인자녀의 주거비 지원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68% 이상이 자녀 주거비 지원이 부담된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67% 이상이 자녀 주거비 지원이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하여 청년 주거비 부담이 부모에게 상당한 부담으로 전가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7) 응답자의 32% 이상이 앞으로도 2년 이상 더 자녀의 주거비를 지원해야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청년 주거비 문제가 부모세대에게 심각한 부담으로 전가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부모세대의 하향 주거조절까지 야기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청년 주거문제가 부모세대의 노후 주거문제로 비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응답자의 23.4%가 전월세 임차가구인 점을 고려할 때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청년 주거문제를 접근할 때, 청년 스스로의 시각뿐만 아니라 이들을 경제적으로 지원하는 부모세대의 관점이 함께 고려되어야 하며, 더 적극적으로 청년의 독립 주거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현실적 지원정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우리나라의 정서상 청년의 주거비 문제는 그들의 부모에게 쉽게 전가가 되어 부모세대에게 경제적 부담을 주고 이들의 노후대비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일이 많다. 본 연구는 청년 주거문...

      우리나라의 정서상 청년의 주거비 문제는 그들의 부모에게 쉽게 전가가 되어 부모세대에게 경제적 부담을 주고 이들의 노후대비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일이 많다. 본 연구는 청년 주거문제를 부모세대의 관점에서 조명하여 청년과 부모세대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청년 주거정책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2021년 2월 25일부터 3월 8일까지 학생이 아닌 미혼의 20-39세(조사시점 기준 1982∼2001년 출생) 자녀를 둔 부모 중 이들에게 독립주거비를 지원해 준 경험이 있는 부모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500부의 유효응답을 수집하였으며 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응답자 중 51.8%는 여성이었으며, 평균 연나이는 54.6세(최소 41세, 최대 63세)이었다. 78.2%가 대졸 이상의 학력자였고, 23.4%는 현재 전월세 등 임차로 거주하고 있었다. 평균 자녀 수는 2.0명(최소 1명, 최대 5명)이었다. (2) 학생이 아닌 미혼 20-39세 자녀 1명에게 독립거주 주거비를 지원해 준 경험이 있는 경우가 444명(88.8%)으로 가장 많았으며, 2명을 지원해 준 경험이 있는 자는 53명(10.6%), 3명까지 지원해 준 경험이 있는 자는 3명(0.6%)이었다. (3) 독립한 자녀에게 주거비를 지원해 준 총 기간은 2년 미만이 49.0%, 2년 이상 4년 미만이 29.0%, 6년 미만이 11.8%였으며, 6년 이상 지원한 응답자도 10.2% 나타났다. 자녀에게 지원해준 주거비 합산금액은 5천만 원 이상 1억 원 이하가 25.2%로 가장 빈도가 높았으며, 3천만 원 이상 5천만 원 미만이 20.2%였다. (4) 주거비 지원 용도는 임차 보증금(61.4%)이 가장 많았으며, 월세(45.0%), 관리비, 공공요금 등(22.4%), 기숙사비(20.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주택 구입자금이나 보증금, 월세 등의 대출금 상환을 지원해 준 경우도 나타났다. (5) 지금까지 자녀의 주거비를 지원하기 위하여 다른 부분의 지출을 감축하거나(39.8%), 금융기관의 대출을 받거나(31.2%), 자산을 처분하거나(27.6%), 경제적 활동을 늘리는 등(12.8%)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값이 저렴한 타지역으로 이사하거나(7.8%), 집의 규모를 줄여서 이사(3.8%), 주호 내 일부 공간(방 1칸 등)을 타인에게 임대하는 등(1.2%) 하향 주거조절을 경험한 경우도 있었다. (6) 성인자녀의 주거비 지원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68% 이상이 자녀 주거비 지원이 부담된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67% 이상이 자녀 주거비 지원이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하여 청년 주거비 부담이 부모에게 상당한 부담으로 전가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7) 응답자의 32% 이상이 앞으로도 2년 이상 더 자녀의 주거비를 지원해야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청년 주거비 문제가 부모세대에게 심각한 부담으로 전가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부모세대의 하향 주거조절까지 야기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청년 주거문제가 부모세대의 노후 주거문제로 비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응답자의 23.4%가 전월세 임차가구인 점을 고려할 때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청년 주거문제를 접근할 때, 청년 스스로의 시각뿐만 아니라 이들을 경제적으로 지원하는 부모세대의 관점이 함께 고려되어야 하며, 더 적극적으로 청년의 독립 주거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현실적 지원정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혜은 ; 정소현 ; 이강민 ; 황지혜 ; 이현정, "청년의 부모의존동거에 대한 청년과 부모세대의 경험과 인식" 한국생활과학회 30 (30): 1017-1029, 2021

      2 정의철, "주거비용이 청년층의 가구형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8 (18): 19-31, 2012

      3 배호중, "주거비 부담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2000년 이후 혼인가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50 (50): 35-70, 2019

      4 엄다원 ; 홍경준, "주거비 부담이 결혼 이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6 (46): 33-61, 2019

      5 이현정, "수도권 사회진출초기 임차자의 주거비 실태" 한국주거학회 26 (26): 71-79, 2015

      6 정관석 ; 이재우, "부모의 경제적 지원과 주택자금대출이 신혼부부의 주택점유형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부동산연구원 28 (28): 7-22, 2018

      7 이소영 ; 이창무, "부모의 경제력이 청년층 임차가구의 주거사다리 이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5 (25): 85-102, 2019

      8 김진영 ; 이현정, "독립한 자녀의 주거비 지원에 대한 부모세대의 경험 및 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31 (31): 99-107, 2020

      9 Jeon, S. G., "The effect of residential environment on life satisfaction of youth householder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economic support of parents" Pusan National University 2021

      10 Kim, Y., "The diversification of family structure and the role of families and governments in family support"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5

      1 김혜은 ; 정소현 ; 이강민 ; 황지혜 ; 이현정, "청년의 부모의존동거에 대한 청년과 부모세대의 경험과 인식" 한국생활과학회 30 (30): 1017-1029, 2021

      2 정의철, "주거비용이 청년층의 가구형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8 (18): 19-31, 2012

      3 배호중, "주거비 부담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2000년 이후 혼인가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50 (50): 35-70, 2019

      4 엄다원 ; 홍경준, "주거비 부담이 결혼 이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6 (46): 33-61, 2019

      5 이현정, "수도권 사회진출초기 임차자의 주거비 실태" 한국주거학회 26 (26): 71-79, 2015

      6 정관석 ; 이재우, "부모의 경제적 지원과 주택자금대출이 신혼부부의 주택점유형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부동산연구원 28 (28): 7-22, 2018

      7 이소영 ; 이창무, "부모의 경제력이 청년층 임차가구의 주거사다리 이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5 (25): 85-102, 2019

      8 김진영 ; 이현정, "독립한 자녀의 주거비 지원에 대한 부모세대의 경험 및 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31 (31): 99-107, 2020

      9 Jeon, S. G., "The effect of residential environment on life satisfaction of youth householder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economic support of parents" Pusan National University 2021

      10 Kim, Y., "The diversification of family structure and the role of families and governments in family support"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5

      1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2nd Comprehensive Basic Livelihood Security Plan (2021- 2023)[제2차 기초생활보장 종합계획(2021~20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 Ministry of Education 2020

      12 Kim, Y. R., "Study on transition into adulthood by family class: Focusing on policy implications"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17

      13 Lee S., "Monitoring public awareness and needs for responding to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8

      14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Korea housing survey 2019: Research repor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9

      15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Korea Housing Survey 2020: (General household) research repor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20

      16 Park, M. S., "Changes in residential conditions and their implications considering the diversity of young households [청년가구의 다양성을 고려한 주거여건 변화와 시사점]" 35-46, 2022

      17 문소희 ; 이현정, "2014년도 주거실태조사에 나타난 청년 1인 임차가구의 가족 지원 및 주거비 부담에 따른 주거 실태 및 주거 기대" 한국주거학회 28 (28): 11-22,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