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파워먼트, 감염관리 조직문화, 감염관리 인지도가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Empowerment, Infection Control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fection Control Awareness on Performance among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544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mpowerment, infection control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fection control awareness on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among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Methods: A descriptive survey study was conducted with 125 nurses as subjects who had been working for at least six months in four long-term care hospitals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Gyeongsangnam-do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30 to October 28, 2021 and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26.0.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empowerment (r=.36, p<.001), infection control organizational culture (r=.51, p<.001), and infection control awareness (r=.75, p<.001).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revealed that the most powerful predictor was infection control awareness (β=.70, p<.001). Empowerment, infection control awareness and awareness of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explained approximately 60.0% of the variance in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Conclusion: Findings indicated that various factors are related to the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among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programs to enhance empowerment and infection control awareness are needed in order to improve the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번역하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mpowerment, infection control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fection control awareness on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among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Methods: A descriptive...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mpowerment, infection control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fection control awareness on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among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Methods: A descriptive survey study was conducted with 125 nurses as subjects who had been working for at least six months in four long-term care hospitals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Gyeongsangnam-do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30 to October 28, 2021 and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26.0.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empowerment (r=.36, p<.001), infection control organizational culture (r=.51, p<.001), and infection control awareness (r=.75, p<.001).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revealed that the most powerful predictor was infection control awareness (β=.70, p<.001). Empowerment, infection control awareness and awareness of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explained approximately 60.0% of the variance in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Conclusion: Findings indicated that various factors are related to the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among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programs to enhance empowerment and infection control awareness are needed in order to improve the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파워먼트, 감염관리 조직문화, 감염관리 인지도가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소재 4개 요양병원에 6개월 이상 근무 중인 간호사 125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자료수집은 2021년 9월 30일부터 10월 28일까지 수행되었으며, IBM SPSS/WIN 26.0 프로그램으로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결과: 감염관리 수행도는 임파워먼트(r=.36, p<.001), 감염관리 조직문화(r=.51, p<.001), 감염관리 인지도(r=.75, p<.001)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감염관리 인지도(β=.70, p<.001)가 가장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감염관리 수행도에 대한 임파워먼트, 감염관리 인지도, 감염관리지침 인지 여부 변수의 설명력은 60.0%였다. 결론: 연구결과는 다양한 요인이 요양병원 간호사의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추후 요양병원 간호사의 감염관리 수행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임파워먼트와 감염관리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파워먼트, 감염관리 조직문화, 감염관리 인지도가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소재 4...

      목적: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파워먼트, 감염관리 조직문화, 감염관리 인지도가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소재 4개 요양병원에 6개월 이상 근무 중인 간호사 125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자료수집은 2021년 9월 30일부터 10월 28일까지 수행되었으며, IBM SPSS/WIN 26.0 프로그램으로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결과: 감염관리 수행도는 임파워먼트(r=.36, p<.001), 감염관리 조직문화(r=.51, p<.001), 감염관리 인지도(r=.75, p<.001)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감염관리 인지도(β=.70, p<.001)가 가장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감염관리 수행도에 대한 임파워먼트, 감염관리 인지도, 감염관리지침 인지 여부 변수의 설명력은 60.0%였다. 결론: 연구결과는 다양한 요인이 요양병원 간호사의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추후 요양병원 간호사의 감염관리 수행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임파워먼트와 감염관리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두리 ; 이미향,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사태를 통한 노인장기요양시설의 감염관리 개선 방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9 (29): 202-207, 2020

      2 배선식 ; 정진경, "직무특성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8 (8): 497-506, 2015

      3 박효진 ; 이윤미, "중환자실 간호사의 호흡기계 병원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자료분석학회 15 (15): 949-963, 2013

      4 이선주 ; 양남영, "중환자실 간호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의료관련감염 관리의 인지도 및 수행도" 한국가정간호학회 24 (24): 306-315, 2017

      5 이미향 ; 김재연, "중소병원 대상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9 (19): 159-166, 2021

      6 윤종미 ; 성미혜, "응급실 간호사의 임파워먼트와 감염관리 수행도의 관계" 기본간호학회 16 (16): 412-420, 2009

      7 김현희 ; 박형란, "응급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조직문화와 자기효능감이 표준주의 지침 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초간호학회 21 (21): 46-53, 2019

      8 이미영 ; 박진희, "응급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조직문화, 감염관리 인지도와 감염관리 수행도" 기본간호학회 28 (28): 186-194, 2021

      9 이혜진 ; 김계하, "요양병원과 종합병원 간호사의 노인전문간호사에 대한 역할기대와 노인전문간호 수행 정도 비교" 한국성인간호학회 26 (26): 642-652, 2014

      10 김경숙 ; 박희옥, "요양병원 간호사의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 한국노인간호학회 18 (18): 32-40, 2016

      1 김두리 ; 이미향,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사태를 통한 노인장기요양시설의 감염관리 개선 방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9 (29): 202-207, 2020

      2 배선식 ; 정진경, "직무특성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8 (8): 497-506, 2015

      3 박효진 ; 이윤미, "중환자실 간호사의 호흡기계 병원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자료분석학회 15 (15): 949-963, 2013

      4 이선주 ; 양남영, "중환자실 간호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의료관련감염 관리의 인지도 및 수행도" 한국가정간호학회 24 (24): 306-315, 2017

      5 이미향 ; 김재연, "중소병원 대상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9 (19): 159-166, 2021

      6 윤종미 ; 성미혜, "응급실 간호사의 임파워먼트와 감염관리 수행도의 관계" 기본간호학회 16 (16): 412-420, 2009

      7 김현희 ; 박형란, "응급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조직문화와 자기효능감이 표준주의 지침 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초간호학회 21 (21): 46-53, 2019

      8 이미영 ; 박진희, "응급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조직문화, 감염관리 인지도와 감염관리 수행도" 기본간호학회 28 (28): 186-194, 2021

      9 이혜진 ; 김계하, "요양병원과 종합병원 간호사의 노인전문간호사에 대한 역할기대와 노인전문간호 수행 정도 비교" 한국성인간호학회 26 (26): 642-652, 2014

      10 김경숙 ; 박희옥, "요양병원 간호사의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 한국노인간호학회 18 (18): 32-40, 2016

      11 정하윤 ; 정윤경, "요양병원 간호사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도" 보건의료산업학회 7 (7): 131-141, 2013

      12 박광식 ; 홍재원, "기내 서비스와 추천에 있어 가성비의 조절효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57-66, 2017

      13 장인숙 ; 박명화, "간호학생을 위한 격리실-시뮬레이션 기반 감염관리 교육의 효과" 간호행정학회 27 (27): 379-389, 2021

      14 유수정 ; 하원춘 ; 박영미 ; 하윤옥 ; 배경희, "간호사의 의료폐기물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에 관한 연구 (부산, 경남지역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보건의료산업학회 11 (11): 79-89, 2017

      15 정연옥 ; 이용환 ; 유병철, "간호사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 수행도와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관계"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23 (23): 85-91, 2008

      16 이지현 ; 이가언, "간호사 확보에 따른 노인요양병원 간호인력의 병원감염관리 인지도 및 실천도"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1 (21): 308-316, 2012

      17 Moon JE, "The performance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guideline among hospital nurses : A structural equation model" 47 (47): 648-657, 2018

      18 Beggs CB, "The influence of nurse cohorting on hand hygiene effectiveness" 34 (34): 621-626, 2006

      19 Gu BD, "The effects to transformation leadership and paternalistic leadership on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1999

      20 Takahashi I, "The current status of hand washing and glove use among care staffin Japan : Its association with the education, knowledge, and attitudes of staff, and infection control by facilities" 14 (14): 336-344, 2009

      21 Spreitzer GM,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place :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38 (38): 1442-1465, 1995

      22 De Bono S, "Organizational culture and its implications for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in healthcare institutions" 86 (86): 1-6, 2014

      23 Kaur J, "Influence of staffinfection control training on infectionrelated quality measures in US nursing homes" 45 (45): 1035-1040, 2017

      24 Sarma JB, "Infection control with limited resources : Why and how to make it possible?" 28 (28): 11-16, 2010

      25 Faul F, "G*Power 3 :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39 (39): 175-191, 2007

      26 McMichael TM, "Epidemiology of Covid-19 in a long-term care facility in King County, Washington" 382 (382): 2005-2011, 2020

      27 Kim BH, "A study on the degrees of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the hospital infection control among clinical nurses in a middle-sized and in a small-sized hospital" Yonsei University 2004

      28 Park HH, "A structural model of nurses'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Eulji University 2013

      29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2020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30 Statistics Korea, "2020 Population projection" Statistics Korea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4-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Clinical Nursing Research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7-3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임상간호사회 -> 병원간호사회
      영문명 : 미등록 -> Hospital Nurses Association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등록 한글명 : 임상간호연구
      외국어명 : Clinical Nursing Research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4 1.04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4 1.23 1.94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