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형 학습장애 진단 모형 탐색 연구: 불일치 모형 비교를 위한 인지능력-학업성취 검사 체계 및 중재 전략 개발(결과보고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212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3년에 걸쳐 다음과 같은 주제로 진행되었다.
      1.학습장애의 진단을 위한 불일치 판별모델: 개관과 전망.
      연구는 학습장애진단을 위해서 활용되어지고 있는 여러 가지 불일치모델에 대하여 선행연구를 통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대표적인 불일치 모형인 지능-성취 불일치 모델(개인내 불일치 모델), 저성취 모델(개인간 불일치 모델), 이중불일치 모델 등에 대한 논의들을 종합 정리하였다. 현 단계에서 볼 때 각 모델간에는 각각의 장단점이 존재한다. 국내에서도 이런 각 모델 간에 장단점을 고려하여 보다 체계적인 학습장애 진단 모델을 설정하고 진단모델에 따른 출현율 조사가 조속히 이루어져야 한다
      2.회귀불일치 모델과 국가규준 저성취 모델에 의한 학습장애 진단 일관성 비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학생을 대상으로 대표적인 능력-성취 불일치 모델인 회귀불일치 모델과 대표적인 심각한 저성취 모델인 국가규준 저성취 모델을 통해서 학습장애 출현율을 조사하고, 각 모델별 진단 일관성을 비교하고, 진단에 있어 각 모델간의 일치와 차이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어떤 모델도 50%이상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못했다. 그리고 두 모델 간에 학습장애 진단 일치 비율은 매우 낮았다. 결과적으로 주요 불일치 모델에 의한 학습장애 진단은 진단 일관성이 낮고 모델간에도 일치비율이 매우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학습장애 진단의 대안적 접근으로 논의되고 있는 중재반응모델의 타당성을 일부 지지한다.
      3.메타분석에 기초한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적 구성 탐색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 적용 효과를 하위 구조로 나눠 메타분석 기법으로 종합하고 보다 효과적인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지침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교수-학습 일반모형 및 자기조절학습 구조 모형에 기초해 프로그램의 구성 관련 요소를 적용 영역(인지적 영역, 행동적 영역, 정의적 영역, 학업성취 영역), 학습자 특성(학교 급, 학업수준), 과제특성(적용과목), 수업처치(적용기간, 회기 시간, 회기 수, 매체활용) 별로 구분하여 하위 범주별 효과크기와 범주 간 효과크기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1990년 이후 발행된 국내 학위 및 학술지 논문 37편을 분석해 89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73(U3=76.73%)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3년에 걸쳐 다음과 같은 주제로 진행되었다. 1.학습장애의 진단을 위한 불일치 판별모델: 개관과 전망. 연구는 학습장애진단을 위해서 활용되어지고 있는 ...

      본 연구는 3년에 걸쳐 다음과 같은 주제로 진행되었다.
      1.학습장애의 진단을 위한 불일치 판별모델: 개관과 전망.
      연구는 학습장애진단을 위해서 활용되어지고 있는 여러 가지 불일치모델에 대하여 선행연구를 통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대표적인 불일치 모형인 지능-성취 불일치 모델(개인내 불일치 모델), 저성취 모델(개인간 불일치 모델), 이중불일치 모델 등에 대한 논의들을 종합 정리하였다. 현 단계에서 볼 때 각 모델간에는 각각의 장단점이 존재한다. 국내에서도 이런 각 모델 간에 장단점을 고려하여 보다 체계적인 학습장애 진단 모델을 설정하고 진단모델에 따른 출현율 조사가 조속히 이루어져야 한다
      2.회귀불일치 모델과 국가규준 저성취 모델에 의한 학습장애 진단 일관성 비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학생을 대상으로 대표적인 능력-성취 불일치 모델인 회귀불일치 모델과 대표적인 심각한 저성취 모델인 국가규준 저성취 모델을 통해서 학습장애 출현율을 조사하고, 각 모델별 진단 일관성을 비교하고, 진단에 있어 각 모델간의 일치와 차이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어떤 모델도 50%이상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못했다. 그리고 두 모델 간에 학습장애 진단 일치 비율은 매우 낮았다. 결과적으로 주요 불일치 모델에 의한 학습장애 진단은 진단 일관성이 낮고 모델간에도 일치비율이 매우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학습장애 진단의 대안적 접근으로 논의되고 있는 중재반응모델의 타당성을 일부 지지한다.
      3.메타분석에 기초한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적 구성 탐색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 적용 효과를 하위 구조로 나눠 메타분석 기법으로 종합하고 보다 효과적인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지침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교수-학습 일반모형 및 자기조절학습 구조 모형에 기초해 프로그램의 구성 관련 요소를 적용 영역(인지적 영역, 행동적 영역, 정의적 영역, 학업성취 영역), 학습자 특성(학교 급, 학업수준), 과제특성(적용과목), 수업처치(적용기간, 회기 시간, 회기 수, 매체활용) 별로 구분하여 하위 범주별 효과크기와 범주 간 효과크기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1990년 이후 발행된 국내 학위 및 학술지 논문 37편을 분석해 89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73(U3=76.73%)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screpanc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facing the field of learning disabilities (LD).It means that LD is based on "a severe discrepancy between achievement and intellectual ability." Thus, in practice, the definition suggests that intelligence and achievement tests are necessary to identify LD. Although test scores are not the sole basis for eligibility as LD in IDEA, a typical assessment in the schools almost always includes IQ tests and achievement tests. Two of the more commonly used models of severe discrepancy are regression discrepancy model(RDM), and absolute achievement discrepancy model(AADM). However, There were very few Korean studies focusing the discrepancy of LD, which just reviewed and introduced several research papers in US. This study intended to comparing Identification Consistency of discrepancy models for identifying L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revealed that prevalence of RDM was ranged from 5.9% to19.4%; AADM,1.9% to17.2%. Second, the ratio of agreement between first test and second test in RDM were ranged from 9.48% to 25.98% in AADM,17.86% to 41.89%.Third, the ratio of agreement between RDM and AADM were ranged from 0.85% to 11.7%.
      번역하기

      Discrepanc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facing the field of learning disabilities (LD).It means that LD is based on "a severe discrepancy between achievement and intellectual ability." Thus, in practice, the definition suggests that intelligen...

      Discrepanc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facing the field of learning disabilities (LD).It means that LD is based on "a severe discrepancy between achievement and intellectual ability." Thus, in practice, the definition suggests that intelligence and achievement tests are necessary to identify LD. Although test scores are not the sole basis for eligibility as LD in IDEA, a typical assessment in the schools almost always includes IQ tests and achievement tests. Two of the more commonly used models of severe discrepancy are regression discrepancy model(RDM), and absolute achievement discrepancy model(AADM). However, There were very few Korean studies focusing the discrepancy of LD, which just reviewed and introduced several research papers in US. This study intended to comparing Identification Consistency of discrepancy models for identifying L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revealed that prevalence of RDM was ranged from 5.9% to19.4%; AADM,1.9% to17.2%. Second, the ratio of agreement between first test and second test in RDM were ranged from 9.48% to 25.98% in AADM,17.86% to 41.89%.Third, the ratio of agreement between RDM and AADM were ranged from 0.85% to 11.7%.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05년도 연구수행내용
      1.연구목적 및 배경
      가.총괄목표
      나.1년차 목표
      다.2년차 목표
      라.3년차 목표
      2.연구수행내용(2년차)
      3.연구결과 발표내용
      회귀불일치 모델과 국가규준 저성취 모델에 의한 학습장애 진단 일관성 비교
      Ⅰ.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이론적 배경
      1.회귀 불일치 모델
      2.국가규준 저성취 모델
      Ⅲ.연구방법
      1.연구대상
      2.측정도구
      3.분석방법
      Ⅳ.연구결과
      1.회귀 불일치 모델과 국가규준 저성취 모델의 출현율 조사 결과
      2.회귀 불일치 모델과 국가규준 저성취 모델별 진단 일관성
      3.회귀 불일치 모델과 국가규준 저성취 모델간에 진단의 일치와 차이
      Ⅴ.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차년도 연구계획
      1.연구목표
      2.연구체계 및 방법 (3차년도)
      가.전체 연구체계 및 방법
      나.3차년도 연구수행내용
      3.연구결과의 활용방안
      <참고문헌>
      2006년도 연구비 집행 현황
      번역하기

      2005년도 연구수행내용 1.연구목적 및 배경 가.총괄목표 나.1년차 목표 다.2년차 목표 라.3년차 목표 2.연구수행내용(2년차) ...

      2005년도 연구수행내용
      1.연구목적 및 배경
      가.총괄목표
      나.1년차 목표
      다.2년차 목표
      라.3년차 목표
      2.연구수행내용(2년차)
      3.연구결과 발표내용
      회귀불일치 모델과 국가규준 저성취 모델에 의한 학습장애 진단 일관성 비교
      Ⅰ.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이론적 배경
      1.회귀 불일치 모델
      2.국가규준 저성취 모델
      Ⅲ.연구방법
      1.연구대상
      2.측정도구
      3.분석방법
      Ⅳ.연구결과
      1.회귀 불일치 모델과 국가규준 저성취 모델의 출현율 조사 결과
      2.회귀 불일치 모델과 국가규준 저성취 모델별 진단 일관성
      3.회귀 불일치 모델과 국가규준 저성취 모델간에 진단의 일치와 차이
      Ⅴ.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차년도 연구계획
      1.연구목표
      2.연구체계 및 방법 (3차년도)
      가.전체 연구체계 및 방법
      나.3차년도 연구수행내용
      3.연구결과의 활용방안
      <참고문헌>
      2006년도 연구비 집행 현황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