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심리동사구문의 통사적 특징을 최소주의 이론 (Chornsky 1995)의 틀 안에서 분석하고 있다. 영어의 심리동사구문은 fear류와 frighten류 두 가지로 분류되고 있다. fear류의 경우는 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2097272
Kwon, Ki-Yang (부산외국어대학교 서양어대학 영어과)
1998
English
331.5
학술저널
193-207(1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심리동사구문의 통사적 특징을 최소주의 이론 (Chornsky 1995)의 틀 안에서 분석하고 있다. 영어의 심리동사구문은 fear류와 frighten류 두 가지로 분류되고 있다. fear류의 경우는 표...
본 논문에서는 심리동사구문의 통사적 특징을 최소주의 이론 (Chornsky 1995)의 틀 안에서 분석하고 있다. 영어의 심리동사구문은 fear류와 frighten류 두 가지로 분류되고 있다. fear류의 경우는 표면형에서 경험자 논항이 주어로, 주제논항이 목적어로 실현되는 반면에, frighten류의 경우는 표면형 에서 주제논항이 주어로, 경험자 논항이 목적어로 실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frighten류의 경우에는 결속현상과 관련하여 표면형에세 선행사가 조응사 뒤에 나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심리동사구문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Belletti and Rizzi(1988)의 아이디어를 받아들여 fear류의 심리동사구문은 단순한 타동사 구조를 기저구조로 가지고, frighten류의 경우는 VP-shell구조를 가진다고 주장한다. 즉 두 부류의 심리동사구문에서는 경험자 논항이 주어 자리에 실현되고, 주제 논항이 동사의 보어자리에 실현된다 fear류의 심리동사구문에서는 이러한 구조가 그대로 표면형으로 실현되어, 경험자-동사-주제의 어순을 가지게 되고, frighten류의 심리동사구문에서는 동사인상이 일어나 동사의 보어 자리의 논항이 표면형의 주어자리로 이동하여 fear류와는 다른 표면형의 어순이 도출된다.
한편 동사이동의 근거와 관련하여 양동휘(1993)의 주장을 받아들여, fear류의 심리동사는 어휘부에서 각각 하나의 외부논항과 내부논항을 갖는 데 반하여, frighten류의 경우는 외부논항은 가지지 않고 두 개의 내부논항을 갖는다고 주장한다. 또한 Hale and Keyser (1992)의 주장을 받아들여 의미역의 할당은 어휘부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X'-구조속에서 실현된다고 주장한다. 그리하여 frighten류의 심리동사구문에서 제안한 동사의 이동은 frighten류의 어휘적 특성 즉 외부논항은 가지지 않고 두 개의 내부논항을 갖는 특징과 frighten류 심리등사구문의 causative relation의 실현을 위해 일어난다고 주장한다. 또한 frighten류의 심리동사구문에서 나타나는 결속현상의 특이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Chomsky (1995)의 주장을 받아들여 결속조건을 LF상의 의미해석원리로 가정한다. 그리하여 frighten류의 심리동사구문에서 일어나는 backward binding현상은 선행사와 조응사간의 결속관계가 LF의 복사흔적에서 적용된다는 것을 제안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