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매체언어 교육의 관점에서 본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애니메이션 서사 수용에 관한 연구 = Primary School Children's Understanding of Popular Television Animation and Its Implica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54907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영상매체와 인터넷의 발달 등으로 대표되는 변화된 매체 환경이 학생들의 서사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수용 양상과 그 국어교육적 함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오늘날 서사에 대한 경험은 기존의 국어교육이 중시해 왔던 책과 같은 인쇄매체를 통해서 뿐 아니라 영상 매체나 인터넷 매체 등을 통해서도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초등학교 어린이들에게 있어 텔레비전 애니메이션은 어린이들이 쉽고 재미있게 서사를 경험할 수 있는 매체 텍스트이며, 보다 의미 있는 서사 경험을 위해 교육적 안목과 계획이 필요로 되는 텍스트이다.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들이 선호하는 애니메이션 중 <검정고무신>과 <아따맘마>를 선정하여 어린이들의 서사 수용 양상을 살펴보고 국어교육적 함의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어린이들은 이미 대중적인 미디어 텍스트에 익숙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물의 시각적 형상화 방식이나 서사의 흐름을 비롯한 영상 언어의 표현 방식에 대해서는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따라서 보다 정확하고 심층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교사의 의도적이고 계획적인 영상서사 이해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같은 대중매체 텍스트라 하더라도 어린이들의 발달 단계에 따라 인물에 대한 선호나 이해도에 차이가 있었고, 텍스트의 의미에 대한 이해나 주제에 대한 소화력에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어린이들에게 애니메이션을 통한 서사 교육을 실시하고자 할 때에는 어린이들의 인지적, 정서적 발달 단계 등을 고려하는 교육적 안목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영상매체와 인터넷의 발달 등으로 대표되는 변화된 매체 환경이 학생들의 서사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수용 양상과 그 국...

      본 논문에서는 영상매체와 인터넷의 발달 등으로 대표되는 변화된 매체 환경이 학생들의 서사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수용 양상과 그 국어교육적 함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오늘날 서사에 대한 경험은 기존의 국어교육이 중시해 왔던 책과 같은 인쇄매체를 통해서 뿐 아니라 영상 매체나 인터넷 매체 등을 통해서도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초등학교 어린이들에게 있어 텔레비전 애니메이션은 어린이들이 쉽고 재미있게 서사를 경험할 수 있는 매체 텍스트이며, 보다 의미 있는 서사 경험을 위해 교육적 안목과 계획이 필요로 되는 텍스트이다.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들이 선호하는 애니메이션 중 <검정고무신>과 <아따맘마>를 선정하여 어린이들의 서사 수용 양상을 살펴보고 국어교육적 함의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어린이들은 이미 대중적인 미디어 텍스트에 익숙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물의 시각적 형상화 방식이나 서사의 흐름을 비롯한 영상 언어의 표현 방식에 대해서는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따라서 보다 정확하고 심층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교사의 의도적이고 계획적인 영상서사 이해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같은 대중매체 텍스트라 하더라도 어린이들의 발달 단계에 따라 인물에 대한 선호나 이해도에 차이가 있었고, 텍스트의 의미에 대한 이해나 주제에 대한 소화력에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어린이들에게 애니메이션을 통한 서사 교육을 실시하고자 할 때에는 어린이들의 인지적, 정서적 발달 단계 등을 고려하는 교육적 안목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plores the ways in which primary school children might understand the narratives of popular television animation programs. Television animations are media texts which are regarded as important resource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particularly in the recently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Korean. Children can learn about the aspects of multimodality and narratives of the moving images by watching television animations. Drawing on the children's responses after watching popular television animations, <Black Rubber Shoes> and <Atashinchi>, this article finds out that children need to learn more systematically about the ways in which moving images construct narratives. This article also argues that children's abilities to understand the narrratives of animations are dependent on their mental,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which needs to be considered in terms of selecting animation texts for their learning.
      번역하기

      This article explores the ways in which primary school children might understand the narratives of popular television animation programs. Television animations are media texts which are regarded as important resource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par...

      This article explores the ways in which primary school children might understand the narratives of popular television animation programs. Television animations are media texts which are regarded as important resource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particularly in the recently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Korean. Children can learn about the aspects of multimodality and narratives of the moving images by watching television animations. Drawing on the children's responses after watching popular television animations, <Black Rubber Shoes> and <Atashinchi>, this article finds out that children need to learn more systematically about the ways in which moving images construct narratives. This article also argues that children's abilities to understand the narrratives of animations are dependent on their mental,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which needs to be considered in terms of selecting animation texts for their learn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희한한 수업" 좋은 교사 2003

      2 "환상과 미메시스" 서울: 푸른나무 2000

      3 "현대시와 애니메이션의 만남. 한성어문학" 한성대학교 한국어문학부 2000

      4 "한국 케이블 TV 프로그램의 창구화를 통한 부가가치 창출에 대한 실증적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1998

      5 "한국 장편 애니메이션의 서사 연구" 2005

      6 "한국 애니메이션 콘텐츠산업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1999

      7 황성환,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2000

      8 "한국 순정 만화와 일본 소녀 만화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9 "한국 만화영화텍스트 연구 폭력 양성 매커니즘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1999

      10 "한국 만화 영화산업의 구조적 문제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1997

      1 "희한한 수업" 좋은 교사 2003

      2 "환상과 미메시스" 서울: 푸른나무 2000

      3 "현대시와 애니메이션의 만남. 한성어문학" 한성대학교 한국어문학부 2000

      4 "한국 케이블 TV 프로그램의 창구화를 통한 부가가치 창출에 대한 실증적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1998

      5 "한국 장편 애니메이션의 서사 연구" 2005

      6 "한국 애니메이션 콘텐츠산업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1999

      7 황성환,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2000

      8 "한국 순정 만화와 일본 소녀 만화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9 "한국 만화영화텍스트 연구 폭력 양성 매커니즘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1999

      10 "한국 만화 영화산업의 구조적 문제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1997

      11 천진기, "한국 띠 동물의 상징체계 연구" 2002

      12 "초등학교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2007a

      13 Freud. S, "창조적인 작가와 몽상 프로이드 전집" 서울: 열린책들 18 : 1996

      14 "질적 연구와 질적 교육" 한국교육인류학회 2004

      15 "중학교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2007b

      16 "제 7차 초등 국어 교과서의 미디어 교육 수용 양상. 현장 교육 학교 수업에서의 매체 활용 교육 사례" 인천광역시 교육과학연구원 2005

      17 Buckingham, D, "전자매체 시대의 아이들" 서울: 우리교육 2004

      18 "일본과 한국만화에 나타난 지배적 가치관 분석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아세아 연합신학대학교 대학원 1999

      19 "일본 애니메이션 특성과 한국적 수용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1999

      20 "인문학으로서의 국어국문학 / 사회과학으로서의 국어교육 연구 ; 미디어 교육 연구의 예를 통한 국어교육 연구방법론에 대한 이론적 고찰"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1998

      21 Chattman. S, "이야기와 담론" 서울: 푸른 사상 2003

      22 Bordwell. M, "이론과 실천." 1993

      23 "영화 서사의 인물 수용 양상 연구" 2004

      24 "영상이미지의 구조" 서울: 나남 2003

      25 "언어텍스트매체문화’ 범주와 ‘복합 문식성’ 개념을 통한 미디어 교육의 국어교육적 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국어학회 28 : 2005

      26 "어린이 문학의 즐거움 1,2" 2001

      27 "애니메이션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01

      28 "애니메이션의 시적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 만화애니메이션 학회 2002

      29 "애니메이션, 이미지의 연금술" 서울: 한나래 2001

      30 "애니메이션 시나리오 작법" 서울: 모색 1999

      31 "애니메이션 서사 구조와 전략" 서울: 논형 2004

      32 "애니메이션 경제학" 서울: 커뮤니케이션 북스 1998

      33 최인자, "아동기와 청소년기, 문학 창작 경험의 발달 특성에 관한 시론" 한국문학교육학회 (15) : 43-82, 2004

      34 "성찰적 문화교육으로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국어교육연구학회 14 : 2002

      35 최미숙, "선택과목으로서의 ‘매체언어와 문화’ 교육과정 개발 방향" 국어교육학회 2006

      36 "서사표현교육론 연구" 서울: 도서출판 역락 2003

      37 황혜진, "서사텍스트의 주제 진술 방식 연구" 한국독서학회 (15) : 457-487, 2006

      38 "서사이론과 그 쟁점들" 서울: 문예출판사 2002

      39 "비판적 미디어 읽기의 국어교육적 수용을 위한 교수 전략 연구" 한국 국어교육 학회 (67) : 2004b

      40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론" 서울: 나남출판 2004

      41 "반성적 읽기 교육의 대상 및 방법으로서의 미디어/언어 -수업 장면에서의 교사 언어에 대한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 국어교육과 2003

      42 "미야자키 하야오" 서울: 인디북 2004

      43 Akiko. S, "미디어 리터러시"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44 "문학수업에서의 애니메이션" 한국독어독문학회 2005

      45 "매체언어교육론서설" 한국국어교육학회 (97) : 1998

      46 최미숙, "매체 환경에 따른 국어교육 내용 선정: 새로운 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말교육학회 2007

      47 "만화의 이해" 서울: 시공사 2002

      48 "디지털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 서울: 살림 2005

      49 "디지털 스토리 텔링" 서울: 황금가지 2003

      50 "디즈니 만화영화에 나타난 성과 사랑" 대구효성카톨릭 대학교 대학원 1998

      51 "동화와 애니메이션 ‘보기(viewing)’를 중심으로 한 멀티리터러시의 국어교육적 고찰" 한국어 교육학회 114 : 2004a

      52 한 봄, "대중문화에 반영된 권력관계 : 만화 속의 반페미니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53 "대중매체의 기호학" 서울: 나남 1995

      54 "대인의사소통" 서울: 한국문화사 1997

      55 최인자, "다중 문식성과 언어문화교육" 한국어교육학회 (109) : 7-216, 2002

      56 "다매체 시대의 국어교육과 문화교육" 서울: 도서출판 역락 2004

      57 "뉴미디어 확산 과정에서의 애니메이션 산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1999

      58 Arizpe. E, "그림 읽는 아이들" 서울: 미진사 2004

      59 "국어표현 이해교육" 서울: 집문당 2000

      60 "국어시간에 매체 읽기" 서울: 나라말 2005

      61 "국어교육과 미디어 텍스트" 서울: 삼지원 2003

      62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에서의 매체 언어 교육 내용." 국어교육학회 2006

      63 "국내 애니메이션 산업의 제작 현황 및 구조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1999

      64 "교사를 위한 실행연구" 서울: 우리교육 2005

      65 "고등학교 국어 교과에 수용된 매체교육 관련 부분 검토" 나라말 2005

      66 "고등학교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2007c

      67 "게임텍스트의 서사경험 연구" 2000

      68 "TV 만화 영화 육성 발전 방안 연구" 한국방송개발원 1998

      69 British Film Institute, "Look Again!" London: British Film Institute 2004

      70 "7차 중학교 국어교육에 나타난 매체교육. 국어시간에 매체 읽기" 나라말출판사 2005

      71 "2004 TV 시청 행태" 한국방송위원회 2005

      72 ". 대중영화의 이해. 임재철 외 역. 서울" 1994

      73 ". 가족관계와 의사소통. 성동인" 198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3-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Instruction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 Instruc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 1.17 1.432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