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도시공간에서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평가시스템 개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402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브룬트란트 보고서에서의 지속가능성 정의 이후로,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환경적, 경제적 지속가능성에 치우쳐 연구되어 왔던 것이 사실...

      브룬트란트 보고서에서의 지속가능성 정의 이후로,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환경적, 경제적 지속가능성에 치우쳐 연구되어 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정치적, 제도적 관심이 증가되고, 우리 사회에서도 공정이라는 것이 화두가 되고 있는 최근의 상황을 고려하면,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동안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가 미진했던 것은 가시적인 성과를 내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이유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어떻게 정의하고, 측정할 것인가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주요한 이유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필요성을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는 먼저,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구성하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선행연구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 맥락에서의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사회적 형평성, 커뮤니티 형성과 참여, 사회적 통합, 보행친화적인 근린환경, 안전한 환경으로 파악하였다. 각각의 항목은 주요시설로의 공간적 접근성, 대중교통 활용성, 비동력 통행수단(자전거) 활용성, 커뮤니티 공간 및 시설 공급, 계획 및 관리 단계에 주민의 참여, 주거유형의 혼합, 소득계층의 혼합, 적정한 가로폭, 연결성 제고를 위한 계획, 포용적 디자인 도입, 범죄 및 재해로부터의 안전 등으로 세분화 되었다. 다음으로, 각 세분화된 항목의 가중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AHP 분석이 수행되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각 항목을 평가할 때 사용할 수 있는 평가기준 및 평가점수를 구성요소로 하는 사회적 지속가능성 평가 모델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사업을 통하여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구성하는 요소 중 근린환경 요소와 시민의 건강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필요성을 인식하여, 근린환경 특성과 비도시 지역 노인의 건강 행태 및 수준의 관계를 조사하는 연구가 수행되었다. 급격한 고령화로 인해 노인의 ‘건강한 삶’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요구가 증대되고 있음에도, 의료 서비스 접근성이 낮은 비도시 지역 거주 노인들의 건강수준은 여전히 열악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와 농림어업총조사 중 지역조사 자료를 통합 활용해, 근린환경 특성이 비도시 지역 노인의 건강행태와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복합표본설계 회귀분석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한다. 연구결과, 병‧의‧한의원 도달시간이 1분 감소할 시, 필요 의료 서비스 미검진 확률이 약 0.944%p 가량 감소하고, 이를 매개로 해 노인의 자살 고려 확률과 EQ-5D 수준이 각각 0.129%p와 0.00114p(약 1/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fte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became the world-wide agenda, it has been studied systematically about the physical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while little has been studied about the social aspect of sustainability. It is recommended to make a...

      Afte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became the world-wide agenda, it has been studied systematically about the physical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while little has been studied about the social aspect of sustainability. It is recommended to make a consensus about the extent of concept to use it in a certain field. To make the foundation of consensus, this research firstly summarized the advanced research which deal with social sustainability to classify it into some categories and extent. As a result of literature review, social equity, community building/interaction, social integration, pedestrian-oriented neighborhood, safe environment were deducted. Secondly, these categories divided into two or three sub-categories, such as equivalent spatial accessibility to neighbourhood facilities, easy access to transportation systems, inducement to use of non-motorized vehicles, formation of local centers and fostering of vitality and communication, creation of various opportunities for public involvement, provision of different housing types, effective integration of affordable housing within the development, mixed-income diverse communities, provision of plan aims to secure suitable pedestrian road capacity and network, considerations for inclusive design, crime and disaster preve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