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문화나 환경의 요인으로 인한, 언어에서 연상되어지는 색채공간의 공통점과 상이성에 대하여 주목하였다. 한국인(서울거주,71명),일본인(동경거주,70명),일본거주한국인(동경장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071613
2010
Korean
색채이미지 ; 색채영역 ; 문화적 환경 ; 한국과 일본 ; color image ; language ; Korea and Japan ; cultural environment
KCI등재
학술저널
5-14(10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문화나 환경의 요인으로 인한, 언어에서 연상되어지는 색채공간의 공통점과 상이성에 대하여 주목하였다. 한국인(서울거주,71명),일본인(동경거주,70명),일본거주한국인(동경장기...
본 연구는, 문화나 환경의 요인으로 인한, 언어에서 연상되어지는 색채공간의 공통점과 상이성에 대하여 주목하였다. 한국인(서울거주,71명),일본인(동경거주,70명),일본거주한국인(동경장기간거주,70명)의 3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언어에서 연상되어지는 색채를 조사하였다. 색조를 의미하는 12개의 언어에 관하여 각각 연상되어지는 색을, 제시되어진 색챠트에서 선택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또한, 한국과 일본의 이미지가 색과 어떠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가에 대하여도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다.
1.색채 언어에서 연상되어지는 색채 이미지에서, 한국과 일본이라는 문화적 환경에 의한 상이점은 크게 두드러지지 않았다. 그렇지만, 일본인 집단은 각각의 색채 언어로부터 연상되어지는 색채 이미지의 선택 범위가 넓은 특징을 지니며, 한국인 집단은 각각의 색채 언어로부터 연상되어지는 색채 이미지의 일치성이 높았다.
2.언어의 “부드러운 색”, “탁한 색”, “맑은 색”, “밝은 회색조의 색”, “어두운 회색조의 색”이 제시하는 실제의 색채는 다양하게 이미지 되어지고, 언어의 “선명한 색”, “강한 색”, “연한 색”, “진한 색”에서 제시되어지는 색채 이미지는 문화적 환경과 상관없이 일치되어지기 쉽다고 판단되어졌다.
3.언어의 “한국의 이미지”에서 “Vivid Red”, “Deep Red”가 연상되어졌으며 이 결과는 3집단에 있어서 높게 일치하였다. 한편, 언어의 “일본의 이미지”에 대하여 한국인 집단은 “Vivid Red”가 높게 연상되어졌으나 일본인 집단과 일본거주한국인 집단에 있어서는 “Grayish Pink”, “Pale purple”, “Light purple”이 높게 연상되어졌다. 다음으로, 그 색이 연상되어진 이유에 대한 결과로서, “한국의 이미지”에 대해서는 “정열적이다”, “감정적이다”, “솔직하다”가, “일본의 이미지”에 대해서는 “차분하다”, “이성적이다”가, 가장 많이 기술되어졌다. 그렇지만, “한국”과 “일본”의 이미지에 있어서, 자국인 집단이 지니고 있는 이미지가 타국인 집단에서는 엿볼 수 없는 점들도 시사되어져, 한국과 일본의 교류에 있어서 보다 깊고 본질적인 이해가 요구된다고 생각되어졌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color space associated from the word. 71 residents in Seoul(the native Korean group), 70 residents in Tokyo(the native Japanese group)and 70 ling term residing Korean in Tokyo(the Korean in Japan group) participated in the p...
The present study examined color space associated from the word. 71 residents in Seoul(the native Korean group), 70 residents in Tokyo(the native Japanese group)and 70 ling term residing Korean in Tokyo(the Korean in Japan group) participated in the present research. all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the generation of 30’s to that 50’s. all of them worked for enterprise and commercial service. according to as a results, be summarized below.
1.A color image associated with a language had little cultural environmental effect. However, The selection space of the color agreed in the Korean group more, and As for the Japanese group, the selection space of the color image was larger then Korean group.
2.In three groups, the color space associated from "vivid tone","pale tone", and "strong tone", "deep tone" was corresponding. But, the associated color space was shown from "soft tone", "dull tone", "light tone", "light grayish tone", "dark grayish tone" of the language in each group as a different color space.
3."vivid red","deep red" was associated from "Korea image", It is accorded highly in three groups. and "grayish pink", "pale purple", "light purple" was associated from "Japan image" on the Japanese group and the Korean in Japan group. but, "vivid red" was associated from "Japan image" on the Korean group. next, there were a lot of "be Settled", "reasonable" as an image of Japan, and "passionate", "sentimental" appeared a lot as an image of Korea. These results seem to indicate that deeper understanding is necessary between Korea and Japa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석천, "한국인의 생활환경에 표출된 색채에 관한 연구" 9 : 49-85, 1997
2 김영선, "한국어색채 서술 형용사의 심리적 구조 분석" 15 (15): 21-28, 2001
3 김영인, "한·중·일 색채의 기호학적 비교분석과 색채공간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1)-건축과 복식 사례를 통한 공통성과 차별성의 규명-" 한국색채학회 18 (18): 97-111, 2004
4 김경인, "색채감성과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과 일본의 환경색채 비교연구-" 11 (11): 11-21, 1998
5 박현수, "색이름과 형용사수식어에 의한 한국어 색채표현형식의 탐색" 한국색채학회 18 (18): 11-21, 2004
1 고석천, "한국인의 생활환경에 표출된 색채에 관한 연구" 9 : 49-85, 1997
2 김영선, "한국어색채 서술 형용사의 심리적 구조 분석" 15 (15): 21-28, 2001
3 김영인, "한·중·일 색채의 기호학적 비교분석과 색채공간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1)-건축과 복식 사례를 통한 공통성과 차별성의 규명-" 한국색채학회 18 (18): 97-111, 2004
4 김경인, "색채감성과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과 일본의 환경색채 비교연구-" 11 (11): 11-21, 1998
5 박현수, "색이름과 형용사수식어에 의한 한국어 색채표현형식의 탐색" 한국색채학회 18 (18): 11-21, 2004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12-2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of Color Studies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 ![]() |
2014-10-2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Color Studies ->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6-06-0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Society of Color Studies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5-30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색채학회논문집외국어명 : 미등록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7 | 0.57 | 0.4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3 | 0.5 | 0.905 | 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