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역사회교육전문가들에 대한 표준화된 교육과정이 부재한 상황에서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직무교육현황을 분석하고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직무와 역량에 기초한 교육과정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563058
2008
Korea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223-247(25쪽)
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역사회교육전문가들에 대한 표준화된 교육과정이 부재한 상황에서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직무교육현황을 분석하고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직무와 역량에 기초한 교육과정을 ...
본 연구는 지역사회교육전문가들에 대한 표준화된 교육과정이 부재한 상황에서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직무교육현황을 분석하고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직무와 역량에 기초한 교육과정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선행문헌고찰 및 직무와 역량분석, 교육과정1차 개발 단계, 포커스그룹을 통한 교육과정 피드백, 교육현황 설문조사, 최종 교육과정 개발의 총 5단계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포커스그룹을 통한 교육과정 피드백은 현장 전문가들의 피드백과 욕구를 수렴하기 위해 교육복지 사업의 실무자인 프로젝트 조정자와 지역사회교육전문가 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직무교육현황과 최종 교육과정안에 대한 욕구를 파악하기 위해 61명의 프로젝트조정자에게 이메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직무 교육의 지역 간 편차가 매우 크고 신규 교육과 보수 교육의 차별적인 운영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직무와 핵심 역량은 학생 지원, 교육복지사업운영 및 행정, 지역사회, 교육 및 교사지원, 가족지원 등의 5개 영역의 지식, 기술, 태도의 내용으로 신규 교육과 보수 교육 과정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evaluate the job training status of the community social education welfare specialists and provide the curriculum based on the job and competence under the condition that there are no the standardized education course for the...
This study is intended to evaluate the job training status of the community social education welfare specialists and provide the curriculum based on the job and competence under the condition that there are no the standardized education course for the community education welfare specialists.
This research is composed of five stages works, which are the data survey and job and competence evaluation, the 1st development for the education course, the feedback and need collection by the focus group, the questionnaire on the education status, the final development for the curriculum.
The four community education specialists, who are experienced in the supervision and operating on the education course, have participated in the focus group interview. The sixty-one project managers has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to evaluate the job training status and investigate the need for the education course. Resulting from this result, this research evaluation the job training status for the community education welfare specialist and present the detailed education source based on the job and competence orders. Based on the research, this study classifies that the curriculum essential for the community education welfare specialists shall be five factors including knowledge, skill, and attitudes. Finally, this provide the solution to activate the developed curriculum.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사회복지사협회, "한국사회복지 근로환경백서" 2007
2 진혜경, "학교 내의 복지 전문 인력과 교사의 협력관계 연구" 가톨릭대학교 2005
3 송상호,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직무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5-8, 1997
4 신종국, "캐나다정부의 역량 중심 인사관리" 64-67, 2001
5 김태수, "직무분석" 북스힐 4-8, 2002
6 윤철수,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역할 형성 과정 : 서울시 강서구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20 (20): 135-171, 2005
7 안정선,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수행역량분석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성에 관한 연구" 22 : 151-174, 2007
8 윤철수, "지역사회 교육전문가의 직무분석과 직무표준안 개발" 13 (13): 221-246, 2006
9 하봉운, "지방분권시대 지역간 교육격차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서울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23 (23): 167-194, 2005
10 통계청, "인구주택 총 조사 보고서" 2006
1 한국사회복지사협회, "한국사회복지 근로환경백서" 2007
2 진혜경, "학교 내의 복지 전문 인력과 교사의 협력관계 연구" 가톨릭대학교 2005
3 송상호,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직무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5-8, 1997
4 신종국, "캐나다정부의 역량 중심 인사관리" 64-67, 2001
5 김태수, "직무분석" 북스힐 4-8, 2002
6 윤철수,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역할 형성 과정 : 서울시 강서구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20 (20): 135-171, 2005
7 안정선,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수행역량분석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성에 관한 연구" 22 : 151-174, 2007
8 윤철수, "지역사회 교육전문가의 직무분석과 직무표준안 개발" 13 (13): 221-246, 2006
9 하봉운, "지방분권시대 지역간 교육격차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서울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23 (23): 167-194, 2005
10 통계청, "인구주택 총 조사 보고서" 2006
11 뉴패러다임센터, "역량중심의 학습체계 구축 및 과정개발 매뉴얼" 2007
12 한상미, "실천현장에서 요구하는 신입사회복지사의 자질에 관한 연구 :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25 : 2008
13 박찬용, "소득 분배와 빈곤 동향 및 변화 요인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4 성규탁, "사회복지행정론" 법문사 1993
15 조봉란, "사회복지직 공무원의 전문성 제고 방안 :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2005
16 조수민,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전문성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 강릉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17 이태수, "사회복지시설의 평생학습체계 구축 실태 및 활용방안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2008
18 박태영, "사회복지시설 인사관리의 효율화 방안" 2001
19 강흥구, "사회복지사의 직무분석과 표준 직무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7 (7): 33-62, 2005
20 노충래, "사회복지사보수교육시행방안"
21 오정희,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발전을 위한 연구" 경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3
22 김성천, "사회복지기관, 시설관리자의 보수교육 욕구에 관한 연구" 25 : 2008
23 구병기, "사회복지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 재교육 실태 및 욕구에 관한 조사 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03
24 연제찬, "사회복지 전담 공무원 전문성향상과 재교육 강화 방안" 44 : 224-235, 2002
25 박순일, "빈곤 격차 확대 요인의 분석과 빈곤 서민 생활 대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
26 전병유, "노동시장의 양극화와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2006
27 이혜영,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을 위한 연구?지원사업 결과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2004
28 김정원,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을 위한 연구 지원사업 결과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2007a
29 이혜영,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 효과분석과 발전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05a
30 이혜영,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 확대 및 발전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5b
31 김정원,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 운영모델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7b
32 한국교육개발원,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 사업담당자 합동 워크숍 자료집"
33 한국교육개발원,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 사업담당자 연수 자료집"
34 교육인적자원부 한국교육개발원,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 길잡이" 2004
35 성열관, "교육격차해소와 교육복지확대방안 및 법안. 교육양극화 무엇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교육개혁시민연대, 범국민교육연대, 서울교육혁신연대, 한국교육연구네트워크, 한국교육이론정책학회 3-19, 2006
36 Parry,B., "The quest for competencies" 48-56, 1996
37 Prahalad,K., "The Core Competence of the Corporation" 71-91, 1990
38 Bartlett,H., "The Common Base of Social Work Practice" 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1970
39 McMichael.A., "Professional identity and continuing education: a study of social workers in hospital settings" 19 (19): 175-183, 2000
40 NASW, "NASW standards for continuing professional education"
41 Ornstein, A., "Curriculum: Foundations, Principles, and Issues. 4th Ed. Boston: Pearson Education" Pearson Education 2007
42 Spencer, M., "Competency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Wiley 1998
43 Tyler,R.W.,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49
44 한국사회복지사협회, "2007한국사회복지사 보수교육 요구조사" (사)직업능력개발원, 한국사회복지사협회 2007
45 김정원, "2007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 성과와 발전방향"
46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인적자원부, "2006년도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 프로젝트조정자 연수 자료집"
47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인적자원부, "2006년도 교육복지투자우선. 지역지원사업 담당자연수 자료집"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2 | 1.32 | 1.5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52 | 1.52 | 2.001 | 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