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실패한 공화국? - 바이마르 공화국의 현실과 사회갈등 재조명 = The failed republic? - The reality and burden of the Weimar Republic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752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focuses on the historical situation of the Weimar Republic, which has been interpreted as a "failed history" under the shadow of Nazi history. We have tried to re-examine carefully the historical upheaval situation and the resulting social ...

      This paper focuses on the historical situation of the Weimar Republic, which has been interpreted as a "failed history" under the shadow of Nazi history. We have tried to re-examine carefully the historical upheaval situation and the resulting social conflicts. The denial of the reality of the initial defeat of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made it difficult to cut off from the old system and the elite, leading to resistance to the Treaty of Versailles. And political and social conflicts over the Treaty of Versailles resulted in narrowing of the Weimar Republic 's already narrow action radius to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tics. Even to the deflationary policy of the Great Depression Brunding government. This reality was a huge burden for Weimar countries, where many Germans had to make aggressive policies to meet the great expectations of the new republic. This is why the Western Allied Powers, which have not been actively addressed in the research, raise the possibility of an alternative solution to the German problem solution.
      The German people who supported the republic at the beginning of the republic faced the reality of the republic, which underwent inflation after the turmoil of the revolution and carried on the burden of the problems and defeats of the Kaiserreich. The difficulties of the old elites, the workers, and the middle class have been relatively different. First,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such as the guarantee of suffrage, the equal labor-management agreement system, and the achievement of social welfare policy, brought great results to many workers, but the middle class could not avoid relative loss compared to the previous era. In addition to not being compensated for the loss of business by the war from the new republic, inflation has shaken their foundations and peasants were no exception. The result was a departure from the Weimar political party. Despite being a worker, the greatest victim of mass unemployment at the time of the Great Depression was the middle class, which felt a greater sense of crisis and dissatisfaction with the republic than the workers who experienced visible results in the republic.
      In fact, inflation and the crisis of the middle class at the time of the Great Depression and the political right-wing phenomenon are problems that have been continuously addressed by researchers, but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tical reality of the Weimar Republic, on the one hand, it attempted a balanced view of the real problems of the Germans, especially the middle class, who had suffered loss and suffering through the turmoil of revolution, the inflation, and the Great Depression. Without a sufficient consideration of the historical reality of the Weimar Republic, the interpretation of the history of the Weimar Republic as a failed was non-historical. From this point of view, the various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achievements achieved by the Weimar Republic will have a new meaning despite the difficult real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나치 역사의 그늘 아래 “실패한 역사”로 해석되어 온 바이마르 공화국을 신중하게 재조명하고자 했다. 현재 연구사에서 당시의 역사적 상황, 즉 이미 1919/20년 공화국 수립기에 ...

      본 논문은 나치 역사의 그늘 아래 “실패한 역사”로 해석되어 온 바이마르 공화국을 신중하게 재조명하고자 했다. 현재 연구사에서 당시의 역사적 상황, 즉 이미 1919/20년 공화국 수립기에 부과된 과중한 부담과 인플레이션과 대공황으로 이어진 역사적 격변 상황, 그 결과 초래된 사회적 갈등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았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공화국 성립 초기, 패전이라는 현실의 부정은 과거 체제 및 엘리트들과의 단절을 어렵게 했으며, 이는 베르사유 조약에 대한 저항의식으로 이어졌다. 그리고 베르사유 조약을 둘러싼 정치, 사회적 갈등은 이미 좁았던 바이마르 공화국의 행동반경을 국내, 국제 정치적으로 더욱 좁히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는 심지어 대공황기 브뤼닝 정부의 디플레이션 정책에까지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다수 독일인들이 신생 공화국에게 갖고 있던 커다란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해 적극적인 정책을 펼쳐야 했던 바이마르 국가에게 이러한 현실은 커다란 부담이었다. 그동안 연구에서 적극적으로 다뤄지지 않았던 문제, 즉 서방 연합국이 당시 실행한 독일 문제 해결 방안과 다른 대안이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는지 문제를 제기하게 되는 이유이다.
      바이마르 공화국 수립 초기에 공화국을 지지했던 독일 국민들은 혁명의 혼란과 인플레이션을 겪으며 구제국이 남긴 구조적 문제와 패전의 짐이 초래한 심각한 현실에 직면하게 되었다. 여기에서 구 엘리트층, 노동자, 중산층이 체감한 현실의 어려움은 각각 상대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우선 참정권 보장, 대등한 노사협약제도, 사회 복지 정책의 성과 등 공화국 수립은 다수 노동자들에게는 커다란 성과를 가져다준 반면, 중산층은 이전 시대에 비교할 때 상대적 박탈감을 피할 수 없었다. 신생 공화국으로부터 전쟁으로 인한 영업상의 손실을 보상받지 못했을 뿐 아니라, 인플레이션은 그들의 존재 기반을 뒤흔들어 놓았으며 농민들도 예외는 아니었다. 바이마르 정당으로부터의 민심 이탈이 그 결과였다. 대공황 당시 대량 실업의 최대 피해자는 노동자였음에도 불구하고 공화국 시기 가시적 성과를 체험한 노동자들보다 더욱 커다란 위기의식과 공화국에 대한 불만을 느낀 것은 중산층이었다.
      사실 인플레이션과 대공황 당시 중산층의 위기와 정치적 우경화 현상은 연구사에서 지속적으로 다뤄진 문제이다. 하지만 본 논문은 시작부터 몰락에 이르기까지 한편엔 바이마르 공화국이 처했던 국내, 국제 정치적 현실, 그리고 해결해야 할 과중한 과제들, 다른 한편엔 혁명의 혼란과 인플레이션, 대공황을 겪으며 상실감과 고통을 겪었던 독일인, 특히 중산층의 현실적 문제들에 대한 균형 잡힌 조망을 시도하였다. 역사적 현실에 대한 충분한 고려 없이 바이마르 공화국의 역사를 “실패”로 보는 해석은 비역사적이라는 문제의식에서였다. 그런 시각에서 볼 때 어려운 현실에도 불구하고 바이마르 공화국이 이룩한 다양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성과는 새롭게 의미를 갖게 된다. 물론 바이마르 공화국이 이룩한 다양한 역사적 성과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은 새로운 연구 과제가 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nortz, Heike, "Wirtschaftsgeschichte der Weimarer Republik, Eine Einführung in Ökonomie une Gesellschaft der ersten deutschen Republik" 2010

      2 Büttner, Ursula, "Weimar. Die überforderte Republik 1918-1933. Leistung und Versagen in Staat, Gesellschaft, Wirtschaft und Kultur" 2008

      3 Maas, Heiko, "Weimar als Herausforderung. Die Weimarer Republik und die Demokratie im 21. Jahrhundert" 3-6, 2016

      4 Büttner, Ursula, "Weimar als Herausforderung. Die Weimarer Republik und die Demokratie im 21. Jahrhundert" 81-102, 2016

      5 Lehnert, Detlef, "Weimar als Herausforderung. Die Weimarer Republik und die Demokratie im 21. Jahrhundert" 103-121, 2016

      6 Gallus, Alexander, "Weimar als Herausforderung. Die Weimarer Republik und die Demokratie im 21. Jahrhundert" 9-22, 2016

      7 Weitz, Eric D., "Weimar Germany and its Histories" 43 (43): 581-591, 2010

      8 Falter, Jürgen u.a., "Wahlen und Abstimmungen in deer Weimarer Republik. Materialien zum Wahlverhalten" 1986

      9 Kraus, Hans-Christof, "Versailles und Folgen. Außenpolitik zwischen Revisionismus und Verständigung 1919-1933" 2013

      10 Winkler, Heinrich August, "Streitfragen der detuschen Geschichte" 52-70, 1997

      1 Knortz, Heike, "Wirtschaftsgeschichte der Weimarer Republik, Eine Einführung in Ökonomie une Gesellschaft der ersten deutschen Republik" 2010

      2 Büttner, Ursula, "Weimar. Die überforderte Republik 1918-1933. Leistung und Versagen in Staat, Gesellschaft, Wirtschaft und Kultur" 2008

      3 Maas, Heiko, "Weimar als Herausforderung. Die Weimarer Republik und die Demokratie im 21. Jahrhundert" 3-6, 2016

      4 Büttner, Ursula, "Weimar als Herausforderung. Die Weimarer Republik und die Demokratie im 21. Jahrhundert" 81-102, 2016

      5 Lehnert, Detlef, "Weimar als Herausforderung. Die Weimarer Republik und die Demokratie im 21. Jahrhundert" 103-121, 2016

      6 Gallus, Alexander, "Weimar als Herausforderung. Die Weimarer Republik und die Demokratie im 21. Jahrhundert" 9-22, 2016

      7 Weitz, Eric D., "Weimar Germany and its Histories" 43 (43): 581-591, 2010

      8 Falter, Jürgen u.a., "Wahlen und Abstimmungen in deer Weimarer Republik. Materialien zum Wahlverhalten" 1986

      9 Kraus, Hans-Christof, "Versailles und Folgen. Außenpolitik zwischen Revisionismus und Verständigung 1919-1933" 2013

      10 Winkler, Heinrich August, "Streitfragen der detuschen Geschichte" 52-70, 1997

      11 Büttner, Ursula, "Politische Gerechtigkeit und Sozialer Geist. Hamburg zur Zeit der Weimarer Republik" 1985

      12 Thonfeld, Christoph, "Krisenjahre revisited. Die Weimarer Republik und die Klassischen Moderne in der gegenwärtigen Forschung" 302 (302): 390-420, 2016

      13 Jones, Larry E., "Inflation, Revaluation and the Crisis of Middleclass Politics. A Study in the Dissolution of the German Party System, 1923-1928" (12) : 143-168, 1979

      14 Büttner, Ursula, "Hamburg und sein norddeutsches Umland. Aspekte des Wandels seit der Frühen Neuzeit" 279-304, 2007

      15 Büttner, Ursula, "Hamburg in Staats- und Wirtschaftskrise 1928-1931" 1982

      16 Weber, Petra, "Gescheiterte Sozialpartnerschaft – gefährdete Republik? Industrielle Beziehungen, Arbeitskämpfe und der Sozialstaat. Deutschland und Frankreich im Vergleich (1918-1933/39)" 764-818, 2010

      17 Graf, Rüdiger, "Either-Or. The Narrative of “Crisis” in the Weimar Germany and in Historiography" 43 (43): 592-615, 2010

      18 Weipert, Axel, "Die zweite Revolution. Rätebewegung in Berlin 1919/1920" 2015

      19 Falter, Jürgen, "Die nationalsozialistische Machtergreifung" 47-59, 1984

      20 Haupt, Heinz-Gerhard, "Bremer Einzelhandel zwischen Einheit und Zersplitterung in der Weimarer Republik" (17) : 107-121, 1988

      21 Winkler, Heinrich August, "Arbeiter und Arbeiterbewegung in der Weimarer Republik, Bd. 1-3" 198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5 0.28 0.811 0.5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