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여 교육적ㆍ사회적 시사점을 찾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4년전 6개 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여 교육적ㆍ사회적 시사점을 찾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4년전 6개 대...
본 연구는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여 교육적ㆍ사회적 시사점을 찾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4년전 6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ㆍ여 대학생 1,038명을 연구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부양의식,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부모자녀간의 친밀성을 측정하는 도구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13.0을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상대적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단계적 (stepwise)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4.0을 통해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노인에 대한 태도와 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검증한 결과,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대학생 자신의 부모와의 좋은 관계, 조부모와의 동거경험, 어머니와의 좋은 관계, 아버지와의 개방적 의사소통 변인이 노인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결정한다는 것으로 밝혀졌다. 부양의식은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친밀성이 주요 설명 변인이었다.
둘째, 대학생의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친밀성 변인이 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부양의식의 매개효과는, 전체적으로는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은 노인에 대한 태도에 직ㆍ간접 효과를, 부모-자녀간의 친밀성은 부양의식을 통한 간접효과만이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person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of college students to their attitude toward the elderly and caregiving awareness in an attempt to suggest what implications the relationship ha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person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of college students to their attitude toward the elderly and caregiving awareness in an attempt to suggest what implications the relationship had for education sector and societ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038 male and female students in six different universities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Data were gathered by using several inventories respectively designed to assess attitude toward the elderly, caregiving awareness, parent-student communication and parent-student intimacy.
SPSS 13.0 program was employed to make an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grasp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variables. Besides, Amos 4.0 program was utilized to make a path analysi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paramet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which variables impacted their attitude to the elderly and caregiving awareness were checked, and their attitude to the elderly was under the influence of their own close relationship with parents, experience of living with grandparents, tight relationship with mothers and open communication with fathers. Whether they took a favorable attitude to the elderly hinged on those variables.
Second, in regard to the mediating effect of caregiving awareness on the relationship of communication and intimacy with parents to attitude to the elderly, parent-student communication had a firsthand and second-hand effect on attitude to elderly people through caregiving awareness, and parent-student intimacy had only a secondhand effect on that through caregiving awareness.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영신, "간호사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 한국노년학회 22 (22): 31-46, 2002
1 임영신, "간호사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 한국노년학회 22 (22): 31-46, 2002
문자와 식 단원에서 학생들이 보이는 오류분석 - 중학교 1학년 수학을 중심으로
수준별 이동수업이 성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3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48 | 1.48 | 1.3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2 | 1.53 | 1.481 | 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