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머리말
- 2. 신라 목간의 출토 상황과 용도
- 3. 용도로 본 통일신라 목간의 서풍
- 4. 맺음말
- 참고문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39240
2015
Korean
911
KCI등재
학술저널
37-84(48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창석, "황남동376유적 출토 목간의 내용과 용도"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19 : 2001
2 전덕재, "함안 출토 신라 하찰목간의 형태와 제작지의 검토" 한국목간학회 3 : 2009
3 윤선태, "함안 성산산성 출토 신라목간의 용도" 진단학회 88 : 1999
4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한국의 고대목간 개정판"
5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한국의 고대목간"
6 국립청주박물관, "한국 고대의 문자와 기호유물" 통천문화사 2000
7 이재환, "한국 고대 ‘呪術木簡’의 연구 동향과 전망-‘呪術木簡’을 찾아서-" 한국목간학회 10 : 2013
8 정현숙, "통일신라 서예의 다양성과 서풍의 특징" 한국서예학회 (22) : 33-72, 2013
9 권인한, "출토 문자자료로 본 신라의 유교경전 문화" 구결학회 (35) : 23-51, 2015
10 정현숙, "창녕지역 신라금석문의 서풍" 한국서예학회 (24) : 25-56, 2014
1 김창석, "황남동376유적 출토 목간의 내용과 용도"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19 : 2001
2 전덕재, "함안 출토 신라 하찰목간의 형태와 제작지의 검토" 한국목간학회 3 : 2009
3 윤선태, "함안 성산산성 출토 신라목간의 용도" 진단학회 88 : 1999
4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한국의 고대목간 개정판"
5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한국의 고대목간"
6 국립청주박물관, "한국 고대의 문자와 기호유물" 통천문화사 2000
7 이재환, "한국 고대 ‘呪術木簡’의 연구 동향과 전망-‘呪術木簡’을 찾아서-" 한국목간학회 10 : 2013
8 정현숙, "통일신라 서예의 다양성과 서풍의 특징" 한국서예학회 (22) : 33-72, 2013
9 권인한, "출토 문자자료로 본 신라의 유교경전 문화" 구결학회 (35) : 23-51, 2015
10 정현숙, "창녕지역 신라금석문의 서풍" 한국서예학회 (24) : 25-56, 2014
11 김창석, "창녕 화왕산성 蓮池 출토 목간의 내용과 용도" 한국목간회 5 : 2010
12 김재홍, "창녕 화왕산성 蓮池 출토 木簡과 祭儀" 한국목간학회 4 : 2009
13 박성천, "창녕 화왕산성 蓮池 출토 木簡" 한국목간학회 4 : 2009
14 뤼징, "죽간·목간에 담긴 고대 동아시아"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1
15 권인한, "죽간·목간에 담긴 고대 동아시아"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1
16 윤선태, "월성해자 출토 신라 문서목간" 한국역사연구회 (56) : 113-142, 2005
17 이동주, "월성해자 출토 목간의 제작기법" 한국목간학회 4 : 2009
18 국립경주박물관, "우물에 빠진 통일신라 동물들"
19 김창억, "우물에 대한 제의와 그 의미" 영남문화재연구원 17 : 2004
20 이천시립월전미술관, "옛 글씨의 아름다움"
21 이기동, "안압지에서 출토된 신라 목간에 대하여" 경북사학회 1 : 1979
22 국립경주박물관, "신라의 황금문화와 불교미술"
23 주보돈, "신라사의 흐름 . 신라의 황금문화와 불교미술"
24 이영호, "신라 중대의 정치와 권력구조" 지식산업사 2014
25 정현숙, "신라 서예의 다양성과 일관성 고찰" 한국서예학회 (27) : 5-50, 2015
26 박성현, "신라 城址 출토 문자 자료의 현황과 분류" 한국목간학회 2 : 2008
27 권오영, "성스러운 우물의 제사 - 충납토성 경당지구 206호 유구의 성격을 중심으로 -" 역사문화학회 11 (11): 211-242, 2008
28 정현숙, "서예 미학과 기법(Chinese Calligraphy: An Introduction to Its Aesthetic and Technique" 교우사 2009
29 정현숙, "삼국시대의 서풍 . 옛 글씨의 아름다움"
30 국립중앙박물관, "문자, 그 이후 한국고대문자전" 통천문화사 2011
31 윤선태, "목간이 들려주는 백제 이야기" 주류성 2007
32 국립부여박물관, "나무 속 암호, 목간" 예맥 2009
33 주보돈, "금석문과 신라사" 지식산업사 2002
34 최순조, "국립경주박물관 남측부지 유적 출토 신명문자료-東宮衙銘 호 및 辛番(?)東宮洗宅銘 청동접시-" 한국목간학회 10 : 2013
35 강유위, "광예주쌍집 상·하" 다운샘 2014
36 權仁瀚, "고대한국 습서 목간의 사례와 의미" 한국목간학회 11 : 2013
37 홍기승, "경주 월성해자·안압지 출토 목간의 연구 동향" 한국목간학회 10 : 2013
38 권택장, "경주 傳仁容寺址 유적 발굴조사와 木簡 출토" 한국목간학회 6 : 2010
39 橋本緊, "雁鴨池 木簡 判讀文의 再檢討" 국립경주박물관 (창간) : 2007
40 釜山大學校博物館, "金海 鳳凰洞 低濕地遺蹟" 2007
41 平川 南, "道祖神 신앙의 원류-고대 길의 제사와 양물형 목제품" 한국목간학회 2 : 2008
42 한국고대사회연구소, "譯註 韓國古代金石文 3권"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43 姜秉權, "統一新羅時代 鐎斗 一考察. 錦江考古" 충청문화재연구원 2005
44 정현숙, "新羅와 北魏 ․ 隋 ․ 唐의 書藝 比較 硏究" 한국서예학회 (13) : 189-219, 2008
45 李基東., "新羅 骨品制社會와 花郞徒" 일조각 1980
46 국립경주박물관, "文字로 본 新羅" 예맥출판사 2002
47 정현숙., "康有爲 廣藝舟雙楫의 傳衛· 寶南· 備魏篇 譯註" 한국목간학회 11 : 2013
48 이경섭, "城山山城 출토 荷札木簡의 製作地와 機能" 한국고대사학회 (37) : 113-156, 2005
49 윤선태, "咸安 城山山城 出土 新羅 荷札의 再檢討" 수선사학회 (41) : 147-178, 2012
50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咸安 城山山城" 5 : 1998
51 北田裕行, "古代都城におけゐ井戶祭祀" 고고학연구회 47 : 2000
52 橋本緊, "古代朝鮮における ‘論語’ 受容再論韓國出土木簡の世界Ⅲ(" 2006
53 권인한, "古代 東아시아의 合文에 대한 一考察" 한국목간학회 (14) : 125-144, 2015
54 정현숙, "北魏 平城시기의 금석문과 그 연원" 한국서예학회 10 : 2007
55 이재환, "傳仁容寺址 출토 ‘龍王’ 목간과 우물연못에서의 제사의식" 한국목간학회 7 : 2011
56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傳仁容寺址 발굴조사 보고서 Ⅱ" 2013
57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傳仁容寺址 발굴조사 보고서 Ⅰ" 2013
58 鮮文大學校考古硏究所, "仁川桂陽山城東門址內 集水井出土 木簡保存處理結果報告" 선문대학교고고학연구소 2005
59 "三國遺事"
60 "三國史記"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2-2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institute of korean studes -> Academia Koreana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7 | 0.57 | 0.5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6 | 0.61 | 1.133 | 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