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XML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전자해도의 관리 = Management of Electronic Navigational Charts Using XML Databa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277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lectronic Navigational Charts (ENCs) are digital charts encoded in S-57 format, which contain navigational informations such as coastlines, depth areas, and nautical marks. Although they have been successfully used for the safe navigation of ships, they have limited usages and applications because of their specialized data format and access systems. To cope with such drawbacks, S-57 ENCs need to be transformed into more generalized format such as Geography Markup Language (GML). The transformed GML ENCs can be kept in a database for efficiency, and can be accessed through Internet for usability. This paper proposes a new method for transforming and managing ENCs with XML database. S-57 ENCs are lust transformed into GML format, and then stored in a XML database. On the database, users can query for their needs. To validate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we developed a protype system, and then conducted several test runs. The system can provide users with easy access to the marine information contained in ENCs. It also provides compatibility and efficiency by virtue of GML and XML database, respectively.
      번역하기

      Electronic Navigational Charts (ENCs) are digital charts encoded in S-57 format, which contain navigational informations such as coastlines, depth areas, and nautical marks. Although they have been successfully used for the safe navigation of ships, t...

      Electronic Navigational Charts (ENCs) are digital charts encoded in S-57 format, which contain navigational informations such as coastlines, depth areas, and nautical marks. Although they have been successfully used for the safe navigation of ships, they have limited usages and applications because of their specialized data format and access systems. To cope with such drawbacks, S-57 ENCs need to be transformed into more generalized format such as Geography Markup Language (GML). The transformed GML ENCs can be kept in a database for efficiency, and can be accessed through Internet for usability. This paper proposes a new method for transforming and managing ENCs with XML database. S-57 ENCs are lust transformed into GML format, and then stored in a XML database. On the database, users can query for their needs. To validate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we developed a protype system, and then conducted several test runs. The system can provide users with easy access to the marine information contained in ENCs. It also provides compatibility and efficiency by virtue of GML and XML database, respective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전자해도는 해안선, 수심, 항로표지 등 선박의 항해에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는 디지털 해도로서 S-57 형식으로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전자해도가 선박의 안전 운항에 성공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특수한 데이터 형식과 표시시스템으로 인하여 제한적으로만 사용되고 있고 응용 범위 또한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S-57 형식의 전자해도를 GML과 같은 범용의 형식으로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인터넷을 통하여 접근 가능하게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S-57 전자해도를 GML로 변환하는 방법과 XML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관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이 XML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용자의 검색 질의를 처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개발하고 여러 가지 시험 수행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하면 일반인들도 전자해도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해양정보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GML과 XML 데이터베이스에 의한 호환성 및 효율성의 증대도 가능하다.
      번역하기

      전자해도는 해안선, 수심, 항로표지 등 선박의 항해에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는 디지털 해도로서 S-57 형식으로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전자해도가 선박의 안전 운항에 성공적으로 사용되고 ...

      전자해도는 해안선, 수심, 항로표지 등 선박의 항해에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는 디지털 해도로서 S-57 형식으로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전자해도가 선박의 안전 운항에 성공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특수한 데이터 형식과 표시시스템으로 인하여 제한적으로만 사용되고 있고 응용 범위 또한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S-57 형식의 전자해도를 GML과 같은 범용의 형식으로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인터넷을 통하여 접근 가능하게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S-57 전자해도를 GML로 변환하는 방법과 XML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관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이 XML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용자의 검색 질의를 처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개발하고 여러 가지 시험 수행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하면 일반인들도 전자해도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해양정보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GML과 XML 데이터베이스에 의한 호환성 및 효율성의 증대도 가능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성대, "전자해도용 XML 스키마의 정의 및 변환" 한국정보통신학회 8 (8): 200-212, 2004

      2 권훈, "저장 공간과 검색 효율을 위한 XML 문서의 RDB 스키마 모델" 한국콘텐츠학회 6 (6): 19-28, 2006

      3 이성대, "객체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XML 문서 저장 및 검색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한국정보통신학회 7 (7): 183-193, 2003

      4 eXcelon, "eXtensible Information Server Developer Guide Documentation"

      5 W3C, "XQuery: A Query Language for XML. W3C Working Draft"

      6 D. S. Burggraf, "S-57 Schema and Related Tools Manual, S-57/GML Project"

      7 Geospatial Data Abstraction Library(GDAL), "Resources for GDAL"

      8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IHO), "IHO Transfer Standard for Digital Hydrographic Data Version 3.1, Special Publication No. 57 (S-57)"

      9 Open Geospatial Consortium (OGC), "Geography Markup Language (GML) Version 3.2.1"

      10 감승철, "GML과 SVG를 사용한 웹 기반 전자해도 시스템의 개발" 23 : 83-88, 2006

      1 이성대, "전자해도용 XML 스키마의 정의 및 변환" 한국정보통신학회 8 (8): 200-212, 2004

      2 권훈, "저장 공간과 검색 효율을 위한 XML 문서의 RDB 스키마 모델" 한국콘텐츠학회 6 (6): 19-28, 2006

      3 이성대, "객체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XML 문서 저장 및 검색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한국정보통신학회 7 (7): 183-193, 2003

      4 eXcelon, "eXtensible Information Server Developer Guide Documentation"

      5 W3C, "XQuery: A Query Language for XML. W3C Working Draft"

      6 D. S. Burggraf, "S-57 Schema and Related Tools Manual, S-57/GML Project"

      7 Geospatial Data Abstraction Library(GDAL), "Resources for GDAL"

      8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IHO), "IHO Transfer Standard for Digital Hydrographic Data Version 3.1, Special Publication No. 57 (S-57)"

      9 Open Geospatial Consortium (OGC), "Geography Markup Language (GML) Version 3.2.1"

      10 감승철, "GML과 SVG를 사용한 웹 기반 전자해도 시스템의 개발" 23 : 83-88, 2006

      11 W3C,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1.1"

      12 C-Navi, "CnENC Ver. 1.0 Document"

      13 ESRI, "ArcGIS S-57 Converter 9.0 Beta Documenta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11-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Maritime information & Communication Scienc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KCI등재
      2011-11-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IJICE) ->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KCI등재
      2011-11-1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 한국정보통신학회
      영문명 : 미등록 ->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IJICE)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3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4 0.22 0.42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