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운식, "홍성의 민담" 충남 : 홍성문화원 1996
2 최동주, "현대국어의 특수조사에 대한 통사적 고찰" 30 : 201-224, 1997
3 이석규, "현대국어의 도움토씨의 의미 연구 《한국어의 토씨와 씨끝》" 279-298, 1992
4 정동환, "현대국어의 도움토씨 연구 《한국어의 토씨와 씨끝》" 299-316, 1992
5 민현식, "현대국어의 격에 대한 연구 《국어연구》 49" 서울대 대학원 1982
6 채 완, "현대국어 특수조사의 연구 《국어연구》 39" 서울대 대학원 1977
7 김승곤, "현대 나라 말본-형태론-" 박이정 1996
8 서정수, "현대 국어 문법론" 한양대하교 출판원 1996
9 염선모, "한정사 연구" 74-103, 1978
1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방언 자료》ⅳ : 1990
11 김영희, "한국어 조사류어의 연구" 《문법연구》 1 271-311, 1974
12 김재욱, "한국어 문법형태 연구" 한국문화사 2003
13 박종익, "한국구전설화 3" 서울 : 민속원 2000
14 황인권, "한국 방언 연구 -충남편" 국학자료원 1999
15 정동환, "특수토씨의 연구사, 한국어 토씨와 씨끝의 연구사" 박이정 299-316, 1996
16 고영근, "특수조사의 의미분석-까지 마저를 중심으로- 《문법연구》 3 문법연구회" 7-21, 1976
17 채 완, "특수조사, 문법 연구와 자료" 115-138, 1998
18 이원근, "토씨의 하위 분류 재고-'들 요'를 중심으로-" 245 : 115-138, 1999
19 한영목, "충남방언의 현상과 특징에 대한 연구, 방언학과 국어학" 태학사 159-209, 1998ㄱ
20 한영목, "충남방언의 보조용언과 상" 33 : 115-136, 2000ㄷ
21 한영목, "충남방언 통사론의 몇 문제" 충남대 국어국문학회 17 : 11- 34, 2000ㄱ
22 김시중, "충남 청양지역어의 조사 연구" 단국대 대학원 1985
23 한영목, "충남 방언의 통사론적 연구-어말 어미-" 어문연구학회 32 : 63-85, 1999ㄴ
24 한영목, "충남 방언의 연구와 자료" 이회문화사 1999ㄱ
25 한영목, "충남 방언의 보조사(2) , 근간" 어문연구학회 44 : 2004ㄴ
26 한영목, "충남 방언의 격조사" 35 : 75-97, 2001ㄱ
27 한영목, "충남 방언 조사의 형태 변이와 통사 의미의 몇 양상" 충남대 인문학연구소 30 (30): 253-277, 2003
28 한영목, "충남 방언 어미 '-데'와 '-댜'의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47 : 705-723, 2001ㄴ
29 한영목, "충남 방언 ‘-벼’와 ‘-깨미’ 구문 연구" 어문연구학회 40 : 171-210, 2002
30 성낙수, "충남 당진 지방 방언의 통사론적 연구" 89-2 124, 1977
31 한영목, "충남 금산 지역어 연구" 한국문화사 2000ㅁ
32 김영태, "창원지역어 격조사 연구" 경남대 11 : 1984
33 최전승, "중세국어 '-다커니와'에서 공시적 방언형 '-은 (는)커녕' 계열까지의 통시적 거리 : 문법화의 한 가지 양상" 28 : 77-124, 2003
34 박경래, "중부방언, 문법연구와 자료" 819-876, 1998
35 이관규, "조사의 통사론적 연구, 국어의 격과 조사" 289-317, 1999
36 황화상, "조사의 작용역과 조사 중첩" 국어학회 42 : 115-140, 2003
37 권재일, "조사의 성격과 그 생략 현상에 대한 한 기술 방법" 서울대 어학연구소 134-145, 1989
38 문순덕, "제주방언 문법연구" 도서출판 세림 2003
39 강영봉, "제주도방언의 후치사에 관한 연구" 1-32, 1985
40 한영목, "정열모 문법의 몇 문제" 249 : 397-423, 1998ㄴ
41 한영목, "정렬모의 단어관 《우리말연구의 샘터》" 519-537, 1994
42 홍윤표, "전주방언의 격연구 전북대 어학연구소" 43-5 56, 1978
43 이태영, "전북 방언의 특수조사에 대하여" 419-439, 1986
44 한영목, "이문구 소설의 방언 연구 모음 현상을 중심으로" 어문연구학회 43 : 153-188, 2003
45 최규수, "우리말 주제어 연구" 부산대 대학원 1990
46 이원근, "우리말 도움토씨 연구" 1997
47 이춘숙, "우리말 도움토씨 연구" 부산대 대학원 1993
48 이근규, "소위 후치사의 설정 문제" 충남대 대학원 1974
49 안용산, "설화 속의 금산" 충남 : 금산문화원 1996
50 박광호, "서산지역어의 형태론적 연구" 동악어문학회 17 : 1983
51 진종진, "서산방언의 격어미 연구" 국민대 교육대학원 1989
52 배주채, "서남방언, 문법연구와 자료" 877-932, 1998
53 김균태, "부여의 구비설화 1, 2" 충남 : 부여부여문화원 1996
54 안명철, "보조조사'-서'의 의미" 478-506, 1985
55 한영목, "보조 용언 '-번지다', '-쌓다'와 충남 방언" 249 : 209-240, 2000ㄹ
56 방언연구회, "방언학 사전" 태학사 2001
57 김영욱, "문법형태의 연구방법" 박이정 1997
58 서태룡, "문법연구와 자료" 태학사 1998
59 이익환, "마저'와 부정의 범위" 1979
60 이춘숙, "도움토씨 범주 기술에서의 비논리성" 문창어문학회 37 : 477-497, 2000
61 황인덕, "대덕의 구전설화" 대전 : 대덕문화원 2001
62 최규련, "국어제외 표지사 '밖에'와 제외 초점사 '밖에…부정'의 의미와 기능" 35 : 143-170, 2000
63 이승욱, "국어의 포스트포지션에 대하여 《국어문법체계의 사적연구》" 101-116, 1957/1973
64 이지양, "국어의 융합현상과 융합형식" 서울대 대학원 1993
65 한국어학회, "국어의 격과 조사" 월인 1999
66 이기갑, "국어방언의 조사체계" 한국언어학회 27 : 201-233, 2000
67 김진호, "국어 특수조사의 통사의미 연구" 역락 2000
68 홍사만, "국어 특수조사 신연구" 역락 2002
69 이기갑, "국어 방언 문법" 태학사 2003
70 임홍빈, "국어 문법의 심층 2" 태학사 1998
71 이광호, "국어 격조사 '을/를'의 연구" 탑출판사 1998
72 류구상, "구조문법과 국어조사, 국어의 격과 조사" 49-81, 1999
73 교육 인적 자원부, "고등학교 문법" (주)두산 2002
74 서산문화원, "경희대 민속연구소 편" 1991
75 이상규, "경북방언 문법연구" 박이정 1999
76 김태엽, "경북말의 문법" 도서출판 사람 1999
77 김영태, "경남방언과 지명연구" 경남대학교 출판부 1998
78 김형기, "격과 형의 관계, 국어학의 제문제" 한국문화사 29-95, 1993
79 이남순, "격과 격표지" 월인 1998
80 한영목 외 옮김, "《형태론 -생성문법에서의 단어구조-》" 태학사 1994
81 한영목 옮김, "《형태,통사론의 이해》" 한국문화사 1995
82 류목상, "《한국어문법이론》" 일조각 1990
83 김승곤 엮음, "《한국어 토씨와 씨끝》" 서광학술자료사 1992
8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구비문학대계-충남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2
85 정인승, "《표준문법》" 계몽사 1968
86 남기심, "《표준 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85
87 이숭녕, "《중세국어문법;개정판》" 을유문화사 1981
88 강정희, "《제주 방언 연구》" 한남대학교출판부 1988
89 김웅배, "《전라남도 방언연구》" 학고방 1991
90 이돈주, "《전남방언》" 형성출판사 1979
91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사 1946/1980
92 김석득, "《우리말 형태론-말본론-》" 탑출판사 1992
93 성낙수, "《우리말 방언학》" 한국문화사 1993
94 박미아 편, "《옛날엔 날 사공이라 혔지》" 뿌리깊은나무 1992
95 김영배 편, "《남북한의 방연연구》" 경운출판사 1992
96 홍사만, "《국어특수조사론 -의미분석-》" 형설출판사 1983
97 김귀화, "《국어의 격 연구》" 한국문화사 1994
98 김민수, "《국어문법론》" 일조각 1971
99 임홍빈, "《국어문법론Ⅰ》" 한국방송통신대 출판부 1995
100 남기심, "《국어 조사의 용법 '-에'와 '-로'를 중심으로-》" 서광학술자료사 1993
101 성광수, "《국어 조사에 대한 연구》" 형설출판사 1979
102 이남순, "《국어 부정격과 격표지 생략》" 탑출판사 1988
103 윤재원, "《국어 보조조사의 담화분석적 연구》" 형설출판사 1989
104 김기혁, "《국어 문법 연구 -형태통어론-》" 박이정 1995
105 정영주, "《경상도 토씨 연구-진주지역어를 중심으로-》" 홍문각 1993
106 최명옥, "《경북 동해안 방언연구》"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0
107 小倉進平, "《朝鮮語方言の硏究》" 岩波書店 1944
108 河野六郞, "《朝鮮方言學試攷》" 東都書籍 1945
109 허 웅, "《20세기 우리말의 형태론》" 샘 문화사 1995
110 Nilsen, "Toward a SEmantic Specification of Deep Case" 1972
111 양인석, "Semantics of Delimiters in Korea 《어학연구》 9-2" 84-121, 1973
112 Culicover, P. W, "Principle and Parameters" Oxford Univ. Press 1997
113 London, "English Dialet ; An Introduction" Athlene Press 1977
114 최전승, "19세기후기 전라방언의 처소격조사 부류의 특질과 변화의 방향" 우리말글학회 20 : 101-152, 2000
115 시정곤, "'밖에'의 형태-통사론" 30 : 171-200, 1997
116 박승윤, "'밖에'의 문법화 현상" 한국언어학회 22 (22): 57-70, 1997
117 이상태, "'만큼'구문의 통사론적 연구" 87-106, 1994
118 최동주, "'들' 삽입현상에 대한 고찰" 35 : 67-92, 2000
119 나은영, "'까지' '조차' '마저'의 의미 구조 분석" 한국어학회 6 : 211-226, 1997
120 김문웅, "'-다가'류의 문법적 범주" 149-178, 1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