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갈등관리수단으로서의 공법상의 조정  :  독일과 한국의 공법상 조정제도의 비교를 중심으로 insbesondere der Vergleich der offentlich-rechtlichen Mediation zwischen Deutschland und Korea = Mediation im offentlichen Recht als Instrument der Konfliktmittlung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주요 행정정책결정, 공공사업의 시행, 각종 공공시설물의 설치 등과 관련하여 발생하고 있는 공공갈등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갈등에 대해서는 법원에 의한 분쟁해결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음으로 인하여, 정식재판절차에 의하지 아니하고도 조기에 갈등을 예방하거나 완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ADR이라고 불리 각종 재판외 분쟁해결수단들이 주목을 받고 있고, 최근 공법분야에서도 이러한 ADR의 한 유형으로서 조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공법상의 조정으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사후적 조정수단인 분쟁조정위원회에 의한 조정이나 정식재판절차에서의 조정이 논의되고 있는데, 갈등의 예방이라는 관점에서는 오히려 행정결정과정에서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보아, 본 논문에서는 공법분야에서의 사전적인 분쟁해결수단으로서의 조정의 의미에 논의를 집중하였다.
      공법상 조정이 논의되는 배경에는 공법관계에서 사인의 지위가 행정의 파트너로 전환되어 가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오늘날 공법상의 조정은 참여민주주의로의 변화, 협조적 법치국가 등을 이념적인 배경으로 헌법상의 조화의 원칙을 구체화시킨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다만 조정도 행정작용의 하나이므로 법치국가적 요청을 준수하여야 하고, 행정의 결정권한을 침해하지 말아야 하는 한계가 존재한다.
      우리나라에서의 행정상 분쟁조정은 분쟁조정위원회에 의한 조정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수많은 각종의 조정위원회의 존재로 인한 중복성과 복잡성의 문제, 위원회의 독립성, 전문성,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행정쟁송의 경우에도 조정에 대한 법적 근거가 전무한 상태이고, 최근 도입된 행정심판조정제도도 사실상으로만 운영되고 있어, 우리나라의 현행 행정상 분쟁조정제도는 그 효과에서 미약한 상태이다. 이에 정부에서는 최근 갈등관리에 관한 기본법안을 마련하여 입법예고 한 바도 있지만, 법률로 제정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공법상 조정으로서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공공갈등과 관련이 있는 각종 개별법에 분쟁의 예방이나 해결을 위한 조정적인 규정들이 보완됨으로써 행정절차에서의 조정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독일 연방행정절차법상 전문계획의 수립에 대한 계획확정절차에 관한 규정이나 또는 건설기본계획의 수립절차를 촉진하기 위하여 이 절차의 준비와 시행을 제3자에게 위임할 수 있다는 독일 연방건축법전의 규정 등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 크다고 생각한다. 그 외에도 각종 행정절차와 관련하여 지방자치단체, 주민, 이해관계인 등의 참여, 각종 사업의 평가기준이나 평가분석, 환경영향평가, 그밖에 다양한 형식의 참여 또는 협의에 기초한 의사결정방법 등 사전적으로 이해관계를 조정할 수 있는 요소들이 법제정비를 통하여 보다 강화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오늘날 주요 행정정책결정, 공공사업의 시행, 각종 공공시설물의 설치 등과 관련하여 발생하고 있는 공공갈등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갈등에 대해서는 법원에 의한 분쟁...

      오늘날 주요 행정정책결정, 공공사업의 시행, 각종 공공시설물의 설치 등과 관련하여 발생하고 있는 공공갈등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갈등에 대해서는 법원에 의한 분쟁해결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음으로 인하여, 정식재판절차에 의하지 아니하고도 조기에 갈등을 예방하거나 완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ADR이라고 불리 각종 재판외 분쟁해결수단들이 주목을 받고 있고, 최근 공법분야에서도 이러한 ADR의 한 유형으로서 조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공법상의 조정으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사후적 조정수단인 분쟁조정위원회에 의한 조정이나 정식재판절차에서의 조정이 논의되고 있는데, 갈등의 예방이라는 관점에서는 오히려 행정결정과정에서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보아, 본 논문에서는 공법분야에서의 사전적인 분쟁해결수단으로서의 조정의 의미에 논의를 집중하였다.
      공법상 조정이 논의되는 배경에는 공법관계에서 사인의 지위가 행정의 파트너로 전환되어 가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오늘날 공법상의 조정은 참여민주주의로의 변화, 협조적 법치국가 등을 이념적인 배경으로 헌법상의 조화의 원칙을 구체화시킨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다만 조정도 행정작용의 하나이므로 법치국가적 요청을 준수하여야 하고, 행정의 결정권한을 침해하지 말아야 하는 한계가 존재한다.
      우리나라에서의 행정상 분쟁조정은 분쟁조정위원회에 의한 조정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수많은 각종의 조정위원회의 존재로 인한 중복성과 복잡성의 문제, 위원회의 독립성, 전문성,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행정쟁송의 경우에도 조정에 대한 법적 근거가 전무한 상태이고, 최근 도입된 행정심판조정제도도 사실상으로만 운영되고 있어, 우리나라의 현행 행정상 분쟁조정제도는 그 효과에서 미약한 상태이다. 이에 정부에서는 최근 갈등관리에 관한 기본법안을 마련하여 입법예고 한 바도 있지만, 법률로 제정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공법상 조정으로서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공공갈등과 관련이 있는 각종 개별법에 분쟁의 예방이나 해결을 위한 조정적인 규정들이 보완됨으로써 행정절차에서의 조정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독일 연방행정절차법상 전문계획의 수립에 대한 계획확정절차에 관한 규정이나 또는 건설기본계획의 수립절차를 촉진하기 위하여 이 절차의 준비와 시행을 제3자에게 위임할 수 있다는 독일 연방건축법전의 규정 등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 크다고 생각한다. 그 외에도 각종 행정절차와 관련하여 지방자치단체, 주민, 이해관계인 등의 참여, 각종 사업의 평가기준이나 평가분석, 환경영향평가, 그밖에 다양한 형식의 참여 또는 협의에 기초한 의사결정방법 등 사전적으로 이해관계를 조정할 수 있는 요소들이 법제정비를 통하여 보다 강화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머리말
      • Ⅱ. 재판외 분쟁해결수단 개관
      • Ⅲ. 독일에서의 공법상의 조정에 관한 논의
      • Ⅳ. 우리나라에서의 공법상의 조정과 문제점
      • 〈국문요약〉
      • Ⅰ. 머리말
      • Ⅱ. 재판외 분쟁해결수단 개관
      • Ⅲ. 독일에서의 공법상의 조정에 관한 논의
      • Ⅳ. 우리나라에서의 공법상의 조정과 문제점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Zusammenfassu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귀현, "행정상의 갈등해소를 위한 법제개선방안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04

      2 이용우, "행정사건에 대한 ADR의 적용에 관한 법이론적 고찰" 한국중재학회 13 (13): 459-, 2004

      3 한귀현, "행정분쟁해결과 재판외분쟁해결법제의 최근 동향" 한국토지공법학회 26 : 475-, 2005

      4 황재영, "행정부의 대체적 분쟁해결제도에 관한 연구" 3 (3): 167-, 1999

      5 김용섭, "행정법상 분쟁해결수단으로서의 조정" 한국법학원 37 (37): 5-, 2004

      6 김경배, "한국 대체적 분쟁해결제도(ADR)의 제도화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경제학회 18 (18): 251-, 2005

      7 류승훈, "외국의 입법례를 통해 살펴본 ADR의 활용과 관련하여" 청림인터렉티브 38-, 2003

      8 이희정, "법의 지배와 행정법상 재판외 분쟁해결수단: 미국의 경우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9 조창현, "대체적 분쟁해결제도의 현황과 제고방안" 산업연구원 66-, 2004

      10 김유환, "국민참여에 의한 행정분쟁해결제도" 한국법학원 37 (37): 40-, 2004

      1 한귀현, "행정상의 갈등해소를 위한 법제개선방안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04

      2 이용우, "행정사건에 대한 ADR의 적용에 관한 법이론적 고찰" 한국중재학회 13 (13): 459-, 2004

      3 한귀현, "행정분쟁해결과 재판외분쟁해결법제의 최근 동향" 한국토지공법학회 26 : 475-, 2005

      4 황재영, "행정부의 대체적 분쟁해결제도에 관한 연구" 3 (3): 167-, 1999

      5 김용섭, "행정법상 분쟁해결수단으로서의 조정" 한국법학원 37 (37): 5-, 2004

      6 김경배, "한국 대체적 분쟁해결제도(ADR)의 제도화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경제학회 18 (18): 251-, 2005

      7 류승훈, "외국의 입법례를 통해 살펴본 ADR의 활용과 관련하여" 청림인터렉티브 38-, 2003

      8 이희정, "법의 지배와 행정법상 재판외 분쟁해결수단: 미국의 경우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9 조창현, "대체적 분쟁해결제도의 현황과 제고방안" 산업연구원 66-, 2004

      10 김유환, "국민참여에 의한 행정분쟁해결제도" 한국법학원 37 (37): 40-, 2004

      11 김유환, "공공갈등관리를 위한 제도정비방향" 한국공법학회 33 (33): 639-, 2004

      12 전재경, "갈등관리법제의 구조와 과제" 국토연구원 28-, 2005

      13 Kim, Sung-Soo, "Vom paternalistischen zum partnerschaftlichen Rechtsstaat" Baden-Baden 2000

      14 Beck, "Vom Nutzen der Mediation in der Kommunalreform-Zugleich ein Beitrag zur Rechtsmediation in der öffentlichen Verwaltung" 62-, 2002

      15 Köster, "Mediation in der Bauleitplanung?" 229-, 2002

      16 Hadlich, "Mediation im öffentlichen Baurecht-Chancen einer neuen Planungskultur" 9-, 1999

      17 Wagner, "Mediation im Umwelt- und Planungsrecht als Alternative zur behördlichen oder gerichtlichen Streitentscheidung" 370-, 2001

      18 Ortloff, "Mediation außerhalb und innerhalb des Verwaltungsprozesses" 385-, 2004

      19 Pitschas, "Mediation als Methode und Instrument der Konfliktmittlung im öffentlichen Sektor" 396-, 2004

      20 Hesse, "Grundzüge des Verfassungsrecht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20. Aufl" Heidelberg 1995

      21 Brohm, "Beshleunigung der Verwaltungsverfahren-Straffung oder konsensuales Verwaltungshandeln?-Zugleich ein Beitrag zu den Voraussetzungen der “Mediation” in den USA und den strukturellen Unterschieden zwischen amerikanischem und deutschem Recht" 1025-, 1991

      22 Krautzberger, "Baugesetzbuch, 7. Aufl" Heidelberg 2004

      23 Jäde, "BauGB BauNVO, Kommentar, 4. Aufl" Stuutgart 2005

      24 김상수, "ADR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현행제도의 문제점" 청림인터렉티브 31-, 2003

      25 유병현, "ADR의 발전과 법원외 조정의 효력" 법조협회 53 (53): 27-, 2004

      26 김상찬, "ADR기본법의 입법론에 관한 연구" 한국중재학회 13 (13): 157-,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4 0.96 1.025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