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성의 정의는 시대에 따라 달라졌고, 그에 따라 공공예술의 개념 역시 계속해서 변화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공공성 논의에서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았던 관객 대중과 일상성, 친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867745
2018
Korean
공공성 ; 공론장 ; 공공예술 ; 친교 ; 극장 ; 생활예술 ; 관객 ; publicness ; public sphere ; public art ; everydayness ; sociability ; audience
KCI등재
학술저널
71-102(32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공공성의 정의는 시대에 따라 달라졌고, 그에 따라 공공예술의 개념 역시 계속해서 변화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공공성 논의에서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았던 관객 대중과 일상성, 친교...
공공성의 정의는 시대에 따라 달라졌고, 그에 따라 공공예술의 개념 역시 계속해서 변화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공공성 논의에서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았던 관객 대중과 일상성, 친교적 특성을 공공성의 핵심으로 주목하고자 한다. 현재 우리사회에서는 공/사의 경계가 분명하게 분리되어 작동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졌다. 따라서 가장 사적인 영역에서 공적 이슈가 발생하기도 하고 가장 공적인 영역에서 권위적인 억압이 발생하기도 한다. 마찬가지로 가장 일상생활에 밀착한 예술이 중대한 공적인 의미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런 의미에서 공공성, 공론장, 공공예술의 논의는 일상생활의 맥락에서 재구성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아렌트나 하버마스의 공론장, 공공영역에 관한 논의를 살펴보고, 이 논의를 짐멜의 친교 개념과 고프먼의 연극론으로 보완한다. 이를 통해 일상에서 분리되었던 예술이 점차 일상생활과 관객들에 다가갈 때 그 예술이 오히려 공적 성격을 띠게 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현대의 예술공론장의 성격과 방향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efinition of publicness has changed depending on the era, and therefore the concept of public art has also continually changed. The present study identifies the audience and daily everydayness, which have been excluded from discussions on publicn...
The definition of publicness has changed depending on the era, and therefore the concept of public art has also continually changed. The present study identifies the audience and daily everydayness, which have been excluded from discussions on publicness, as the core of publicness. In our society recently, the boundaries of public and private no longer clearly operate, and public issues occur in the most private domains, as does authoritarian oppression in the most public domains. Similarly, art that is closest to daily life can possess significant public meaning.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reconstruct discussions on publicness, the public sphere, and public domains in the context of daily life.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s discussions from Arendt or Habermas on publicness, the public sphere, and public domains, and supplements these discussions with Simmel`s concept of sociability and Goffman`s dramaturgy. This will verify that art which was separated from daily life comes to embody a public character when it gradually approaches daily life and audiences, and based on this we will be able to examine the character and direction of today`s public sphere of ar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Huizinga, Johan, "호모 루덴스" 연암서가 2010
2 김덕영, "현대의 현상학" 나남출판 1999
3 Lefebvre, Henri, "현대세계의 일상성" 기파랑 2005
4 Arendt, Hannah, "혁명론" 한길사 2004
5 양창아, "한나 아렌트의 행위 개념 : 가면과 퍼포먼스의 은유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소 74 : 127-157, 2013
6 Simmel, Georg,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새물결 2005
7 Mauss, Marcel, "증여론" 한길사 2002
8 Arendt, Hannah, "전체주의의 기원2" 한길사 2006
9 Goffman, Erving, "자아 연출의 사회학" 현암사 2016
10 Arendt, Hannah, "인간의 조건" 한길사 2017
1 Huizinga, Johan, "호모 루덴스" 연암서가 2010
2 김덕영, "현대의 현상학" 나남출판 1999
3 Lefebvre, Henri, "현대세계의 일상성" 기파랑 2005
4 Arendt, Hannah, "혁명론" 한길사 2004
5 양창아, "한나 아렌트의 행위 개념 : 가면과 퍼포먼스의 은유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소 74 : 127-157, 2013
6 Simmel, Georg,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새물결 2005
7 Mauss, Marcel, "증여론" 한길사 2002
8 Arendt, Hannah, "전체주의의 기원2" 한길사 2006
9 Goffman, Erving, "자아 연출의 사회학" 현암사 2016
10 Arendt, Hannah, "인간의 조건" 한길사 2017
11 Turner, Victor, "의례의 과정"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5
12 김응천, "예술 공론장 개념을 통한 예술의 공공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예술경영학회 (29) : 5-28, 2014
13 김현수, "영화의 관객들에게. 모퉁이극장, KMDb 영화칼럼,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14 Han, Byung-Chul, "에로스의 종말" 문학과지성사 2015
15 김현수, "시민들, 영화프로그래머가 되다"
16 강윤주, "생활예술" 살림 2017
17 Lacy, Suzanne,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 문화과학사 2010
18 Goffman, Erving, "상호작용 의례" 아카넷 2013
19 심현섭, "상호소통과 공동체적 방법론에 의한공공미술" 한국미학예술학회 49 : 295-334, 2016
20 Goethe, Johann Wolfgang von, "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시대" 민음사 1996
21 김현수, "부산은 국도예술관을 지켜내야 한다"
22 齋藤純一, "민주적 공공성" 이음 2009
23 최종렬, "다문화주의의 사용" 한국문화사 2016
24 Habermas, Jurgen, "공론장의 구조변동" 나남 2001
25 하용삼, "공공성과 로컬리티의 재구성- 공적영역으로서 주민도서관을 중심으로 -" 새한철학회 66 (66): 421-451, 2011
26 하승우, "공공성" 책세상 2017
27 Simmel, Georg, "Sociologie et épistémologie"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1981
28 Lefebvre, Henri, "Critique de la vie quotidienne, Tome 1, 2, 3" L’Arche 1997
29 "2018 책의 해 <함께읽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9-05-2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Center for Korean Studi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Korean Studies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9 | 0.89 | 0.7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3 | 0.78 | 1.247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