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선진국들이 자국의 문화를 기반으로 기술 및 산업 성장에 못지않게 문화 강국을 표방하는 경향은 무엇 때문일까? 오늘날 사회적 여건은 다문화 시대를 접하면서 경제적 기반과 다양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921152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9
학위논문(석사) --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 전통무용전공 , 2010.2
2009
한국어
793.31 판사항(21)
서울
vi, 103 L. : 삽화,챠트 ; 27 cm.
참고문헌 : 98-101장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선진국들이 자국의 문화를 기반으로 기술 및 산업 성장에 못지않게 문화 강국을 표방하는 경향은 무엇 때문일까? 오늘날 사회적 여건은 다문화 시대를 접하면서 경제적 기반과 다양한...
최근, 선진국들이 자국의 문화를 기반으로 기술 및 산업 성장에 못지않게 문화 강국을 표방하는 경향은 무엇 때문일까? 오늘날 사회적 여건은 다문화 시대를 접하면서 경제적 기반과 다양한 외부 환경 변화 속도에 떠밀려, 그동안 제도권의 관심에서 소홀한 점이 없지 않았던 문화 보존 문제에 무엇을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에 심각한 과제를 안고 있다. 그런 가운데, 최근 경제 선진국이 앞서서 민속놀이의 재발굴에 두드러진 지원 움직임의 경향을 보면, 한 국가의 문화유산이 주는 효과가 경제 성장의 근원적 교류에 독보적인 경쟁력 기반 조성이 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므로 전통 문화 보존의 가치는 결국 국가의 생산성과 신뢰감으로 이어져 중요한 역할임에 틀림없다.
특히, 각 지방 자치 단체들이 전통 연희(演戱) 공연 형태를 그저 물려받은 유물로만 보지 않고, 과감하게 현실로 받아들여 변화를 인정하려는 움직임을 볼 때 이는 가장 합리적인 처방의 자세로 보아진다. 그동안 급격한 외래문화의 유입 변동으로 농·어촌 공동체는 와해되고, 자연적으로 민속 문화의 전승 환경이 바뀌게 되어 민속 문화가 본래대로 전승될 수 없게 된 부문, 또한 인정해야 한다. 즉 시대의 변화는 명백히 전통의 원형(原型)을 훼손시키게 되며 필연적으로 변해 가는 과정이다.
어떠한 전통적 가치 있는 민속춤과 놀이의 문화도 절대적인 규격화에 표준화되거나 고정화되는 것은 아니며 계속 변모하므로 진정한 문화 보존은 정지 상태에 머물지 않는 것이다. 다시 말해 과거의 눈으로만 보았던 전통적 보존 대상물에 현재의 시각으로 재구성 시도에 인식 전환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하겠다.
또 다른 내부적 측면에서 보면, 문화의 조화로운 재구성 시도는 무대 공간 부문에서 특히 끊임없는 시각차가 있긴 하지만, 일찍이 무대 연출 전문가들의 연구를 통해 알려진 바, 전통 연희공간은 연희자(演戱者)와 관객이 자연스럽게 만날 수 있는 장(場)으로 모든 놀이를 통틀어 수용할 수 있는 열린 공간, 인간의 삶과 관련된 물리적이고 자연적인 참여와 만남의 장(場)이 되어야 한다. 이는 곧 가능한 놀이꾼들이 놀기에 적합하고 관람객이 관람하기에 편리한 조건이어야 하며, 마당놀이가 가지는 무대 공간의 원형적 개방성을 통해 관객들의 응어리진 감정과 억눌린 신명을 거리낌 없이 마음껏 발산하고 푸는데 기여하는 곳이어야 한다. 이와 같이 연희마당은 복합적인 성격을 지닌 공간으로 우리 전통만이 갖는 독특한 공연장이므로, 가장 현실적인 공간으로 생산적이고 창조적인 집단 연대의식을 성숙시키는 문화의 장(場)이다.
따라서 기층문화(基層文化)를 보급하고 전파시키는 연희마당 공간이 가지는 허구성이 없는지 반성의 지적 및 재발견 시도에 깊은 관심과 한국 전통 민속연희 공간을 통해서 그 문화적 보존 가치에 대해 다각적인 재평가·재인식이 필요하다.
즉, 전통 문화의 보존 및 무대 공간연출의 창조적 계승 발전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과 조화로움의 극대화를 새롭게 고찰해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developed countries claim that a country's reputation is based not only on industrial advancement but also a rich culture. What is the reason? Since social environment, facing with multi cultural era, has been alienated due to changing speed...
Recently, developed countries claim that a country's reputation is based not only on industrial advancement but also a rich culture. What is the reason? Since social environment, facing with multi cultural era, has been alienated due to changing speed of various economic base and external environment, it has been stuck with serious problems on what and how issues for cultural preservation can be solved.
In the mean time, now that recently economically advanced countries significantly have shown supports for folk plays, it seems that effects originated from a country's cultural assets are likely to become distinctive bases of competitiveness for economic growth. Therefore, values of preserving traditional cultures has no doubt for playing important roles as they have connections with productivity and reliability of a country.
Especially from the fact that each local government is willing to accommodate changes in traditional playing performances without hesitation as a trend not just inherit them as they were, it seems to be most desirable trend. In the past several tens of years, community of farm and sea villages have been demolished from influx of external cultures and consequently it changed environment for inheritances of folk culture, which prohibited folk cultures from being succeeded as they were. This should be also admitted. In other words, change of era definitely damages original type of traditions and it is an indispensible process.
Folk dance and culture of plays with certain traditional values are not standardized or fixed as unchanging specification but continuously being changed. Therefore, actual preservation of cultures is changing. In other words, it is desperately required to change of thinking in a way that attempts to restructure targeted objects for traditional preservation based on current point of view.
From another internal point of view, although attempts to reorganize harmonious cultures have been continuously argued especially for stage space, they have been recognized by researches of professional producer for stage, traditional playing space needs to be physical and natural attendance and meeting place related human life as a opened place where performer and audience naturally meet each other and place for accommodating all plays.
This place is required to be as much convenient as possible for player to perform their job and audience to watch them and to be a place for contribute to audiences who want to dissipate and dissolve their suppressed emotions freely.
Like this, since festival playground is a place with complexity as distinctive performing place, it is most realistic and a cultural place where solidarity conscience becomes matured as creative group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find problems related to emptiness at performing space which distribute foundation of culture, and to pay much attention to attempts to re-discover cultures.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reevaluate and re-recognize values for preserving culture in every aspect through Korean traditional folk performing space.
Namely, we should investigate the preservation and harmony of traditional cultures. Furthermore, we should create and develop a succession based from its traditional culture. We should promote more opportunities to show our culture through media and other forms of exposure.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