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체육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창의성 평가도구 제작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016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07년과 2009년 개정된 교육과정에서 창의적 인재 양성이 강조됨에 따라 최근 각 교과별로 창의성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체육교과에서도 창의성을 어떻게 정의하고 개념화하느...

      2007년과 2009년 개정된 교육과정에서 창의적 인재 양성이 강조됨에 따라 최근 각 교과별로 창의성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체육교과에서도 창의성을 어떻게 정의하고 개념화하느냐, 실제 체육수업에서 창의성을 어떻게 교육하고 발달시키느냐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기 시작하였다. 그동안 창의성 연구에서 해결되지 않은 문제 중 하나는 창의성을 어떻게 평가하느냐에 대한 것이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창의성 연구는 심리, 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창의성 평가 도구들도 주로 인지적 영역을 중심으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평가 도구들은 신체활동을 본질로 사용하는 체육현장에서 직접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므로 체육교과의 특수성을 고려한 창의성 평가 방법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학교 현장에서는 실제 체육수업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창의성 평가 방법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그동안 일반적인 창의성 관점에서 수행되었던 창의성 분류 관점과 창의성 평가 방법들을 소개하고 이 방법들을 적용하여 체육교사들이 실제 체육수업 시간에 사용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제시하였다. 또한 앞으로 체육 창의성 평가 도구를 개발하는데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rough the 2007 and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creativity education is more emphasized in all subject. Recently, physical education area also start to study for teaching and developing creativity in physical education class. One of problem...

      Through the 2007 and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creativity education is more emphasized in all subject. Recently, physical education area also start to study for teaching and developing creativity in physical education class. One of problem in the study of creativity is creativity assessment. Historically, creativity research mainly performed in psychology and educational fields, so most of assessment tool also developed in that fields. Few study is conducted for assessing and evaluating creativity in physic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several methods for assessing creativity which used in general and traditional creative research area, and try to adopt those methods in physical education area. Four P model is discussed as a way of organizing method for assessing creativity, which classified the creative person, process, product, and press. Divergent thinking tests, the consensual assessment technique, assessment by others: teacher, peer, and parent measures, and self assessment methods also proposed as a assessing creativity methods in physical education. Lastly, creativity assessment tool for physical education class is also presen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과학창의재단, "핵심역량 중심 체육영역 창의ㆍ인성교육 수업모델 개발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2 신기철, "초등 체육에서 창의・인성 교육 실천을 위한 탐색" 교육문제연구소 50 : 307-338, 2011

      3 손준구, "체육교과의 창의성 개념정립을 위한 논의" 한국초등체육학회 16 (16): 9-16, 2010

      4 조미혜, "체육과에서의 창의성 및 인성. 체육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모색을 위한 1차 워크숍" 2010

      5 최인수, "창의적 성취와 관련된 제 요인들 : 창의성 연구의 최근 모델인 체계모델(systems model)을 중심으로" 5 : 133-166, 1998

      6 이종구, "창의성검사: 창의성 계발을 위한 창의성검사의 이해와 활용" 한국가이던스 2004

      7 문용린, "창의성, 인성 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0

      8 이순묵, "창의성 평가 : 검사도구의 이해와 적용" 학지사 2011

      9 이경언, "창의성 제고를 위한 교육과정 개편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10 박은실, "창의성 연구의 다양한 시각과 함의들" 한국음악교육학회 41 (41): 61-88, 2012

      1 한국과학창의재단, "핵심역량 중심 체육영역 창의ㆍ인성교육 수업모델 개발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2 신기철, "초등 체육에서 창의・인성 교육 실천을 위한 탐색" 교육문제연구소 50 : 307-338, 2011

      3 손준구, "체육교과의 창의성 개념정립을 위한 논의" 한국초등체육학회 16 (16): 9-16, 2010

      4 조미혜, "체육과에서의 창의성 및 인성. 체육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모색을 위한 1차 워크숍" 2010

      5 최인수, "창의적 성취와 관련된 제 요인들 : 창의성 연구의 최근 모델인 체계모델(systems model)을 중심으로" 5 : 133-166, 1998

      6 이종구, "창의성검사: 창의성 계발을 위한 창의성검사의 이해와 활용" 한국가이던스 2004

      7 문용린, "창의성, 인성 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0

      8 이순묵, "창의성 평가 : 검사도구의 이해와 적용" 학지사 2011

      9 이경언, "창의성 제고를 위한 교육과정 개편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10 박은실, "창의성 연구의 다양한 시각과 함의들" 한국음악교육학회 41 (41): 61-88, 2012

      11 유정애, "창의성 교육 관점에서 본 체육과 교육과정의 분석과 과제" 한국체육학회 50 (50): 145-156, 2011

      12 이혜주, "창의성 교육"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8

      13 최의창, "창의·인성강조 체육수업의 개념과 방법:통합적 관점에서의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9 (29): 209-237, 2011

      14 허경철, "지식기반사회에서의 학교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기초연구(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0

      15 노풍두, "조직의 창의성 수준 평가 모델 개발" 한국기술혁신학회 14 (14): 109-138, 2011

      16 조미혜, "융합의 시대에 대비한 체육교육과정의 과제" 교육연구소 18 (18): 5-25, 2012

      17 최인수, "유아의 창의성 측정도구에 관한 고찰" 20 : 139-166, 2000

      18 Rensulli, J. .S, "영재아 행동특성 평정척도" 박학사 2007

      19 한국과학창의재단, "스포츠(체육)영역 창의인성 수업모델 개발 : 신체활동 창의인성 매트릭스(matrix)접근" 한국과학창의재단 2011

      20 이순묵, "산업조직에서의 창의성에 대한 개념적 및 경험적 접근"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1 (21): 151-178, 2008

      21 김은주, "디자인 창의성 평가도구 개발" 한국디자인학회 21 (21): 15-25, 2008

      22 교육인적자원부, "[단행본] 한문, 교양 선택 과목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2007

      23 Guilford, J. P., "Traits of creativity, In Creativity and its cultivation" Harper & Row 1975

      24 Torrance, E. P.,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Personnel Press 1974

      25 Torrance, E. P., "Thinking creatively in action and movement" Scholastic Testing Service 1981

      26 Amabile, T. M.,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Springer Verlag 1983

      27 Guilford, J. P., "The nature of human intelligence" McGraw-Hill 1968

      28 Runco, M. A., "The creativity of children’s art" 19 : 177-190, 1989

      29 Kumar, V. K., "The Creativity Styles Questionnaire-Rivised" 10 : 51-58, 1997

      30 Pearlman, C., "Teachers as an informational resource in identifying and rating student creativity" 103 (103): 215-222, 1983

      31 Trenffinger, D. J., "Research on creativity assessment, In Frontiers of creativity research: Beyond the basis" Bearly 103-119, 1987

      32 Furnham, A., "Personality and creativity" 88 : 407-408, 1999

      33 Treffinger, D. J., "Needed research on the measurement of creativity" 5 : 253-257, 1972

      34 Griffin, M., "Exploring a tripartite relationship between rebelliousness, openness to experience and creativity" 26 : 347-356, 1998

      35 Kaufman, J. C., "Essentials of creativity assessment" Wiley 2008

      36 Runco, M. A., "Divergent thinking, creativity, and giftedness" 37 : 16-22, 1999

      37 Runco, M. A., "Divergent thinking and creative performance in gifted and nongifted children" 46 : 375-384, 1986

      38 Runco, M. A.,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integrity of a measure of ideational behavior" 13 : 393-400, 2001

      39 Wetstby, E. L., "Creativity: Asset of burden in the classroom?" 8 : 1-10, 1995

      40 Amabile, T. M., "Creativity in context" Westview Press 1996

      41 Williams, F., "Creativity Assessment Packet" DOK Publishers 1980

      42 Besemer, S. P., "Analysis of creativie products : Review and synthesis" 15 : 1158-1178, 1981

      43 Rhodes, M., "An analysis of creativity" 42 : 305-311, 1961

      44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2 1.12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 1.2 1.171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